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성페로몬에 대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의 반응에 관여하는 생물적 , 기상적 요인

        위안진(An Jin Wi),박승찬(Seung Chan Park)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1

        Behavior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iller and Park males immediately after emergence from their cocooning site, and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iveness of the flying males to synthetic pheromone were studied. On Pinus thunbergii saplings, newly emerged males walked around to locate females. The males lanuched themselves into flight after up to three times of copulation. Without the presence of females, the males took off within five minutes whereas when the females were placed nearby but copulation was artifically prohibited the males did not take off. In a wind tunnel, the presence of female pheromone discouraged male take off. More males were flying in sunny area than in shade, but light intensity had no effect on the responsiveness of males toward the pheromone source. Wind speed was the main meteorological factor that affected the male responsiveness. Most males, after hitting the substrate near pheromone source with various posture, stood on their feet and approached the source.

      • KCI등재

        저온처리에 의한 솔껍질깍지벌레 여름휴면의 조절

        이종희,위안진,박승찬,Lee, Jong-Hee,Wi, An-Jin,Park, Seung-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우리나라 해안지방 해송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솔껍질깍지벌레의 여름휴면현상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휴면진행시기에 따라 1차, 2차, 3차의 휴면종료실험에 있어 각각 5월 4일, 6월 19일, 8월 15일부터 공시충(1령 약충)을 온도별, 기간별로 저온저장한 후 자연온도 조건에서 사육하며 발육을 관찰하였다. 1차와 2차 실험은 2.5, 5.0, 7.5, 10.0, 12.5, $15.0^{\circ}C$의 각 저온에서 10, 20, 30, 40일간 저장하였으며, 3차 실험은 자연 상태에서 휴면발육(physiogenesis)이 상당히 진행된 시기이므로 동일한 온도조건에서 3, 6, 9,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온기에서 꺼내고 20일이 지난 후부터 각 공시충의 2령 약충으로의 탈피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하여 본 해충의 여름휴면 중 휴면발육을 가장 촉진시킬 수 있는 온도와 그 완료에 필요한 기간을 규명하였다. 휴면발육을 가장 촉진시키는 온도는 $7.5{\sim}10^{\circ}C$이었으며, 이들 온도에서 휴면발육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1차실험에서는 40일, 2차실험에서는 20일, 3차실험에서는 6일이 각각 소요되었다. 휴면발육을 위한 발육영점온도는 $29^{\circ}C$로 추정되었으며 유효적산온도는 964일도이었다. 이를 근거로 자연온도조건에서의 유효발육온도의 합과 비교하여 추정한 결과 자연상태에서의 휴면발육 완료시기는 9월 8일이었다. 자연상태에서 약충의 50%이상이 2령충으로 탈피한 시키는 11월 9일이였으며, 휴면후 발육(morphogenesis)을 위한 발육영점온도는 $10^{\circ}C$로서 유효적산온도는 391일도이었다. A set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zero temperature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summer diapause and post-diapause developmen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iller et Park (Hemiptera: Margarodidae) which infests the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The diapausing first instar nymphs were kept in cool storage during three separate times, each starting from May 4th, June 19th, and August 15th of 2002. Cool storage temperatures were 2.5, 5.0, 7.5, 10.0, 12.5 and $15.0^{\circ}C$. The nymphs were chilled for 10, 20, 30 or 40 days in the first two sets of experiments. In the third experiment, nymphs were chilled for 3, 6, 9 or 12 days. Molting into the second instar nymphs was examined every 10 days, starting at 20 days after taken out from the cool storage.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the diapause development was between 7.5 and $10^{\circ}C$, where diapause development was completed in 40, 20, and 6 days by the insects chilled from May 4th, June 19th and August 15th, respectively. Comparing the three sets of experiments with different chilling periods, zero temperature for diapause development was calculated as $29^{\circ}C$. Effective temperature for diapause development was 964 degree days, and it was estimated that nymphs completed their diapause development by September 8th in nature. Under natural temperature conditions >50% eclosion into the second instar occurred on November 9th. Zero temperature for post-diapause development was $10^{\circ}C$,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post-diapause development until the molt into the second instar was 391 degree days.

