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三使 선발과 대일정책

        유채연(Chae-yeon Yu)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1 No.-

        본 논문은 통신사행에 참여한 사행원들 가운데 사절의 책임자로서 사행을 이끄는 三使에 주목하고, 삼사의 선발을 통해 조선후기 대일정책의 일환으로서 통신사가 능동적으로 파견된 외교사절임을 밝히고자 한다. 삼사는 통신사와 동격으로 간주될 만큼 사절의 책임자로서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었다. 그래서 사행 준비에서도 가장 먼저 선발되었으며, 사행을 준비하는 모든 과정에 참여하여 대일외교의 분위기를 익혔다. 이들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삼사의 관력에 대한 검토로 이어졌으며, 삼사의 선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대일업무 체계에서 구심적 기관이었던 비변사와 예조를 중심으로 삼사의 관력을 살펴본 결과, 삼사에는 비변사나 예조관원을 역임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시기는 대체로 1646년~1762년 사이에 집중되고 있었다. 다시 말해,1655년 사행을 기점으로 비변사나 예조관원과 같이 대일정책의 의결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던 인물들이 지속적으로 사행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삼사의 선발양상이 변화하는 데에는 조선의 대일정책의 변화에서 기인하였다. 대일무역의 전개상에서 오는 폐단이 커지면서 조선정부가 심각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 결과 밀무역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1652년에는 ‘禁散人各房約條’가 마련되었다. 한편 조선으로 도항해 오는 무역선의 수가 증가하면서, 영남지역의 부담을 덜기 위한 방편으로 1655년 통신사의 파견을 통해 무역선의 추가를 막고, 무역선을 매개로 하여 대마도의 통제를 꾀하였다. 이러한 대일외교상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조선이 대륙정세의 변화 추이에 따른 운신의 폭이 좁은 상황에서 대일정책의 변화를 시도한 것이 크게 가시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이 조?일 관계에서 안착된 것이 1682년 사행 이후이며, 조선이 양국관계를 주도하는 안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계해?신미 약조와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따라서 1655년 통신사행이 조선 후기 대일외교사의 전개에서 가지는 의미는 명확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와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that Tongsinsa(Communication Envoy) was a envoy dispatched activly as a part or its diplomacy toward Japan through selection of Samsa(Three envou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focusing on Samsa which led Tongsinsa in charge of the delegate. Samsa who was considered as Tongsinsa undertook an important assignment in charge of the envoy. So, they were the first selection in the delegate in preparing, and participated in tortuous process of preparing and adjusted to atmosphere of diplomacy toward Japan. The expectations about the role of these Samsa led to a review of the experience of the government posts, it influenced their selection for Samsa. Thu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ir government posts with Bibyensa(the office of Border Defense) and Yejo(Ministry fo Rites) which was a central institute in the system of the diplomacy toward Japan, majority of them already worked for these institutes. That time largely concentrated between 1646~1762. In other words, people who participated in approval process of diplomacy toward Japan such as Bibyensa or Yejo officials consistently took part in Tongsinsa from the envoy in 1655. These changes of selection of Samsa were caused by changes in diplomacy toward Japan of Chosun. As the ill effects of trade with Japan increase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think more deeply about this issue for Chosun. In result, "Geumsanipgacbang Yackjo(禁散入各房約條)",was enacted to prevent smuggling in 1653. Meanwhile, as the number of trading vessel which came to Chosun was increasing, Chosun tried to prevent its increasing for alleviating the economic trouble of people in Youngnam Province and to control Tsushima(對馬島) with fluctuation of trading vessels through dispatch of Tongsinsa trip in 1655. Despite the specific change in diplomacy toward Japan, it has not properly assessed. Because the attempt to change of diplomacy toward Japan in the narrow situation with circumstances of continents in China would not be significantly visible difference. However, it is parked in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since Tongsinsa trip in 1682,Chosun could take the lead a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tries in the stable atmosphere, and sign such as the Kyegae Treaty of 1683 and the Sinmyo Treaty of 1711. Thus the meaning of Tongsinsa trip in 1655 on the development of diplomacy toward Japan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is very clear. That"s why we need to understand in different perspectives and active evalu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시대 兒名圖書에 관한 고찰

