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에서의 유아 수학 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육길나,김숙령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material for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use picture books. Fifty two picture books were analyzed. Two hundred sixty one teachers' opinions on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math educa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indicated that picture books reflect the mathematical contents of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addition,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owever, teachers also reported the difficulties in choosing and acquiring the picture books for math education.

      • KCI등재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의 어머니 행동특성과 영아의 행동특성 및 애착 안정성과의 관계

        육길나,김숙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havior characteristics, infants’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attachment security, based on observed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infants as mothers read picturebooks to their infants at home. Subjects were forty 24-and 36-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Observations were made during each picturebook reading of the mother’s characteristics and her infant’s behaviors and then each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icturebook interaction, when mothers showed warm/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their children showed high enthusiasm, focused attention, compliance and positive mood. Second, when maternal behavior during picturebook interaction was characterized by detachment, the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affected negatively. In sum, when a mother was warm and supportive during the reading, her infant responded to the interaction with positive behavior and the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positive. Conversely, detached behavior on the part of the mother correlated with strong negative security attachment.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영아와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토대로 어머니의 행동특성과 영아의 행동특성 및 애착 안정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36개월 사이의 만 2세 영아와 어머니 40쌍을 대상으로, 가정을 개별 방문하여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 어머니들은 다정한/협력적인 행동특성을 많이 보였고, 영아들은 열정적이고 집중력이 높고 잘 순응하며 긍정적 분위기의 행동특성을 많이 보였다. 둘째,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의 어머니 행동특성이 영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의 어머니 행동특성 중 정서적 분리의 행동이 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육길나,최경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selection criteria of multicultural picturebooks. A survey of 163 childcare teacher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icturebook elements according to background (career,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ly, with regard to text, childcare teachers of 7-10 years than 1-3 years and with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s and teaching experien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erceived more importantly the relevance of cultural terminology, the clarity of theme, and the clarity of composition. Secondly, with regard to picture, they perceived effective expression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realistic pictures, and pictures excluding stereotype more importantly when they more experienced training related to multiculture and teaching of multicultural young children. Thirdly, with regard to content, childcare teachers of 7-10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than 1-3 years and teachers with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s and teaching experien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erceived more importantly the exclusion of prejudice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harac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at teacher educ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y their general background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육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배경(경력, 다문화연수경험,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도경험)에 따라 그림책 요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글에서는 7-10년 교사가 1-3년 교사보다, 다문화연수경험과 다문화 영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문화용어의 적절성, 주제의 명확성, 구성의 명확성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그림에서는 다문화연수경험과 다문화 영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문화의 특징에 대한 효과적 표현, 사실적인 그림, 고정관념이 포함되지 않은 그림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내용에서는 7-0년과 10년 이상의 교사가 1-3년 교사보다, 다문화연수경험과 다문화 영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다문화등장인물의 특성에 대한 편견의 배제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배경 변인을 고려하여 다문화그림책의 선정기준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길나,성경주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220 childcare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in Daejeon and the Chungcheong area of South Korea as subjects of this study.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16 unreliabl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excluded. A total of 204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affec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as a mediating factor. Thu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an be promoted through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은 보육교사 대상 220명이었고 전체 표본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설문 지역은 대전과 충청 지역에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 6월~8월 기간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6부를 제외한 20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전공별로는 유아교육전공 59명(28.9%), 아동보육전공 65명(31.9%), 기타전공자 80명(39.2%)이였으며, 교직경력 중 다문화가정 영ㆍ유아를 지도한 경험은 있다 8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3.1%였다. 분석과정에서 밝혀진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교사효능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교육인식과 다문화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 교육인식은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문화교육인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 KCI등재

        영유아 그림책에 표현된 노인과 대상의 관계 및 관계유형 분석

        육길나,최경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characters in picture books in the aging and nuclear family centered societ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s, which has an important meaning in life in old age, and the relationship type in a picture book where young children experience the elderly indirectly. To this end, 76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featuring the elderly were analyzed. First, grandchildren and elderly were the most common relationship and books that express two people in family, social, or natural relationships were next. Second, in the relationship typ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s, books expressing mutual intimacy in a favorable relationship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changed relationship from a hostile relationship to a favorable relationship, and then hostile relationship. This study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type of the elderly expressed in picture book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idea for the direction of express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for picture book producers. 본 연구는 고령화, 핵가족화시대에 그림책 속 노인 등장인물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영유아가 노인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그림책에서 노년기 삶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노인과 대상의 관계 및 관계유형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이 등장하는 영유아 그림책 76권을 분석하였다. 첫째, 노인과 관계를 맺는 대상은 가족관계 중 손자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사회, 자연관계 중 두 개가 함께 표현된 책이었다. 둘째, 노인과 대상과의 관계유형에서는 호의적 관계유형에서 상호친밀이 표현된 책이 가장 많았고, 대립적 관계유형에서 호의적인 관계유형으로 변화한 책, 대립적 관계유형이 표현된 책의 순이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에 표현된 노인이 맺는 관계와 관계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그림책 창작자에게 노인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이해 및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육길나 ( Gilla Yuk ),최경 ( Kyo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다문화 그림책과 그 활용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보육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변인에 따라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이해 및 활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그림책의 개념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만5세반 교사가 높았다. 다문화 그림책 교육의 필요성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높았다. 다문화 그림책의 활용 능력은 만5세반 교사와 다문화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았다. 다문화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추가 교육의 내용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접근법 및 다문화 그림책 연관활동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교사의 학력과 담당 영유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가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하려는 이유는 다문화 아동의 긍정적인 정체감 형성과 다문화 지식 전달의 용이성 때문이 많았고 학력과 담당 영유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하지 않으려는 이유는 다문화 이해 및 교육에 대한 지식부족과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때문이 많았고 담당 영유아 연령과 다문화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their utilization. with 139 childcare teachers, this researcher analyzed their perceptional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s. The university graduates and those who were in charge of five-year-olds had better concept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university graduates had greater needs for education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teachers in charge of five-year-olds and those having got multicultural training were better at utiliz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For additional education about educational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re were lots off needs for and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requirements for activities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hich differed by teachers' education and the age of children they cared for. Some of the most frequent reasons why teachers intended to us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ere because they could help multicultural children establish positive identity and because they could make it easier to impart multicultural knowledge, which differed by their education and the age of children they cared for. Some of the most frequent reasons why teachers intended not to us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ere because they had a poo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poor perception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differed by the age of children they cared for as well as by their multicultur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n approach that can help childcare teachers giv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y their general backgrounds.