      • 꾸지뽕나무의 ITS 영역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오찬진 ( Chan Jin Oh ),이솔 ( Sol Lee ),권용석 ( Yong Seok Kwon ),유한춘 ( Han Choon You ),유석봉 ( Suk Bong Ryu ),위안진 ( Anjin Wi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2

        꾸지뽕나무를 8개 집단에서 암·수나무를 구별하여 ITS1, 5.8S 그리고 ITS2 영역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전체 719 bp의 염기가 밝혀졌으며 ITS1 영역은 231 bp, 5.8S 영역은 158 bp 그리고 ITS2 영역은 239 bp로 나타났다. 분자학적 유연관계는 나주지역의 암·수나무 개체와 진주의 수나무 개체, 홍성의 수나무 개체, 보령의 수나무 개체 및 고흥의 암나무 개체의 염기서열이 100%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이들과 군산의 암나무 개체와 순창지역의 수나무 개체와는 99.8%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순창지역의 암나무 개체와는 99.4%의 유의성을 보였다. 임실지역의 암·수나무 개체간에는 99.8%의 유의성을 보였다. 뽕나무(FJ599759)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결과는 64.7%의 유연관계를 나타내 뽕나무와 꾸지뽕나무 간에는 분자학적 유연관계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꾸지뽕나무 개체 간에는 염기서열의 변이가 적어 유전적으로 유의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mparison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of nuclear rDNA of 8 distingushed male and female of Cudrania tricuspidata (Call.) Bureau were made for the genetic analysis. The length of total nuclear DNA was showed 717 nt and including 231 nt of ITS1 gene, 158 nt of 5.8S gene and 239 nt of ITS2 gene.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amplified ITS gene region, the homologies were showed 100% from male and female of Naju, male of Jinu, Hongseong, Boryeong and female of Goheung plant. However, these palnts showed 99.8% and 99.4% homologies with those of female of Gunsan, male of Sunchang and female of Sunchang plants, at nucleotide level, respectively. The female and male of Imsil plants showed 99.8% homologies. The homologies between Cudrania tricuspidata and Molrus alba (Genebank accession number FJ599759) palnts showed 66.7%. The results suggested that Cudrania tricuspidata were distinct from Molrus alba and showed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drania tricuspidata plants at the nucleotide level of ITS region.

      • KCI등재

        미송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의 최적 배지 조성과 버섯의 β-glucan 함량 비교

        완승진 ( Seung Jin Wang ),김현석 ( Hyun Seok Kim ),위안진 ( An Jin Wi ),윤병선 ( Byung Sun Yoon ),박화식 ( Whoa Shig Park ),박형호 ( Hyeong Ho Park ),오득실 ( Deuk Sil Oh ) 한국목재공학회 2014 목재공학 Vol.42 No.4

        최근 다양한 언론매체 및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통해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꽃송이버섯의 농가 대량재배 일반화를 위하여 최적톱밥 입자크기 및 β-glucan 함량이 높은 재배법 연구를 수행한 결과 T7 (1∼2 mm25%, 2∼4 mm 50%, 4 mm 이상 25%) 배지와 같이 입자크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배지에서 11.5 ± 1.0 cm/44 days로 비교적 우수한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자실체생산 역시 대조구보다 높은 142.9 ± 17.7 g의 생중량으로 상품성이 있는 꽃부분이 8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배지조성 조건에 따른 β-glucan 함량은 모든 자실체에서 꽃부분에 비해 기부가 1.4∼2.4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 중 이스트 300 ppm이 첨가된 PCF300 (미송 + 옥수수분말 + 소맥분 + 이스트 300 ppm) 배지의 꽃송이버섯 기부가 59.5%로 가장 높은 β-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꽃부분에서는 비교적 낮은 33.0%의 함량을 보여 꽃부분의 β-glucan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꽃송이버섯 재배시 T7조건인 1∼2 mm 미송톱밥 25%, 2∼4 mm 미송톱밥 50%, 4 mm 이상 미송톱밥 25%의 비율로 톱밥입자 크기를 조절한후 옥수수분말과 소맥분을 첨가하여 배지조제후 이스트 300 ppm첨가하면 β-glucan 함량이 높은 꽃송이버섯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Functional effects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have been magnified by various media and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papers, recently. So, optimum condition of wood chip particle size and cultivation method of high β-glucan content for bulk cultivation generaliz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farms researched. As a result, T7 (1∼2 mm 25%, 2∼4 mm 50%, over 4 mm 25%) media as mixed media of certain ratio of particle size, showed excellent growth at 11.5 ± 1.0 cm / 44 days. Also, production of fruit body found higher than control and marketable pileus part took 85% ratio. The β-glucan content at media composition condition showed 1.4∼2.4 times higher content in stipe part than pileus part. Also, PCF300 medium found 59.5% highest β-glucan content in stipe part. While β-glucan content showed 33.0% low content in pileus part. Therefore it needed additional study that β-glucan content improved in pileus part. In conclusion, production of high β-glucan content cauliflower mushroom was possible by T7condition (wood chip particle size: 1∼2 mm 25%, 2∼4 mm 50% and over 4 mm 25%, composition: cor\ our and 300 ppm yeast)

