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 물질의 구성요소와 공외연성을 중심으로

        유가연 한국하이데거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2

        본고는 인식 행위에서 물질의 보이지 않고 지각하기 힘든 특성이 변화시키는 의미와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자는 존재론적 물음이자 문제를 던지기 위해 물질의 공외연적 특성을 방법론으로 택하였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미리 규정되어 있지 않고, 스스로 창조하는 특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미지가 인간의 자유의지이자 의지적 표현 및 내용이라고 본 들뢰즈의 관점을 다루는 데 있다. 들뢰즈는 인간의 의지를 오성보다 더 상위에 두었는가? 혹은 오성을 의지보다 더 상위에 두었는가? 이미지를 통한 들뢰즈의 자유의지에 관한 견해는 그가 주의주의자인지 혹은 주지주의자인지에 관한 논의를 뛰어넘는다. 이미지는 이미 의지나 오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기도 하면서, 인식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비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물질의 비물질성을 포착하도록 만들면서,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 위에 있는 형식이다. 지각행위의 비결정성 혹은 절대적 자율성으로 인해, 이미지는 선험적으로 주어진 조건이 아니다. 이미지는 주의주의와 주지주의의 이분법적 관점을 전복시킨다. 보기나 읽기 등의 대상이자 경험 자체인 이미지는 다른 감각 정보와 더불어 시각 정보를 포괄하면서, 펼친다. 이미지는 촉지각적 정보들을 자신 안에 요소들로 담고, 다른 감각 정보들과 분리 및 결합하면서, 지각적 대상이자 감각 기호가 된다. 이미지는 물질 덩어리에서 개념이나 관념들을 걸러내는 인식 과정을 구축하는 의지이다. 이 과정에서, 개념이나 관념들은 언제나 수용체를 왕래한다. 수용체는 이미지 요소들을 교차하고 결합하며 빈 곳으로 남겨놓기도 한다. 사유는 외연적 공간을 해체하면서, 감성적 시간을 새롭게 경험한다. 질적인 공간에서 풀려나 무-의식의 속도차에 빠져드는 지각행위는 외연과 연장을 공통으로 분배 및 배분하면서, 이미지와 관련한 자유의지를 향해 묻고 문제를 제기한다. 외연적인 것들이 강렬도 안으로 해체되면서, 존재는 스스로 이미지의 형식을 연역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감성적 필연성을 자유의지로 가진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s and relationships that are altered by the invisible and imperceptible properties of matter in the act of perception. Human free will is not predetermined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self-cre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Deleuze’s perspective that images are reflections of human free will as well as volitional expressions and content. Did Deleuze believe human will to be transcendent of reason, or was he convinced that the latter goes beyond the former? His perspective of free will through images extends beyond the discussion of whether he is an intellectualist or a voluntarist. An image is not only matter that we already possess but also an immaterial component that is out of the scope of our perception. Moreover, it is a form that lies on the border between matter and immateriality, making it possible to capture the immateriality of matter. Given the indeterminacy or absolute autonomy of perceptual actions, an image is not an a priori condition. The image subverts the dichotomous view of voluntarism and intellectualism. The image, which is the object of seeing or reading, and the experience itself unfold visual information while encompassing it along with other sensory information. An image also contains haptic information as elements within itself, separates and combines it with other sensory information, and becomes a perceptual object and a sensory sign. An image is a will that constructs a cognitive process wherein concepts or ideas are filtered from a mass of matter. In this process, concepts or ideas always come and go through a receptor, which maps the intersection, union, and empty sets of image elements. Thinking deconstructs extensive space and experiences a new sensible time. The perceptual action, which is released from the qualitative space and falls into the speed difference of the unconscious, distributes and shares extension and expansion in common. To probe into the free will conveyed through images, the researcher chose the coextensive properties and diagrams of matter as components of this study’s methodology. As extensive objects are deconstructed into intensity, beings have the sensible necessity of deductively inferring the form of an image by themselves as a manifestation of their free will.