        유채연(Yu, Chae-Yeo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본고는 조선시대 아명도서의 사급과정과 그 운영을 살피고, 나아가 조선후기에 한정하여 아명도서의 사급과 운영이 대일정책 속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아명도서는 초기에는 쓰시마도주나 그 아들의 兒名으로 사급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쓰시마도주의 嫡子에게 사급되어 조선에 세견선을 파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었다. 조선시대 아명도서의 사급은 조선의 대일정책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조선전기 조선은 통교를 원하는 왜인들의 도서사급이 급증하면서 세견선을 제한하고 접대규정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무역 확대를 요구하는 왜인들의 변란이 잦아지면서 위기감을 느낀 조선은 쓰시마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쓰시마에 대해 세견선을 추가로 허락하고, 회수한 도서를 부활시키는 등 이전보다 완화된 태도로 전환하였다. 쓰시마도 조선의 東藩을 자처하며 왜구문제 해결에 협조하면서 아명도서와 그에 따른 세견선을 받는데 성공하였다. 임란 이후 조일간의 국교가 재개되는데 앞장섰던 쓰시마는 그 공을 인정받아 도주의 도서와 함께 그 아들의 아명도서를 허락받았다. 조선후기에도 쓰시마는 아명도서의 운영에 있어서 도서를 반납하지 않고 사송선을 유지하거나 막부의 명을 들어 아명송사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무역량을 증대해 나갔다. 당시 조선은 청의 감시와 견제를 받으면서 운신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남방의 평화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시마의 계산을 알면서도 번번히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 청의 지배질서가 안착되면서 대내외적으로 안정을 확보하게 된 조선은 그동안 쓰시마의 잘못된 교섭관행을 바로잡고, 대일관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시작하였다. 1683년 宗義眞의 아들 右京의 도서를 거절함으로써 이전의 아명도서 사급 사례를 特恩으로 인식시켜 전례 가능성을 차단하고, 아명도서 사급은 조선의 재량권이 크게 작용하는 사안임을 쓰시마에게 명확하게 인식시켰다. 또한 1709년 쓰시마가 彦千代의 도서를 요청했을 때에도 조선은 당시 외교현안이었던 교간사건의 처리문제와 연결하여 1711년 신묘약조가 체결될 때까지 조선의 주장을 관철하는데 유리한 협상카드로 활용하였다. In this study, the endorsement process and management of the Amyong Doseowere investigated and relationship of these activities as a diplomatic strategy in the late Joseon Government was scrutinized. The Amyong Doseo was issued to the Tsushima Governor or to the Tsushima Governor’s son under their Childhood name by Joseon Governmen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myong Doseo was issued to the Tsushima Governor’s son in order to endorse his right to deploy trading ships(Segyeon Shun). Issuing the Amyong Doseo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plomatic strategy of the Joseon Government toward Japa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oseon Government controlled trading ships and the privilege as there were increasing endorsement requests from Japanese for trade. As armed protests of Japanese increased because of the limited trading opportunities, the Joseon Government decided to alleviate the Japanese requests by cooperating with the Tsushima government. Based on this decision, the Joseon Government allowed more trading ships from Tsushima and re-issued endorsements that were retrieved.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Tsushima declared the island as a colleague of the Joseon Dynasty, helped Joseon protect itself Japanese Pirates, and was permitted the Amyong Doseo and trading ship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sushima governor and his son were allowed the Amyong Doseo for their effort in recover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sushima did not return the Amyong Doseo and increased trade in various ways, including keeping private trading ships and promoting the Amyong Songsa based on the Tokugawa Bakufu. At that time, Joseon did not reject Tsushima’s request to secure the relationship with Japan because Joseon had a difficult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 due to the surveillance and containment by that country.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l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 by correcting the diplomatic allowance to Tsushima when Joseon secured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Qing Dynasty. In 1683, Joseon did not endorse Ukyong, who was a son of Jongeuijin. By this rejection, the Joseon Government showed Tsushima that the previous endorsement was an extraordinary case and endorsement was the unique right of Joseon Dynasty. Moreover, Joseon Dynasty rejected to endorse Unchundae, who belonged to Tsushima, in 1709 to utilize the endorsement right for taking advantage to complete the Shinmyo Agreement in 1711.