      • KCI등재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심리,생리 상태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 ( Min Hee Kim ),위안진 ( An Jin Wi ),윤병선 ( Byoung Sun Yoon ),심봉섭 ( Bong Sup Shim ),한영훈 ( Young Hoon Han ),오은미 ( Eun Mi Oh ),안기완 ( Ki Wan An ) 한국산림과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1

        In modern society, we are disconnected from nature and under a lots of stress. And this is cause of the various diseases. Also than in the past, People experiencing mental health problems and Psychiatric Inpatient rates appear to have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Psychiatric Inpatients``s mood and depressive state, stress respons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5 patients in the N Hospital in Naju,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2) and a control group (n=13),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m 20 to March 29, 2013. Its effect was verified by utilizing the K-POMS-B and BDI, saliva.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improvements in their depressive state and degree of stress stat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p<0.01). However, Cotrol group, these difference were not found.

      • KCI등재

        합성페로몬의 지상높이별 위치 및 풍속에 따른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의 비행

        박승찬(Seung Chan Park),위안진(An Jin Wi),김형선(Hyung Sun Kim) 한국산림과학회 200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9 No.1

        Matsucoccus thunbergianae is a major insect pest of Pinus thunbergiana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To study the flight behavior of M. thunbergianae males responding to the synthetic pheromone, five sticky traps were placed on a bamboo pole at various heights, between 0.1m and 2.0m above ground. A bait impregnated with the synthetic pheromone was placed at 0.1m, 1.0m or 2.0m above ground and the number of male catches on each trap was counted. In an open area, numbers of males caught per trap were not different between heights when the bait was placed at 2m or 1m above ground ; when the bait was placed at 0.1m height, male flight was aggregated near the ground. In a forest with low crown closure, trap catches on five traps on the same bamboo pole were not different one another when the bait was placed at 2m height, but most males were flying near the bait when it was placed at 1m height. In a dense pine forest, most males were flying around the bait regardless of the bait position. In all three places, most males were caught on the trap near the ground when the baits were placed Urn above ground. Thus, for monitoring the frontal zone of infestation of the scale, placing the pheromone trap near the ground was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When the males perceived pheromone, they tended to fly in the air with low wind speed.

      • 개똥쑥과 동백 열매 추출물 복합체의 전립선암 성장 억제 연구

        심봉섭 ( Bong Sup Shim ),오찬진 ( Chan Jin Oh ),박화식 ( Wha Sik Park ),위안진 ( An Jin Wi ),김성빈 ( Seong Bin Kim ),김진순 ( Jin Sun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개똥쑥 추출 조건에 따른 추출액과 동백 열매 추출물의 복합체를 대상으로 전립선암 유발 세포와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였다. 개똥쑥은 전남 곡성 흥산영농조합법인에서 재배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백 열매는 완도 수목원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추출은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60℃, 15분, 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전립선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개똥쑥 추출액과 동백 열매 추출물 복합체를 마우스 섬유모 세포주인 L929과 전립선 암세포주인 LNCaP, DU145에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L929에서는 2000㎍/㎖에서 유의적인 성장 저해 효과가 있었으며 LNCaP에서는 50㎍/㎖에서부터 성장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고 100, 200, 500㎍/㎖에서 유의적인 저해 효과를 보였고 DU145에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50㎍/㎖에서부터 성장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고 100, 200, 500㎍/㎖에서 유의적인 저해 효과를 보였다. 개똥쑥 추출액과 동백 열매 추출물 복합체를 이용하여 전립선 비대증 치료 또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extraction condition is Artemisia annua extract and fruit extract of Camellia conjugate to target prostate cancer cells and prostate hypertrophy inducing effect on the experiment. Artemisia annua is grown in Jeonnam Corporate Farming Association Gokseong province Heongsan targete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camellia fruit is used Wando Arboretum. Extractor for extracting a sample by using ultrasonic waves 60 ℃, 15 min, the solvent is extracted using ethanol. Inhibition of cell growth in prostate cancer cell lin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emisia annua extract and camellia seed extract complex of mouse L929 cells and prostate cancer cells, all fiber master LNCaP, DU145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result in, L929, the 2000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in LNCaP showed a 50 ㎍/㎖tended to inhibit the growth is from 100, 200, 500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each treatment as a result DU145 50 ㎍/㎖tended to inhibit the growth is from 100 , 200, 500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rtemisia annua extract and camellia extract the complex treatment or prevention of prostate enlargement can be seen that analogy.