      • KCI등재

        시뮬라크르와 바로크의 존재론적 문제 -질 들뢰즈의 『주름』에 나타난 자기-포함을 중심으로-

        유가연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09 No.2

        연구자는 들뢰즈가 주목한 자기-포함의 개념을 통해 이것이 어떻게 사유에서 하나의 관 념을 걸러내어 생각의 자유를 취할 수 있는지, 이것이 어떻게 유한한 존재 안에서 공존하고 동시성을 띠는지를 살펴본다. 유한과 평행적 관계를 가지는 무한은 복합적이면서도 단순성 을 띤다. 이질적 특성을 띠는 만큼, 무한은 다양한 양상들로 나타나는데, 스스로를 포함하는 자기자신에 의한 무한이 최초의 무한이다. 최초의 무한은 자발적으로 사건을 포함한다. 이 글은 사건 속에 담긴 시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나무가 붉다가 아니라 붉게 물들 어가다와 같은 술어들로 표현한 사물을 통해, 사물 위에서 보는 행위가 개념이나 관념 안에서 펼쳐지는 현상을 뜻한다. 이것은 시간의 소인이기도 하다. 들뢰즈가 논하는 시간의 미적 경험에 드러나는 감성론을 통해, 연구자는 어떻게 파편화된 사물이 모순적으로 연속된 시간으로 출현하는지를 플라톤의 『소피스트』에 나온 파편적인 존재와 『티마이오스』에 나온 추 상적인 시간에 대해 주목하였다. 들뢰즈의 감성론은 시뮬라크르와 바로크 문화의 알레고리의 연관성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플라톤의 존재론과 들뢰즈의 존재론 사이에 어떠한 다른 점들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 주제는 어떻게 『의미의 논리』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논리가 신플라톤주의자이기도 한 라이프니츠의 단자와 주름의 개념을 통해 바로크적인 것을 의미 하게 되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어떻게 들뢰즈로부터 라이프니츠의 단자와 주름이 그 자신만 의 ‘주름’ 개념으로 재해석되었는지를 다양하게 논하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존재 가 가지는 자기-포함의 특성이 어떻게 시간의 초월성을 실질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Through the concept of auto-inclusion that Deleuze paid attention to, the researcher examines how it can filter out a single idea from thought and take freedom of thought, and how it coexists and is simultaneous within a finite being. Infinite, which has a parallel relationship with finite, is complex and simple. As it has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infinity appears in various a spect s, a nd i nfinit y b y i t self, w hich i ncludes i t self, i s t he f irst infinity. The first infinity voluntarily includes events. This article examined the continuity of time contained in the event. Thi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act of seeing on an object unfolds within a concept or concept through objects expressed in predicates such as “the tree becomes red”, but not as “the tree is red”. This is also a predisposition to time. Through the sensible theory revealed in Deleuze’s aesthetic experience of time,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how the fragmented things appear as the contradictory continued time, to the fragmented being in Plato’s Sophist and the abstract time in Timaios. Deleuze’s theory of sensible stems from the connection between simulacre and the allegory of baroque culture. And we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Plato’s ontology and Deleuze’s ontology. This topic discusses how the logic of simulacre shown in The Logic of Sense comes to mean t he baroque t hrough Leibniz’s concept of monad and fold, who is also a neoplatonist. It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variously discussing how Leibniz’s monad and fold were reinterpreted by Deleuze as his own concept of fold. This study will reveal how the characteristics of aut o-inclusion o f e xistence c an b ring t o t hink p ractically a bout t he transcendence of time.

      • KCI등재

        들뢰즈의 모상과 물에 나타난 시간과 타자 - 다양체를 중심으로 -

        유가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1

        현대철학은 자기지향주의를 버리고, 타자지향주의로, 더 나아가 객체지향주의로까지 논의를 발전하고 있다. 이 글은 기억과 지속하는 시간, 생명이 도약하는 운동을 유아론이 아닌 자아해체론의 입장에서 낯선 존재와 상상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존재 이유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억과 지속, 도약은 들뢰즈가 여러 저서에서 다룬 다양체 개념의 세 요소이면서, 어떻게 사유에서 관념이 형성되는지를 질문하기 위한 요소들이기도 하다. 관념은 미분 요소와 이 요소들의 미분 관계들, 여기에 상응하는 독특점들로 형성되는데, 이것이 직관이다. 들뢰즈는 직관을 관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시한다. 사유의 필연성이자 방법이 되는 직관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존재론적 질문을 던진다. 일자와 다양의 미분적 특성, 모상과 물의 개체적 차이, 물질과 비물질, 내용과 표현 등의 논의가 그 예이다. 직관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고, 다양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가 된다. 이 연구는 플라톤에서부터 시작하여 존재와 비존재의 대립구도로 구성된 존재론에서 벗어나 개체적 차이로 드러나는 존재론을 구명하고, 후설에서부터 시작하여 후기칸트주의와 분석철학에까지 영향을 미친 현상학에서 벗어난 시간 속의 타자를 다룰 것이다. 상실한 시간을 되찾기 위한 방법은 프랙탈 공간에 기초한 다양체에 있다. 다양체는 내적 공동체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17-18세기 로코코 양식을 차용한 현대도예 사례 연구

        유가연,이상용 한국도자학회 2020 한국도자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style of the 17th-18th century Rococo period and to examine the patterns and decorative features that appear in modern ceramic works. From 1715 to 1770-80 in the era of Rococo, where salon culture emerged, rather than male-centered decorative elements that boasted power or status, the art that emphasized femininity was developed by pursuing a colorful, romantic,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works of modern ceramics expressed by reinterpreting the patterns of the Rococo period. Case authors examined and analyzed works reinterpreted by Rococo motifs by works by Han Jung-eun, Katsuyo Aoki, Jeff Koons and Toby Ziegler. The study based on this background showed that the Rococo period patterns were re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modern ceramic works and used in their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decorative and harmonious nature of modern pottery through various patterns of the Rococo era. 본 연구는 17-18세기 로코코시대의 시대적 배경과 양식을 이해하고 현대 도자 작품에서 나타나는 문양과 장식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7-18세기 권력이나 지위를 과시하던 남성중심의 엄중하고 장중한 장식요소가 아닌 살롱문화가 등장한 로코코시대에는 화려하고, 낭만적이며, 안락한 분위기를 추구하여 여성성이 부각된 예술이 발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자 작품 중 로코코시대 문양을 재해석하여 표현된 작품을 연구하였다. 사례 작가로는 한정은, 카츠요 아오키, 제프 쿤스, 토비 지글러의 작품으로 로코코를 모티브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로코코시대 문양이 현대 도자 작품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어 작품에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로코코시대 다양한 문양을 통해서 현대 도예의 장식성과 조화성을 넓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