      • KCI등재

        『海行記』를 통해서 본 1734년 문위행

        유채연(Yu, Chae-Yeon)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본고에서 역관 김홍조가 작성한 『해행기』를 통해 1734년 문위행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행기』는 조선후기 문위행과 관련하여 유일하게 알려진 사행록으로, 17세기 후반부터 중인계층의 문학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 시기 사행문학의 저자가 다양해지는 가운데 나온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자신이 맡은 소임 안에서 사행 경험을 충실하게 그려냈다. 그러나 실무자 사이에서 오고갔을 현안 협의와 같은 내용에 접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해행기』를 통해 문위관의 다양한 활동 등 사행의 실제적인 모습을 복원하면서 이들의 일본인식에 접근할 수 있다. 1734년 문위행도 대마도주의 승습을 축하하고, 江戶에서 還島한 일을 위문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동시에 도주 교체에 따른 圖書와 兒名圖書를 환수하는 일도 임무였다. 김홍조는 1732년에는 숙부 김현문을 보좌하여 초량에 있는 동안 왜관의 업무 경험을 익히고 대조선 외교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으로 김홍조는 김현문을 배종하여 사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1734년 문위행은 대마도에 도착한 이후 신 · 구 도주의 교체와 還島문위에 따른 공식적 의례 행사에 참석하였다. 이러한 의례절차는 조선조정이 대마도주를 위무하고 축하하는 뜻을 전달하는 상징적인 과정이었으며, 공식적으로 새로운 대마도주를 對조선외교 전담자로 인정하는 방식이었다. 한편 문위행이 신도주의 아명도서를 환수하는 과정에서 대마도는 지속적으로 아명도서 반납을 되도록 늦추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문위관 김현문과 박춘서는 담당 봉행을 설득하여 마침내 도주의 허락을 받아 아명도서를 포함하여 3개의 도서를 받아오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도서 환수과정은 동래부에서 이미 협의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실제 대마도에서 진행되는 상황은 다르게 전개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문위행이 대마도의 외교업무 관계자를 비롯하여 결정권자와 직 · 간접적으로 대면하면서 교섭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통로가 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해행기』에서 김홍조는 사행단이 머물고 있는 관소를 오고가는 사람들에 대해 기록하였다. 대부분 단발적인 재회에 불과했으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일가와 자주 접촉하였다. 여기에는 조선 역관이 조일 양국의 의사소통에 영향력이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김홍조는 의술을 조금 익히고 있어 대마도에서 요청을 받고 진료방문을 나갔다. 이러한 응대는 사행의 원만한 업무수행과 더불어 대마도내의 주요 인물들과 친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unwihaeng"s activities which were recorded by Kim Hong-jo in Haehaenggi. The Haehaenggi was the only record of the diplomatic trip that described Munwihaeng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writing activity of jungin men increased after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diplomatic visits abroad also increased and showed various points of view. In Haehaenggi, the author, Kim Hong-jo, dutifully recorded all of the diplomatic activities while conducting his own duties. Unfortunately, the information about each diplomatic activity in detail was limited. However, the Munwigwan"s concept regarding Japanese could be reconstructed with the detailed diplomatic activities described in Haehaenggi. The Munwihaeng sent in 1734 was undertaken in order to congratulate the new governor of Tsushima upon his appointment and to comfort him upon his return to Tsushima from Edo. At the same time, the diplomatic trip was necessary in order to return the doseo seal (圖書) and the Amyeong doseo seal (兒名圖書)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Kim Hong-jo had rich experience working in the Waegwan in Choryang (草梁) and in encountering Japanese diplomats working in Choson while he supported Kim Hyun-mun, his uncle, in 1732. Based on these experiences, Kim Hong-jo was accompanying Kim Hyun-mun for this diplomatic trip. In the 1734 Munwihaeng, the participants attended the official ceremony for the replacement of the Tsushima governor. This was a diplomatic activity for comforting and for congratulating the governor upon his inauguration as well as admitting the Tsushima governor as an official representative for diplomatic activity with the Joseon dynasty. The Tsushima officials were continuously intended to work for the redemption of the Munwikwan"s Amyoung doseo seal. Finally, the Munwikwan officials Kim Hyun-mun and Park Chun-seo successfully redeemed three Doseo seals, including the Amyoung Doseo seal, by persuading the responsible Bonghaeng (奉行). Even though these procedures were previously agreed upon in Dongrae, the actual procedures could differ from the agreement. Therefore, the Munwihaeng was the diplomatic officer fo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Japanese diplomatic officer and diplomatic arbiter in Tsushima through diplomatic meetings in direct and indirect ways.

