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아트에 대한 경제적 가치 인식에 관한 연구

        유기상 ( Ryu Ki Sang ),신연하 ( Shin Yean H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제4차 산업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미디어아트에 대한 경제적 가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미디어아트 산업의 영향과 인지도 정도, 대학생들이 예측하는 미디어아트 산업의 사회적 현상은 무엇인지, 미디어아트 산업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미디어아트 산업의 경제적 가치 인식에 성별, 학년, 전공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인천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효한 설문 150부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조사결과 미디어아트 인지도에 대해 각 변수는 성별, 학년별로 차이는 없었으나 전공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예술분야는 인지도가 높았으나 기술공학 분야에서는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과 경영분야에서는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영분야와 기술공학 분야 학생들은 미디어아트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특히 경제와 문화예술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디어아트산업은 어려운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간의 융합과 연결이 중요시되는 지금 대학생들이 다양한 산업 분야의 변화를 인식하고 예술이 산업의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미디어아트 산업의 경제적 가치 인식변화는 향후 대학생들의 경제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economic benefit in the media art industry during the 4th Industrial Period and a survey i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The goal is to find out how the university students’ view on the effect of the media art industry, and how much they perceive the economic benefit.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grade and major among the students in their view on the economic benefit of the media art industry. We surveyed about 150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a university in Incheo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s view in gender and grade variabl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based on each student’s major. Particularly, for the students in the fields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engineering, viewed that media art would make a higher ecumenical impact on the culture and arts. However, the media art industry is considered a difficult section. Now that convergence and connectivity between industries are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nging trends in various industrial sectors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and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media art industry. This study provides the blueprint information for the education plan regarding the culture and art.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regarding economic benefit on the media art industrial would be usable for supporting logically and objectively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that help to make decisions as providing the information for economic activities by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디지털리터러시의 환경에서의 사진 미디어 고찰-장애인 문화지평을 위한 사진리터러시 중심으로-

        유기상 ( Ryu Ki-sang ),이원섭 ( Kim Chong-ken ),김종근 ( Lee Won-sub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오늘날 미디어를 이루고 있는 디지털 환경은 우리들에게 일상생활뿐 아니라 사회, 문화, 예술 방면에 이르기까지 생산자적 소비자의 소통구조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흐름은 웹 미디어를 영상세대인 웹 2.0 세대의 삶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 매체로 변모토록 하였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이용하는 웹 기반의 디지털 소통구조는 장애인의 예술 문화와 사회 참여의 소통 격차를 줄이는데 일정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소외계층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예술문화를 활성화하였으며 사용자의 미디어 생산자, 수용자, 유통자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현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의해 생산·소비하는 정보와 노출되는 이미지를 다루기 위하여 장애인은 어떤 종류의 지식, 창의력, 리터러시 능력, 그리고 인성을 갖추어야 하는가? 정보 전달 중심의 미디어 소통 구조 속에서 장애인의 사회적인 요구는 열악한 사회 인프라에 의해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아직 장애인의 실천적 참여 활동은 적지만,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 함양은 다수의 소통방식인 시각 언어에 대한 리터러시 능력 교육을 통해 추구해야한다. 이제 중요한 것은 장애인의 소통 활동에 대한 인식과 책임을 일깨우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기반의 소통에 대한 보다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공유를 위해 정보의 균형 있는 판단과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인에게 미디어에 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여야 하며 장애인 문화지평을 위한 논의의 중심에 사진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Digital environment forming today`s media has produc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producer like consumers not only in our daily life but also in society, culture and arts. This trend has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Web media into the medium of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life of the Web 2.0 generation, who is the multimedia generation. In particular, web-based digital communication structure using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played certain roles in narrowing communication gaps in the disabled`s arts,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Such environment has invigorate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underprivileged class and brisk artistic culture , and restructured the new relations among producers, consumers and distributors. What kinds of knowledge, creativity, literal abilities and personality are required to the disabled in order to deal with information and images produced and consumed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at present? In the media communication structure centering on informative communication, social demands of the disable haven`t been conveyed by poor environment. Thought practic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ve not been enough yet, the disabled`s communication-building should be pursued the literacy ability through education, which is a way of the visual language Now, what is the important thing is awakening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y for the disabled`s communication activities. Based on it, we need to judge and select information in a balanced way for more conscious and rational sharing of media-based communi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fer the disabled to media continuously and to raise the necessity of photo literacy in the discussion for the prospects of culture.

