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화형 액막법에 의한 Zn 성분의 추출시 액막의 안정성

        오치훈,황재석,심재우,이철태 ( Chi Hoon Oh,Jai Suk Hwang,Jae Woo Shim,Chul Tae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4

        유화형 액막을 이용하여 D₂EHPA-Kerosene-Span 80-H₂SO₄ 계에서 Zn성분의 추출시 액막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에멀젼의 파괴, swelling 현상 및 에멀젼의 morphology를 조사하였다. Zn 성분의 추출시 액막의 안정성에 대한 최적 조건은 계면활성제 Span 80의 농도 2∼3vol.%, 추출담체 D₂EHPA의 농도 5∼7vol.%, 막강화제 paraffin oil의 농도 10 vol.% 였으며, 외부수용액에 대한 에먼젼의 비 0.1, 유기상에 대한 내부수용액의 비는 1.0이 적절하였다. The stability of liquid membrane in the extraction proces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Zn component by using W/O/W emulsion type liquid surfactant membrane which was D₂EHPA-Kerosene-Span 80-H₂SO₄ system. The highest stability for liquid membrane through the Zn extraction process was obta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hat conditions were that span 80 concentration, as surfactant, of 2∼3 vol. % ; D₂EHPA concentration, as extractant, of 5∼7 vol. % ; paraffin oil concentration, as membrane strengthening agent, of 10 vol. % ; emulsion volume ratio to the external aqueous phase volume of 0.1, and internal aqueous phase volume ratio to the organic phase volume of 1.0.

      • SCOPUSKCI등재

        SHS 공정에 의한 MoSi2의 합성

        오치훈 ( Chi Hoon Oh ),송연호 ( Yon Ho Song ),이철태 ( Chul Tae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2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공정에 의해 MoSi_2를 합성하였다. MoSi_2 합성의 상용화 공정의 위해 Si의 원료로는 철강 참가용 Si괴를 사용하여 단일상의 MoSi_2를 얻을 수 있었으며, MoSi_2 합성을 위한 적정조건은 상대밀도 40%, Si의 입도 -325 mesh, Si/Mo의 몰비 2.2였다. MoSi_2 was synthesized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process. Silicon bulk was selected as a Si source for commercial process of MoSi_2 synthesis and single phase MoSi_2 has been prepared. The optimal conditions of MoSi_2 synthesis were relative density, 40%; particle size of Si bulk, -.02 mesh; mole ratio of silicon to molybdenum, 2.2.

      • KCI등재

        고려 전시과의 전개와 지급기준의 변화

        오치훈(Oh, Chi-Hoon)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3

        고려시대 토지분급제인 전시과의 전개 방향은 대체로 관료제적 성격을 강화하고 지급대상을 적절히 축소・조정하는 것이었다. 국초의 관계는 태조의 즉위와 개국, 후삼국 통일과정에서 공로를 세운 이들에게 주어진 것으로 관료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임무 수행 능력보다는 사회적 지위와 물리적인 힘, 국왕과의 친밀성을 고려하여 관계가 수여되었다. 지배체제의 개편과정에서 점차 이러한 점을 배제하면서 관직을 중심으로 토지를 지급하는 것이 전시과의 대체적인 흐름이었다. 그 과정에서 나말여초의 호족 및 공신세력과 그들의 후예는 토지분급제의 개편에 따라 변화에 순응하면서 포섭되었다. 전시과의 분급 대상은 이러한 역사적 경과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land system in the Goryeo Dynasty was to strengthen the bureaucratic nature and to appropriately reduce and adjust the payment targets.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period, gwange(官階; official ranks) was given to those who made contributions to the reign of King Taejo (太祖), and to the unification process, and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bureaucracy. Gwange was awarded in consideration of social status, physical strength, and intimacy with the King rather than the ability to perform missions. In the cours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ruling system, it was a general trend of jeonsigwa(田柴科) to pay the land centered on the office while gradually excluding these points. In the process, Hojok(豪族) and Gongsin(功臣; official who has rendered outstanding service) and their descendants adapted to the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land system. The object of jeonsigwa payment is formed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progress.