      • 완도의 관속식물상

        장경수 ( Kyoung Soo Jang ),오찬진 ( Chan Jin Oh ),유한춘 ( Han Chun Yu ),박화식 ( Wha Sik Park ),위안진 ( An Jin Wi ),심봉섭 ( Bong Sup Shim ),이솔 ( Sol Lee ),김고운 ( Go Un Kim ),이계한 ( Key Ha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완도 본섬 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0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식물상을 파악한 결과 131과 446속 733종 1아종 81변종 13품종의 총8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모두 159종으로 단풍딸기 등 Ⅴ등급종 6분류군, 혹난초 등 Ⅳ등급종은 9분류군, 영주치자 등 Ⅲ등급종은 42분류군, Ⅱ등급종은 9분류군, Ⅰ등급종은 9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국립수목원 희귀식물로는 멸종위기종(CR)인 지네발란, 왕벚나무 2종, 위기종(EN)인 혹난초, 나도고사리삼 2종, 취약종(VU)으로 호랑가시나무, 모감주나무 등 11종, 약관심종(LC)은 7종, 자료부족종(DD)은 6종이 확인 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12과 27속 33종 1변종으로 총3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노각나무, 병꽃나무 등 11분 류군이 확인 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ain island of Wa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y 2010 to October 2013.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828 taxa, 131 families, 446 genus, 733 species, 1 subspecies, 81 varieties and 13 forms. The number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ere 159 taxa with 6 taxa of level Ⅴ such as Rubus palmatus Thunb., 9 taxa of level Ⅳ such as Bulbophyllum inconspicuumMaxim., 42 taxa of level Ⅲ such as 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9 taxa of level Ⅱ, 93 taxa of level Ⅰ. In addition, two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CR),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Makino and Prunus yedoensisMatsum., two endangered species(EN), Bulbophyllum inconspicuumMaxim. and Ophioglossum vulgatum L., eleven vulnerable species(VU), such as I lex cornuta Lindl. & Paxton and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seven least concrned species(LC) and six data deficient species(DD), were found in the investigated area. Also,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s 34 taxa, 12 families, 27 genus, 33species and 1 varieties; 11 endermic plants of Korea, such as Stewartia pseudocamelliaMaxim.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 CCGIS를 이용한 전남지방 산림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유한춘 ( Han Choon You ),박화식 ( Hwa Sik Park ),위안진 ( An Jin Wi ),오찬진 ( Chan Jin Oh ),유석봉 ( Seok Bong Yo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해수면 상승과 이상기후 발생 등 범지구적으로 광범위하게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전남지방의 산림분야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비코자 수행하였다. 취약성 평가는 대용변수로 선정된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을 기본요소로 하여 각 요소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취약성 = α × 기후노출 + β × 민감도 - γ × 적응능력 (α, β, γ는 가중치)식으로 산출하였다. 미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후노출은 A1B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2020년대, 2050년대, 2100년대의 기후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며 산림분야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취약성의 기여도 분석결과 기후노출 변수 중에서는 강수량, 일 최대강수량, 6∼8월의 강수량, 일 강수량이 80mm 이상인 날의 횟수, 5일 주기 최대강수량 순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민감도는 산림 내 평균경사도가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엽수식생 면적율, 산림 내 평균고도, 활엽수 식생 면적율, 조림지의 면적, 무림목지 면적 순으로 나타났다. 적응능력은 천연림보육 면적이 가장 높았으며 관리되는 토지율(%), 지역내 총생산, 산림공무원수, 산림방제인력, 재정자립도, 병충해방제 고용인력 순으로 높았다.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에 관한 미래예측 시나리오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산림지역의 면적이 많고 해발고도가 높은 산을 가진 지역들이 취약한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에도 이와 같은 패턴을 계속해서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산사태 취약성이 낮은 지역은 대부분 해안지역이 이에 해당되었으며 전남의 동부지역이나 서부지역 보다는 서남부지역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Recent climate change such as rising sea levels and extreme weather caused widespread damage appears a quadrant of the forestry sector in Jeonnam province to conduct vulnerability assessments and also to predict the future changes in preparation for this assignment was performed. Selected as proxy variables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vulnerability is defined as the following equation. Vulnerability = α × climate exposure +β × sensitivity - γ × adaptation(α, β, γ : weighting) Vulnerability to future climate for assessing the exposure of the A1B climate scenario, 2020 `s, 2050 `s, 2100 `s, was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climate.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forward-looking assessment of landslides caused by heavy rains forecast future scenarios, vulnerability assessment on a whole lot of the area of forests in high mountain areas with elevation was found to be vulnerable to the future are such as to show a pattern predicted. Low landslide susceptibility, while coastal areas are most applicable for this was the eastern region and the western region of Jeonnam province than was expected southwestern lowest.