      • KCI등재

        조선후기 ‘問慰行’ 명칭과 성립과정에 대한 재고

        유채연(Yu Chae-yeon)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2 No.-

        국가 간에 구사되는 외교행위에는 그것을 실행하는 국가의 외교정책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때, 외교사행은 국가의 외교정책이 구체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에서는 ‘문위행’ 명칭과 파견과정을 검토하였다. 먼저 ‘문위행’ 명칭의 이해를 위해 ‘문위’의 개념을 검토한 결과, ‘문위’는 안부를 묻거나, 멀리에서 온 사신을 위로하거나 撫恤하는 차원에서 접대하거나 격려하는 등 다양한 의미로 표현되었다. 또한 ‘문위’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행하는 것으로, 대외적으로는 조선과 주변국의 상하관계를 표현하는 용어이기도 했다. 조선은 ‘문위’와 그에 따른 의례 규정을 통해 주변국과의 질서를 구축해 나갔다. 조선은 ‘문위’에 대한 접대 규정 외에도 수행하는 관리의 명칭에도 원칙을 세워, ‘문위’하는 대상에 따라 접대하는 관리의 품계와 명칭에 차이를 두어 ‘使’와 ‘官’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원칙은 조선에서 ‘문위’를 목적으로 하여 대외 사절을 파견할 때에도 적용되어 조선 전 후기에 대마도에 파견하는 사절은 3품 이하의 관리 또는 역관이 ‘官’의 명칭으로 파견되었다. 또한 사절과 사행을 의미를 구별하여 ‘문위관’과 ‘문위행’으로 쓰는 것이 정확한 사용이라고 하겠다. 한편 조선과 일본의 사료를 통해 문위행이 파견되는 과정을 재구성한 결과, 1629년 조선이 대마도주를 문위하기 위한 목적에서 역관을 파견한 것이 문위행의 시초임을 확인하였다. 조선이 대마도에 문위행을 파견한 배경은 동년 5월 玄方의 상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당시 玄方은 ‘요동 평정과 조공로 확보’라는 막부장군의 제안을 전달하였다. 이는 조선의 위기의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조선은 玄方이 막부장군의 명을 빌미로 상경과 미수공목 지급을 허락받기 위한 것임을 파악하면서도 정작 그 진위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이를 계기로 조선은 일본의 국내사정을 탐색할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조선은 이전과는 다르게 당면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그 결과 조선은 대마도주를 위문한다는 외교의례 수행을 표방하면서 역관을 파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1632년 문위행의 파견에 이르러서는 대마도에서 도주의 환도와 막부장군의 사망을 알려옴으로써 『증정교린지』에서 제시하는 ‘문위행’의 요건 -대마도에서 도주의 환도나 경조의 일을 알려오면 이를 문위하기 위하여 역관을 대마도에 파견-이 비로소 갖춰지게 되었다.

      • 건축에서 빛의 중요성과 동서양 빛 전개 비교 연구 : 안도 타다오와 루이스 칸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유채연 ( Chae-yeon Yu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2 No.0

        건축의 역사가 빛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빛은 건축의 역사에 있어,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빛은 인간의 심리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성과 감정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필자는 최근 건축 동향에서 빛이 ‘인공조명’에만 집중되어있으며 예전부터 중요한 건축 요소로 이용되어 왔던 ‘자연 빛’의 중요성을 간과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때문에 이 논문을 통해 건축에서의 빛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며, 더불어 현대 건축에서 새로운 빛의 공간을 창조하기 위한 연구를 장려하고자 한다. 필자는 빛의 중요성과 전개 방법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동서양 건축가 두명을 선정해 작품 비교를 하고자 하며, 빛을 주요 건축 요소로 선정한 동서양의 건축가로 안도 타다오와 루이스 칸을 선정했다. Ligh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o the extent that the history of architecture can be said to be the history of light. Light can even affect human psychology, and it can be seen that it plays a role in connecting reason and emotion. However, I judged that light is concentrated only on 'artificial lighting' in recent architectural trends, and the importance of 'natural light', which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architectural element for a long time, is overlooked. Therefore, through this thesis, I w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ight in architecture, and also to encourage research to create a new space of light in modern architecture. In order to close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ght and how to develop it, I selected two architects from the East and the West to compare their works.