      • KCI등재

        그림책에 묘사된 책의 이미지 분석

        육길나 ( Yuk Gil La ),최경 ( Choi K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그림책에 묘사된 책의 이미지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글과 그림 모두에서 책의 이미지를 잘 드러내는 책 66권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른 분석 과정을 통해 연구 대상 그림책들에 묘사된 책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책을 읽는 주체의 측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누구나 책을 읽을 수 있어요.`와 `누군가 책을 읽어줄 수 있어요.`라는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둘째, 책이 주는 가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책은 재미를 주어요.`와 `책은 문제해결 방법을 알려 주어요.` 및 `책은 모험과 상상의 세계로 안내해요.`라는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셋째, 책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보여주는 것으로서 `몰입하며 읽어요.`와 `글을 못 읽어도 괜찮아요. 상상하는 게 곧 책이에요.` 그리고 `책만 읽으면 안돼요. 바깥놀이도 친구도 소중해요.`와 `책을 소중히 보존해요.`라는 이미지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에 묘사된 책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부모나 교사가 그림책을 읽어주거나 지도할 때에 어떠한 면을 의미 있게 살피고 지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그림책을 만드는 글 작가와 그림 작가에게는 책에 묘사된 기존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더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이미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창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age of books described in picture books. In this study, image of books described in sixty six picture books was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 of subject who reads the book, image of `everyone can read a book or someone can read books for you` was shown. Second, in terms of value that a picture book has, image of `a book is interesting`, `a book lets us know how to solve a problem` or `a book leads us to the world of adventure and imagination` was shown. Third, in terms of attitude toward a book, image of `it is good to read a book immersed in it`, `it is all right if you can`t read a book. to imagine is more important than to read`, `it is not desirable for you to only read a book. it is also important for you to make friends and play with your peers outside` or `it is good for you to keep a book appropriately` was sho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arents to think about considerations when they read picture books to their children by analyzing image of books described in picture books. Findings of this are expected to provide lots of ideas in writers creating various images that picture books give.

      • KCI등재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육길나 ( Yuk Gil La ),강은진 ( Kang Eun J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D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가정양육지원을 위해 수행된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이 실행되는 과정과 수업에 참여한 부모들에게 나타난 변화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모소모임 교육의 실행은 매주 1회, 1시간씩 총 8차시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었으며, 부모들과의 사전면담과 매 차시별 평가에 나타난 요구를 반영해 1차 실행과 평가, 2차 실행과 평가로 진행되었다. 부모들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내 자녀 알아가기, 그림책 육아입문하기`, `그림책 실습으로 육아에 다가서기`, `그림책육아로 행복한 부모되기`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소모임 교육이 부모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통해 그림책을 자녀와 함께 읽는 기쁨을 줄뿐만 아니라 육아에 대한 자신감도 갖게 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picture book parenting on small group class in a child care support center at D city, and to observe how the attitudes of the twelve participating parents changed during the class. This small group class was done one hour per a week over 8 sessions. Interviews and journals by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ents became aware of their kids` book preference, and learned the meaning of picture book parenting. Secondly, participants understood the way of bringing up their kids as they practiced how to read books. Thirdly, parents learned how to become happier parents by applying picture book parenting.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the picture book parenting technique on a small group class gave parents the pleasure of shared book reading with their kids, and empowered them in child rearing.

      • KCI등재

        어린이집의 교육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1-3세대 통합 어린이집 강사를 중심으로)

        육길나 ( Gil La Yuk ),최경 ( Kyo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는 일자리 창출과 함께 세대 간의 통합이 가능한 1-3세대 통합 교육형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충남 소재 어린이집에서 1-3세대 통합 교육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 참여의 특성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 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특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피어슨 상관 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대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일자리 사업 참여 특성에서는 참여경로, 참여이유, 참여기간, 참여횟수, 사업참여 만족도, 참여지속성여부 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 참여 특성은 모두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일반적 특성보다 참여 특성이 생활만족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다회귀분석에서도 일반적 특성보다 참여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후에 보육기관에서의 1-3세대 통합 교육형 일자리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업 참여의 특성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what effect the 1st~3rd generationintegrated education type job projects that enable integration among generations along with creating economy have on the seniors’ living satisfa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ing 100 senior citizens joining the 1st~3rd generation-integrating education-type job project at day care centers in Chungnam Province, investigation was made to find if there’s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General features and Pro ject-joining fea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a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gender and age among the senior citizens’ general features of gender, age group, education lev el, marriage status, housing type, health status,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personal monthly income. Secondly, regarding their patterns of joining the seniors’ job pro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joining passage, reason, times, sati sfaction and whether they continued to join or not and the like. Thirdly, in their person al factors and joining patterns, correlation similar to their living satisfaction was found. Their joining features showed higher correlation to their living satisfaction than their ge neral features did.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know how to compose project -joining Ch aracteristics of Elderly in a try to explore how to activate future 1st~3rd generationintegrating job projects of child c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