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발량을 고려한 단순 물수지 방정식 개선을 통한 소양강댐 유입량의 재평가

        유지영,이동진,유도근,김태웅,Yoo, Jiyoung,Lee, Dong Jin,Yoo, Do-Guen,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6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dam inflow data, which is critical in planning and managing the supply and demand of water resources in a basin. However, the simple water balance model sometimes results in negative inflows and does not consider the actual inflow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o address these issues, the existing water balance formula was modified by considering evaporation which is available for calculation among other outflows. The modified water balance formula was applied to the Soyang D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negative inflows decreased in the re-evaluated dam inflow data and it was possible to secure consistency for the total inflow volume. In addition, investigating the water availability in the Soyang Dam watershed based on the water balance concept considering evaporation, it was found that direct water use in the human aspect was about 60%, and the indirect water use in the natural aspect was about 40%. In drought yea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indirect use of water resources increased.

      • KCI등재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가뭄과 수질관리의 인과관계에 대한 확률론적 평가

        유지영,유재희,이주헌,김태웅,Yoo, Jiyoung,Ryu, Jae-Hee,Lee, Joo-Heon,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1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achievement rate of the target water quality conditioned on the occurrence of severe dr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three drought indices with difference time scales such as 30-, 60-, 90-day, i.e., SPI30, SPI60, SPI90, and three water quality indicators such a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total phosphorus (T-P), we firs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e drought occurrence water quality change in mid-sized watersheds, and identified the watersheds in which water quality was highly affected by severe drought. The Bayesian network models were constructed for the watersheds to probabilistically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e drought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Among 22 mid-sized watershed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ur watersheds, such as #2005, #2018, #2021, and #2022, had high environmental vulnerability to severe drought. In addition, severe drought affected spring and fall water quality in the watershed #2021, summer water quality in the #2005, and winter water quality in the #202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ought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s usufaul in proactive drought management.

      • KCI등재

        사회적 재난에서 시각장애인 여성 안마사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득, 권리의식, 정보접근 경험을 중심으로

        유지영(Yoo, Jiyoung),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재난 국면에서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안마사 경험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중증 시각장애 여성 안마사와 헬스키퍼 5명을 FGI하여 그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녹취한 전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통 쟁점을 도출하고 의미화 및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은 코로나19가 요구한 대면과 접촉 금지 속에서 공통적으로 소득 감소 및 일자리 불안 경험을 하였다. 헬스키퍼는 상대적으로 기본급이 보장되지만 두 직업 모두 중증 여성 시각장애인들을 최저 임금 수준의 패쇄된 안마사 직업에 평생을 가둔다는 점은 동일하다. 둘째 기업 소속 헬스키퍼 직종이 민간 안마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낫다는 판단 때문에 여성들은 권리의식이 낮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예외적인 한 여성을 제외하고는 안마사들도 스스스로의 권리찾기나 권리 주장이 낮은 모습을 보인다. 이는 부분적으로 이들의 고용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과 고용불안정 자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변화들이 시각정보 위주로 제공되는 불평등한 조건 속에서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들은 정보접근 및 제도 이해 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사회적 재난이 이들의 고용이 본질을 그 극명하게 드러냈으며,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에게 유보직종인 안마사에 대한 사회적 해석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들의 삶이 최저임금에도 못미치는 합법화된 가난을 제공하는 안마사 직업에 여성들을 가두는 사회적 구조를 지적하며,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직종의 개발 및 직업편의 지원제도 확충, 권리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의 확대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experience of a female masseur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in the social disaster phase of COVID-19. Method: Five female masseuses and health keepers with visual impairments of level 1 were FGI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their experiences, and transcrip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common issues. Results: First, women who where interviewed commonly experienced reduced income and job insecurity amid the ban on face-to-face and contact required by COVID-19. Healthkeepers are guaranteed a relatively basic salary, but both jobs are the same in that they keep severely visually impaired women in a closed masseur job at the minimum wage for life. Second, because it is judged that the health keeper employed by company is relatively better than a private masseur, women have a low sense of rights and a passive attitude. This seems to be due in part to their inadequat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ir employ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itself. Third, under the unequal conditions in which the changes since COVID-19 are mainly provided with visual information, severely blind women have very low levels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system understanding. Conclusion: These results clearly reveal the nature of their employment in the phase of social disaster, and suggest that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the masseuse--a reserved occupation for severely blind women-- should be different. It points to the social structure that confines women to masseuses jobs that provide legalized poverty where their lives are less than the minimum wage. In this regards,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occupations and expansion of support systems for them, and expansion of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ir rights.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 구축을 위한 설계방안 모색