      • KCI등재

        17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右京圖書 교섭

        유채연(Yu, Chae-Yeon)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3 No.-

        본 논문의 목적은 동아시아 정세가 안정되는 가운데 조선이 기유약조체결 이후 누적되어온 조일관계의 현안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분위기 속에서 右京圖書 교섭을 중심으로 조선의 달라진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17세기 후반은 청이 명의 지배영역을 완전하게 확보하면서 조선에 대한 감시와 압박이 완화되었던 시기로, 이전보다 운신의 폭이 넓어진 조선은 대일외교에서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해 나갔다. 1683년 대마도가 도주 宗義眞의 아들 右京의 承嫡을 계기로 右京圖書를 요청한 데에 대하여 조선은 이전에 발급했던 彦滿圖書 반납을 조건으로 제시하며 右京圖書 발급을 거절하였다. 이에 대마도는 右京圖書를 얻기 위해 재판차왜를 연속 파견하고, 여러 가지 사안들을 제기하며 장기간 왜관에 체류하면서 조선을 압박하였다. 이와 같은 태도는 국교 재개 이후 대마도가 지속해 왔던, 원하는 바를 관철하기 위하여 무리한 요구를 하며 조선을 압박하는 전형적인 교섭 방식이었다. 그러나 조선은 도서 발급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하며 오히려 재판차왜의 체류 일수를 제한하고, 중첩하여 도항할 때에는 日供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단호하게 대응해 나갔다. 1687년 재판차왜 平成辰이 왜관에 머무는 상황에서 새로운 재판 平成尙이 나오자, 조선은 平成辰에게는 일공을 중단하고 平成尙에게는 접대 불허라는 강력한 제재를 가하였다. 이후에도 체류일수를 넘기는 재판차왜에 대한 접대를 중지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면서 조선은 彦滿圖書의 반납을 강하게 요구하며 기존의 입장을 더욱 관철시켰다. 그러나 1692년 右京이 도주가 되면서 대마도가 더 이상 右京圖書를 요청할 수 있는 명분이 사라지면서 도서 교섭은 종결되었다. 결과적으로 조선이 주장하였던 彦滿圖書의 반납은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10년에 걸쳐 진행되었던 右京圖書 교섭을 통해 조선은 대마도에 대해 도서 규정을 확인시키는 한편 대마도가 그동안 보여왔던 불합리한 교섭관행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조선은 대일외교자세의 변화와 의지를 대마도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선의 변화는 이후 조일관계에서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모멘텀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ifferent aspects of Joseon’s response focused on the negotiation of Ukyong-Doseo while Joseon was actively resolving issues between Joseon and Japan after Kiyu-treatment in the stable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Joseon changed the diplomatic policy against Japan with an active attitude with a wide range of maneuver because Qing Dynasty completely secured the territory and alleviated the pressure and watch on Joseon. When Ukyong , the son of So Yosijane(宗義眞) who is the governor of Tsushima, was elevated as a legitimate son in 1683, Tsushima asked to issue Ukyong-Doseo, but Joseon denied to issue Ukyong-Doseo because the previously issued Unman- Doseo was not returned. To issue Ukyong-Doseo, Tsushima continuously dispatched Jaepan-Chawae and stayed in Waegwan for a long period while raising various issues to put pressure on Joseon. This was the typical negotiation strategy of Tsushima to put pressure on Joseon when Tsushima wanted to achieve what they want. However, Joseon reaffirmed to deny the issuance of Doseo and showed their strong policy by limiting the number of days for staying for Jaepan-Chawae and stopping daily payment necessities when Jaepan-Chawae overlapped. When a new Jaepan Chawae(平成尙) was arrived while a previous Jaepan Chawae(平成辰) was staying in Waegwan, Joseon imposed severe sanctions by stopping daily payment necessities to the previous one and denying to host the new one. After that, Joseon strongly urged the previous conditions to return of Unman-Doseo and denied hosting Jaepan-Chaewae when the allowed stay was passed. However, the negotiation for Doseo was terminated because Tsushima could not ask to issue Ukyong-Doseo when Ukyong became a Tsushima governor. Consequently, the return of the Unman-Doseo that Joseon claimed did not execute, but Joseon confirmed the Doseo rule and tried to correct the unreasonable negotiation practices of Tsushima through the ten-year long negotiations on Ukyong-Doseo. Moreover, Joseon clearly showed the change and intention of diplomatic stance against Japan to Tsushima. This change of Joseon served as momentum that help Joseon actively lead futur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 FCP(Free-form Concrete Panel) 제작에 사용되는 FSM(Free-form Silicone Mold)의 한계와 해결방안

        정경태 ( Jeong Kyeong-tae ),윤종영 ( Youn Jong-young ),유채연 ( Yu Chae-yeon ),이동훈 ( Lee Dong-ho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In order to manufacture high-quality free-form concrete panel (FCP),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free-form silicone mold (FSM) and conduct technology development research. Currently, the FSM used in FCP manufacture is classified into a side silicon mold(SSM) and a lower silicon mold(LSM).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each silicon mold were analyzed and solutions were proposed. In the case of side silicon mold, there is a limit to cannot supporting the side pressure of concrete. Therefore, a mold stacking method was proposed,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correcting the movement value of the rod was proposed. In the case of the lower silicon mold, there is a limit to completely implementing the design shape. Therefore, a real-time scanning method and a process of displaying FCP shape coordinat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high-quality F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