      • KCI등재
      • KCI등재

        고려(高麗) 전시과(田柴科)와 당(唐) 관인영업전(官人永業田)의 분급대상 비교

        오치훈 ( Oh Chi-ho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전시과의 분급대상인 여러 관직과 직역은 중국 唐制와 비교하면 명칭과 직무가 유사하여 이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전시과의 분급대상을 살펴보면 『唐六典』과 『舊唐書』, 『新唐書』, 『宋史』의 사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관직명과 직사관품은 대개 唐의 그것과 유사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참지정사나 閣門의 관직, 남반직은 五代 이후 宋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며 主事나 御史臺錄事가 고려에서는 서리인 것에 비해 唐에서는 품관이었다는 점이나 15과에 문산계인 將仕郎과 文林郎이 포함되어 있는 점 등은 고려의 독특한 특징이다. 唐에서는 관인에게 官品을 기준으로 영업전을 지급하였지만 전시과는 토지의 지급대상을 구체적으로 나열하여 표기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본래 관인의 지위를 표현하는 문산계가 고려에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했던 것에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唐의 토지분 급제와 전시과의 가장 큰 차이는 토지 분급의 대상이었다. 唐에서는 給田 규정이 品官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고려의 전시과는 품관 이외의 이속, 군인, 한인 등 직역 수행자에 대해서도 지급되었다. 고려의 토지제도가 중국 제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처럼 서로 다른 면도 적지 않았다. As a beneficiary of jeonsigwa (田柴科), various gwanjik (官職; official position) and jikyeok (職役; official work) are similar in name and function to Chinese Tang Dynasty (唐; 618-907)’s system. Therefore, a review is reques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historical data of Tangliudian (唐六典), JiuTangshu (舊唐書), XinTangshu (新唐書), Songshi (宋史) with beneficiary of jeonsigwa, it is confirmed that the name of gwanjik and gwanpum (官品; official ranks) are almost similar to those of Tang. And some official positions such as chamjijeongsa (叅知政事) and gangmun (閣門) seem to be an influence of the Song Dynasty. Despite same position titles, official positions were managed in quite different manners as the Goryeo Dynasty adopted Chinese systems and then modified them. Particularly, jeonsigwa defined 18 gwa, granted different amount of land and forest resources accordingly, and listed all eligible positions for each gwa. This included yuoe (流外; outside the current of ranked officials) like isok (吏屬; subofficial functionary) and soldiers, as well as pumgwan (品官) of yunae (流內; within the current of ranked officials). In Tang Dynasty, both gwaninyoungeopjeon (官人永業田) and jikbunjeon (職分田) were granted to yunae only, and seori (胥吏; petty officials) and jabim (雜任) could not receive land. That is, Goryeo Dynasty allowed for a larger pool of recipients than Tang Dynasty by including isok and soldiers.

      • KCI등재

        폐 LCD판넬로부터 붕규산유리 발포체 제조를 위한 원료 유리 제조

        오치훈 ( Chi Hoon Oh ),박윤국 ( Yoon Kook Park ),이철태 ( Chul Tae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4

        사용 후 발생되는 폐 LCD판넬용 유리의 재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별도의 전처리 없이 폐 LCD판넬을 습식분쇄함으로서 발포체 제조용 원료유리로 사용가능한 폐 붕규산유리의 회수 방법을 조사하였으며, 이렇게 회수된 폐 붕규산유리를 사용하여 발포체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입도 270 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 조절된 폐 붕규산유리를 대상으로 폐 붕규산분말 100 g에 대해 발포제로서 탄소분을 0.3 중량 분율, 추가 발포조제로서 Na2CO3, Na2SO4, CaCO3를 각각 1.5 중량 분율이 되도록 첨가한 원료 유리분말을 발포소성온도 950 ℃에서 20 min간 발포를 진행함으로서 밀도가 0.3g/cm3 이하되는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원료 유리에 추가적으로 SiO2 또는 H3BO3를 첨가함으로서 얻어지는 발포체에 효과적으로 개기공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개기공의 형성은 흡음 등 새로운 기능을 가진 발포체의 제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article, the foamed body of glass was manufactured from the waste borosilicate glass produced by wet pulverization process without additional pretreatment which can be used as a recycling method for waste LCD panel glass. Each 100 g of pulverized waste borosilicate glass with the size of less than 270 mesh were mixed with 0.3 weight fraction of carbon and 1.5 weight fraction of Na2CO3, Na2SO4 and CaCO3 and let them foamed for 20 minutes at 950 ℃ to manufacture the foamed body having the density of less than 0.3 g/cm3. Additionally, adding SiO2 or H3BO3 to the mixture enabled the foamed body to have efficient formation of open pores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for producing the foamed body with new functionalities such as sound absorption.

