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SNS중독과 SNS피로감, 우울의 관계

        윤명숙(Yoon, Myeong-Sook),김남희(Kim, Nam-H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본 연구는 성인의 SNS중독이 SNS피로감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SNS 이용의도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30~40대 성인 784명이며,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하여 할당표집으로 임의 선택 과정을 거쳐 모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중독과 SNS피로감, 우울 간 매개모형에서 SNS 이용의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이용의도가 ‘대인관계적 이유’인 집단과 ‘정보수집 및 오락 등’ 집단 간 경로별 차이를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살펴본 결과, SNS중독에서 SNS피로감에 이르는 경로와 SNS중독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 두 곳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SNS피로감에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SNS중독에서 SNS피로감의 관계는 대인관계적 이유로 사용하는 집단에 비해 정보수집 및 오락 등의 이유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NS중독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 경로는 대인관계적 이유로 SNS를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SNS중독 및 정신건강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SNS fatigue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NS usage intention among adults. A total of 784 adults aged from 30-49 participated this study by using allocation standard sampl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NS Usage Intention show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SNS addiction, SNS fatigue and depression. Second, SNS Usage Intention divided into two groups-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ntion group, information gathering and recreation intention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th from SNS addiction to SNS fatigue and the path from SNS addiction to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th from SNS fatigue to depression. So the SNS addiction to SNS fatigu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ntion group showed more higher prevalence than information gathering and recreation intention group. But the direct pathway from SNS addiction to depression showed more higher preval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ntion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duced the high risk of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duced the high risk of SNS addiction among adults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 KCI등재

        청소년음주행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조혜정 ( Hye Chung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자살의 주요 위험요인인 음주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음주와 자살의 관련성에 대한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방향성과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2학년 2차년도 자료(3,188명)에서 4차년도 까지 자료를 이용하여, 음주와 자살의 종단적인 변화관계, 음주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있어서 성별, 가족구조, 성적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음주행위는 증가하는 양상을 띠는 반면에 자살생각은 약간씩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음주행위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의 초기값이 높으며, 자살생각의 감소속도가 느려졌다.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음주행위수준이 빠르게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은 더디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행위가 자살생각에 종단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가족구조별, 성적별로 다중집단분석을 한 결과, 청소년 음주행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 가족구조, 성적과 관계없이 청소년 음주행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음주예방 프로그램의 실행 및 효과적인 자살예방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Suicide among adolescents have increased and alcohol use was a key risk factor of suic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adolescent drinking and suicidal ideationan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adolescent drinking on suicidal ideation. The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2-4 wave) were us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and multi-group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initial levels of adolescent drinking predicted faster rates of increase in their suicidal ideation. Second, Faster rates of increase in adolescent drinking predicted slower rates of decrease in their suicidal ideation over tim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and family structure, academic grade in the relation between drinking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a bidirectional view for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approach and understanding about bidirectional process of drinking and suicidal ideation.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olescent drinking should be integrated with suicidal prevention program.

      • KCI등재

        부모애착이 초기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분석

        윤명숙(Yoon Myeong Sook),이재경(Lee Jae Ky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대표적인 정신건강 문제인 우울에 대해, 초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애착과 우울의 종단적 발달궤적과 두 변수의 발달궤적 간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 4년 동안의 종단적 자료를 토대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우울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애착 초기 값과 변화율이 우울의 초기 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초기 값이 높을수록 우울의 초기 값이 낮고, 우울의 증가속도는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애착 변화율이 큰 폭으로 증가할수록 우울의 증가 속도는 느려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 부모학력수준, 빈곤유무에 따라 부모애착과 우울 궤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초기 부모애착이 우울에 종단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하는 청소년 초기에도 부모는 여전히 이들의 발달과 적응에 있어 중요한 안전기저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ㆍ정책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and parent attachment an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on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ce. Data were part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4-2007(primary school 4) and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ndency of parent attachment decrease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d linearly for four years. In terms of the trajectories in par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were mutually negative associated. Also, it was viewed that the longitudinal change of parent attachment has an effect of the change of depression. Sex, level of poverty, education level had effects on the trajectories of parent attachment and r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to prevent depression.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가 음주 행위에 미치는 영향

        윤명숙(Yoon Myeong Sook),이희정(Lee Hee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1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두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차별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1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43.1%가 PTSD 집단에 속하였으며, PTSD 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음주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특성(장애등급, 장애발생연령)에 따라 차별경험과 음주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도장애인의 PTSD와 음주행위를 살펴본 결과 남성, 연령이 낮을수록, 무교, 기혼인 중도장애인의 음주행위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PTSD 수준이 증가할수록 음주행위의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도장애인이 인지한 차별경험은 PTSD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차별을 더 많이 경험하는 집단은 PTSD 수준에 따른 음주행위 수준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도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과 음주문제 개입을 위한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rol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drinking behavior among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79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in Jeollabuk 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 -test,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slop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3.1% of subjects showed PTSD and this PTSD group showed more drinking behavior than non-PTSD group. Second, disability conditions(disability onset, disability rate) had impact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rinking behavior. Third, male, no-religion, married, more younger group showed more drinking behavior. Fourth, PTS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rinking behavior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moderated between PTSD and drink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car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in disability settings. Suggestions of disability social work were discussed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유산 후 애도와 우울