      •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지역적합 우량균주 선발

        김현석 ( Hyun Seok Kim ),오득실 ( Deuk Sil Oh ),위안진 ( An Jin Wi ),오찬진 ( Chan Jin Oh ),박화식 ( Hwa Sik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지구온난화에 따라 표고버섯의 재배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새로운 표고버섯의 개발이 절실하다. 특히 전남지역에서는 온도상승과 새로운 병해충에 적응력이 강한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UPOV에 대비하여 경쟁력이 있는 품종을 확보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야생에서 채집한 표고버섯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하여 보유하고 있는 균주를 이용하여 Di-mono, mono-mono법을 이용하여 육종한 JF00-52, 53, 54, 55, 56의 총 5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10~13년까지 4년간 생산량 및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실체 특성조사는 갓의 크기별로 1~4등급(1등급: 8cm이상, 2등급: 8~6cm, 3등급: 6~4cm, 4등급: 4cm미만)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품질별로 화고, 동고, 향고, 향신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총생산량에 있어서 JF00-54 균주가 75,914g으로 다른 균주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JF00-52균주와 JF00-53균주는 각각 49,535g, 45,894g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JF00-55 균주와 JF00-56균주는 각각 1,174g, 5,067g으로 매우 낮은 생산량을 나타났다. 품질을 조사한 결과 JF00-54 균주가 화고와 동고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JF00-52균주와 JF00-53균주는 향신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총생산량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JF00-52, 53, 54균주를 대상으로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 두께, 갓 직경, 대 길이, 대 직경, 생중량의 모든 조사항목에서 3균주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Cultivation environment is changed by global-warming and suitable new cultivation method need to be developed. Especially, development new strains that the temperature and pest resistant is required in Jeonnam region. Also, UPOV against the development of competition strains are needed. In this study, used JF00-52, 53, 54, 55, 56 strains developed by Di-mono, mono-mono method and research yield and characteristic of fruit-body for 4 years. Characteristic of fruit-body was researched 1~4 grade(1: 8cm over, 2: 8~6cm, 3: 6~4cm, 4: 4cm under) by size of the cap and Hwago, Dongo, Hyangsin, Hyanggo by quality. In yield, strain JF00-54 was best, 75,914g. Also yield of strain JF00-52 and JF00-53 were same, respectively 49,535g, 45,894g. But yield of strain JF00-55 and JF00-56 were low, respectively 1,174g, 5,067g. In quality, strain JF00-54 was investigated that ratio of Hwago, Dongo is high. And strain JF00-52 and JF00-53 was investigated that ratio of Hyangsin is high. Result of characteristic of fruit-body was same on thickness of cap, diameter of cap, length of stem, diameter of stem, weight of fruit-body in three strain, JF00-52, JF00-53, JF00-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