        유지영 ( Yoo Jiyo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6 No.-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춤만을 주제로 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전자문화지도를 구축하려는 작업의 첫 단계로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의 설계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문화지도의 연구개발 현황에 대하여 탐색하고, 문화재청 문화재 지도의 체계와 문제를 진단한 후 전자문화지식지도의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자문화지도는 1996년 ECAI의 발족 이후 국내 학계에서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점차 인문학, 지리학, 역사학, 민속학 등의 분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무용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무용기록 및 연구도구로서 유용한 전자문화지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둘째, 문화재청 문화재 지도를 살펴본 결과 문화재지도는 2002년부터 약 10년간 국가지정 문화재 정보를 전자문화지도로 구축하여 현재 고도화 단계에 이르렀으며 동영상, 사진, 단행본 등의 자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유형분류와 검색 색인, 위치표현, 분포, 정보 오류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는 방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로서 검색이 용이하고 범용성이 넓은 분류체계가 요구되었다. 셋째,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제안된 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는 한국무형문화재 춤만을 주제로 하여 정보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고, 논문과 같은 전문학술정보를 연계하여 통합적인 전문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역동적인 콘텐츠이다. 따라서 설계된 시스템에 따라 영역 분류와 입력지침을 예로 제시하고 가상의 맵(map)을 구현함에 따라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의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build electric culture map in advanced form with the topic of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s. It aims to search for design methods for electric culture knowledge map.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present status of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design methods was researched.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ystems of cultural heritage fro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directions of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design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study, the electric cultural map attracted interest and attention from domestic academic circle since ECAI started in 1996. And then it has expanded to humanities, geography, history, folklore, etc.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useful electronic cultural map was required as a new form of dance history and research tools in the field of dance.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ltural heritage map fro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cultural heritage map reached the current advanced level by building nati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with electric cultural map over about 10 years since 2002. It also provides with movies, photos, monographs, etc. visually. However, the vast amount of troubles was found from search index, types of cultural heritage, location expression, distribution, information error, etc. They are the errors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of building and classifying a great deal of data. Classifying system of easy search and multi-functionality was required. Third, the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ggested as problem recognition,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of dance targeted on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to improve information provision. Linking to professional academic information like paper, it provides integrated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is a dynamic content. Therefore, according to designed system, area classification and input guidelines were suggested as examples. Virtual map was realized to identify the potential to build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of dance.

      • KCI등재

        근로 변인과 성역할 변인이 남성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Jiyoung Y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남성들의 근로 관련 변인과 성역할 관련 변인이 그들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대기업 종사자 남성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위계선형 회귀분석 결과 남성들의 근로 관련 변인 중에서는 근로시간과 일가정갈등 변인이 남성들의 양육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남성들의 근로시간이 길거나 갈등 정도가 높을수록 양육참여는 낮게 나타났다. 남성들의 성역할 관련 변인은 성역할 성향과 양육 성평등 분담 의식 두 변수 모두 양육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성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양육분담을 성별 간에 공평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남성일수록 양육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남성 및 대기업 근로자 이용 확대 및 성역할 부모교육 등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work related variables and gender role related variables affect their fathering.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of 165 males working in the S big corporation. I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In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among working-related variables of men, working ti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men in rearing. The longer the working hours of men, the lower the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variables related to gender roles of ma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child rearing in both gender role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sharing consciousness. The men who has more masculinity showed lower participation of child rearing. The men who believes the equal gender role in child rearing showed higher participation of child re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suggestions.

      • KCI우수등재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유지영(Yoo, Jiyoung),한정우(Han, Jeongwoo),김동욱(Kim, Dongwook),김태웅(Kim, Tae-Woong)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3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Although forest fires are more often triggered by artificial causes than by natural causes, the combustion conditions that spread forest fire damage over a large area are affected by natural phenomena. Therefore,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which can analyze the dependent an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factors, this study evalu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relative influences between forest fire, weather, and drought, taking Gangwon Province as our sample reg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pact of drought on forest fires was 27 % and that of the weather was 38 %. In addition, forest fires in spring accounted for about 60 % of total forest fires. This indicatesthat along with meteorological factors, the autumn and winter droughts in the previous year affected forest fires. In assessing the risk of forest fires, if severe meteorological droughts occur in autumn and winter, the probability of forest fires may increase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 KCI등재

        기본소득의 재원조달 쟁점에 관한 소고

        유지영(Yoo, Ji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중앙정부의 차 긴급재난지원금은 우리나라 최초의 전 국민 기본소득으로 인정되지만 재원조달 쟁점을 정부와 1 학계가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본소득 관련 다양한 논쟁점 중에서 재원조달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기본소득 관련 국내외 학술문헌과 사례에 대한 문헌 수집, 검토와 분석이다. 연구 결과 기본소득 재원조달 방안은 네 가지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는 적자재정을 확대해서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적자재정 여지가 남아 있기 때문에 현실성 있는 방안이지만 장기적으로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된다. 두 번째는 기존의 사회복지 제도의 재정비로 확보되는 재정을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생계급여 중 일부 축소시켜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기본소득이 그 전 급여에 비해 충분히 크지 않으면 저소득층이나 노인들에게 역차별이라는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셋째는 공공자원에서 나오는 공유부를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토지세 신설이 구체적으로 제안되어 있는데 세금 증대에 대한 반발을 해결 하는 것이 선행되지 않으면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기 힘들다는 것이 한계이다. 네 번째는 기존의 과세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본소득을 추후 선별환수 하거나 면세점을 없애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하나 이상의 재원조달법을 병행하여 지속가능한 전 국민 기본소득을 실현하거나 범주형 기본소득을 실현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Present study analyzes the issues related to financing among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basic income. The research method is the collection, review and analysis of literature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literature and cases related to basic income. As a result of study, four basic income financing measures were organized. The first is to expand the deficit budget and use it as a source of basic income. It is a practical plan because there is room for Korea"s deficit fiscal budget,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are limits to promoting sustainability in the long term. The second is to use the funds secured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system as a source of basic income. If some of the basic old-age pension and basic livelihood benefits are reduced and used as a source of basic income, controversy about reverse discrimination may arise among the low-income class or the elderly if the basic income is not large enough compared to the previous salary. The third is to use the shared wealth from public resources as a source of basic income. Korea has specificall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land tax, but the limitati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draw a social consensus unless it is preceded by resolving the backlash against tax increase. Fourth, using the existing taxation system, a method of selectively returning basic income or eliminating duty-free points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o realize a sustainable basic income for the nation or to realize a categorical basic income by implementing one or more financing methods in parall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