        윤명숙(Myeong Sook Yoon),박은아(Eun A Par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2

        유산은 여성들의 삶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유산 후 애도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트너 지지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를 위해 유산을 경험한 20∼40대 가임기 여성 206명을 대상으로 조절회귀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산유형으로는 인공유산이 111명(53.9%), 자연유산 83명(40.3%), 중복유산 12명(5.8%)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산 후 애도수준이 증가할수록 우울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도수준과 우울 간 관계에서 파트너 지지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도수준이 낮아지면 우울수준이 증가하는데 파트너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는 그 증가 폭이 감소하여 파트너 지지가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유산경험 여성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실재적 근거를 제공하고, 유산경험 여성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신보건 사회복지 개입의 실천적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Induced abortion and spontaneous abortion are life events that can cause trauma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reavement and depression after the abortion,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tner support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206 women who experienced abortion, 20-40 age group.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induced abortion 53.9%, spontaneous abortion 40.3%, induced and spontaneous abortion 5.8%. The bereavement experiences significantly impacted on more lower depression. Second, the partner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reavement experiences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grief therapy and partner-assisted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practition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장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음주

        윤명숙(Yoon, Myeong-Sook),이희정(Lee, Hee-J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4

        본 연구는 직장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두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음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직장인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 영역의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3개 지역 소재 직장인 392명이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20.4%가 문제 음주군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음주행태 및 음주수준 분석결과, 남성, 종교가 없는 직장인, 20대 연령, 미혼 직장인, 사무직, 근속연수 1년 이상~4년 미만의 직장인이 음주량, 폭음횟수와 음주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PTSD 집단에 따른 음주수준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TSD를 정상집단, 부분 PTSD 집단, 완전 PTSD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에 따른 음주수준의 평균 점수를 살펴본 결과, 완전 PTSD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음주수준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PTSD 수준이 높아질수록 음주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PTSD와 음주수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은 PTSD 수준이 높아질수록 음주수준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은 PTSD 수준에 따른 음주수준의 증가 정도가 완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직장인의 정신건강과 음주문제 개입을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입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drinking behavior among employees. Data were collected from 392 employees in Jeollabuk 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slop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0.4% of subjects showed problem drinking group and male, no-religion, 20-29 years old, single, office worker, 1-4 years of working group showed more higher binge drinking, problem drinking. Second, normal, partial-PTSD, full-PTSD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nd full-PTSD group showed more problem drinking. Third, PTS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rinking behavior. Fourth, social support moderated between PTSD and drinking behavior mong employees.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and mental health program in work settings. Suggestion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were discussed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윤명숙(Yoon, Myeong Sook),이묘숙(Lee, Myo Sook)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경제 상태와 행복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대 광역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641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행복을 직접 면접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t-test, ANOVA,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행복의 차이 분석에서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고, 결혼관계에 만족하고, 직업, 종교가 있는 경우, 부채가 적은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경우,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행복수준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경제 상태와 행복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높아진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노인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 및 향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happiness among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1 people over 65 years old around 4 metropolitan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was adopted to examine measurement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subjects who had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married, religion, higher marital satisfaction, no chronic disease, voluntary work participation showed more higher happiness. Second, the analysis resulted confined the ful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status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 service should be discussed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esteem for the happiness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시도경험

        윤명숙(Myeong Sook Yoon),최수연(Soo Yeun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4

        본 연구는 자살 고위험집단인 알코올중독자들의 자살시도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알코올의존으로 진단받고, 자살시도경험이 있는 8명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Colaizzi의 7개 과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알코올중독자 자살시도경험의 본질적 구조로서 14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자살시도경험의 5개 주제묶음은 ``알코올중독의 늪``, ``끝없는 추락``,``술을 쥐고 죽음을 향한 질주``, ``술과 자살의 이중가면``, ``이중굴레의 고통 속에서 살아나가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알코올중독자들은 알코올중독으로 인한 고통과 문제에서 벗어 나고자 술을 이용한 자살시도를 하고, 자살시도 후 여전한 고통을 경험하지만 알코올중독자 자살이라는 이중굴레 속에서 단주와 삶이라는 회복과정을 터덕거리며 살아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알코올중독자의 자살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이들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Alcoholism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uicide attemp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aning and essence of suicide attempts among alcoholics. By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the essence on suicide attempt experiences of alcoholics?", phenomenological approach by Colaizzi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8alcoholisc who had suicide attempt history. As results, 14categories appeared from 5themes as data analysis. These themes were characterized as follows; ``Entering alcoholism swamp``, ``Entering vicious cycle``, ``Full speed towards suicide with alcohol``, ``Two-sided meaning of suicide and drinking``, ``Living with dual restr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have discussed the meaning of suicide attempts of alcoholics and suggested effective social work intervention servic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interventions in suicidal alcoholics were identified with a focus on prioritie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