      • KCI등재

        포토에세이를 활용한 문화예술 Digital Media-Network-Art(DNA) 구조 분석

        유기상 ( Ryu¸ Ki Sang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2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igital Media-Network-Art (DNA) structure for Art and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and it expects the positive impact on the pursuit of the healthy life for middle aged women through this process. Therefore, the researchers inten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 and Digital Media-Network-Art (DNA) structure for Art and Culture using photo essay for middle aged women and ‘진심대면’ project which is under progress by them. For this study, we did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person who accept single person cultural joined ‘진심대면’ project and survey for the middle aged women. The available surveys, 100 copies, were used for frequency, factor, regression and difference analysis through SPSS 23.0 which is the program of statistics. The result of study, first, is indicating that Digital Media-Network-Art (DNA) structure for Art and Culture is positive impact for seeking to the healthy life. Second, the photo essay has control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Network-Art (DNA) structure for Art and Culture and pursuit for healthy life. Third, it is shown that the Art and Culture has role of space and rest expressing myself by photo essay. Fourth, it is expressed that the necessity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Art and Culture program for single person. Based on this result of study, we would like to provide the objective data so that variable program can be planned and developed using photo essay.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for this study.

      • KCI등재

        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요법 집단사진치료 연구

        김연미 ( Kim Yeon Mi ),유기상 ( Ryu Ki Sang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1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4 No.1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 group photo therapy based on the flashback is effect on improve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Nine elderly women having sub-threshold depression who intend to join this study and are using the B general welfare center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gram of group photo therapy based on flashback was in progress for 10 times, 90 minutes once a week from October 16 to December 18, 2019. The tool of this study used the GDSSF-K in Korean version and the measure of ego integrity and it was conducted before/after.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s, Standard of living/education and age for participants on this study and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before/after average change of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First, group photo therapy shows positive/ efficient for entire depression of the elderly. Second, group photo therapy shows efficient on the elderly’s overall ego integrity and past/present which are sub area. Therefore, the elderly considered the passed times in life are valuable according to the group photo therapy based on the flashback and it shows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and positive understanding by harmonizing and making a balance on the past and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was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of group photo therapy based on the flashback in order to improve the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of elderly.

      • KCI등재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연하(Yeon-Ha Shin),유기상(Ki-Sang Ryu)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수업활동을 위해 팀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수업효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수업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젝트 수업 구성 요인을 검증하여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겸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15주 수업에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5주 수업과 프로젝트가 끝나는 날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80부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식 수업보다 프로젝트 수업에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팀 응집력과 팀 워크는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프로젝트 수업은 성적 결과와 상관없이 수업참여과정에서 즐거움과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효과 향상을 위해 수업 프로그램 구상과 제작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of satisfaction of instructional process to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hat how students make the team for class activity and instructional effect. According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cture-based instruction and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verify the component factor of project-based learning so that this study can suggest various ways to participate in classes actively. For this stud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es from this researcher were selected and it was analyzed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in progress for 15 weeks clas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and the survey was done at the last day of 15 weeks class and project. Frequency, differenc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3.0 with 8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at first, the instruc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satisfaction on project-based learning is higher tha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 team cohesion and team-work is giving a huge impact on instruc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At last, project-based leaning makes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Enjoy and satisfy in the course of class participation regardless of the result. Based on these findings, we are looking for the ways to use the project-based leaning and provide the objective data for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lass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