      • KCI등재

        특집논문 : 고려시대 海東耆老會의 성립과 "耆老"의 의미 변화

        오치훈 ( Chi Hoon Oh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破閑集』의 저자 이인로가 참여했던 海東耆老會는 고려중엽 퇴직한 문신 관료들이 여가를 즐기고자 만든 詩會 모임이었다. 기로회는 중국 당·송에 있었던 것인데, 고려에서는 해동기로회가 최초의 기로회였다. 그런데 해동기로회를 전후하여 ‘耆老’라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해동기로회가 결성되기 이전인 고려전기에 耆老는 ‘나이 많은 늙은이’라는 의미였으며, 사회적 약자로서 휼양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耆老는 모든 노인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노인 중에서도 庶民을 뜻하였는데 관인 가운데 耆老에 해당하는 자들은 ‘國老’라고 하였다. 때문에 사료에서는 國老에 대비하여 庶民 耆老는 ‘庶老’라고 표기하였다. 해동기로회 이후로 耆英會, 耆舊會라는 명칭의 모임이 줄곧 결성되는데, 이는 고려후기 퇴직한 문인관료들의 사적 네트워크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耆老가 단순히 노인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라 國老와 유사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고려후기 사료에 등장하는 耆老는 고려전기의 庶老가 아니라 60세 이상의 宰相 또는 致仕한 사람을 뜻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耆老가 국정에 참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처음 결성되었을 때의 해동기로회는 단순한 여가모임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耆老가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해동기로회의 구성원이 퇴직한 고위 관료들이었던 것과 관련된다. 해동기로회는 무신정권의 비호아래 유지될 수 있었으며, 기로회 회원들은 지위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집정자와 관계를 지속하였다. 기로들은 비록 퇴직한 재상이지만 무신집정자와 연결되어 있었고, 이들이 문신관료로서 지니고 있던 권위와 지식인이라는 상징적 의미는 무신집정자 입장에서도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무신집정자의 퇴직관료 모임에 대한 후원은 이와 같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정자 및 국왕과 연로한 고위관료들의 관계가 고착되면서 형성된 것이 바로 고려후기 기로의 정치참여 형태로 계승되었을 것이다. 해동기로회의 역사적 의의는 바로 이 점에 있었으며, ‘耆老’의 의미가 ‘國老’로 변화하게 된 것도 이러한 결과에서 비롯한 것으로 생각한다. Haedong Gi``ro-hwe(海東耆老會) in which Yi Il-Lo(李仁老, 1152~1220), the author of P``ahanjip(『破閑集』), participated, was a poetry meeting of the mid Goryeo(高麗) era organized by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order to enjoy their pastime. Gi``ro-hwe originally existed in the Tang(唐) and Sung(宋) Dynasties of China and Haedong Gi``ro-hwe was the first Gi``ro-hwe in Goryeo era. Attention needs to be paid because around when Haedong Gi``ro-hwe was created, the meaning of Gi``ro(耆老) changed.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when Haedong Gi``ro-hwe was not organized yet, Gi``ro meant old people and were the subjects to relieve and nurture as the social weak. However, Gi``ro did not refer to all old people. Among old people it meant plebeians and among government officials those who were Gi``ro were called Gungro(國老). Therefore, historical records wrote plebian Gi``ro as Seoro(庶老) in contrast to Gungro. There were also meetings with the names Gi``young-hwe(耆英會) and Gi``gu-hwe(耆舊會), which were formed after Haedong Gi``ro-hwe was organized, and they were private networks of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Amid such atmosphere, Gi``ro naturally came to have a similar meaning to Gungro, not a word simply signifying old peopl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Gi``ro which emerged in historical records was not Seoro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era but 60-years-old or older prime ministers or those who resigned government posts. In addition, at this time Gi``ro often took part in state affairs. When it was first founded, Haedong Gi``ro-hwe was just a meeting for pastime. The reason why Gi``ro was able to partake in real politic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Haedong Gi``ro-hwe wer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retired. Haedong Gi``ro-hwe was able to be maintain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continued relationship with administers as a method to keep their position. Although Gi``ros were retired prime ministers but connected to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and the former``s authority as civil officials and symbolic meaning as intellectuals were helpful for government operation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Support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to the meeting of retired public officials may be understood from such perspectives. Moreover, relationship among such administers, the king, and elderl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ould have been handed down as th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Gi``ro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This was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dong Gi``ro-hwe and it is considered that such result led to the meaning of Gi``ro being changed into Gungro.

      • KCI등재

        『高麗史』食貨志 陳田 개간 判文의 ‘私田’ 검토

        吳致勳(Oh, Chi-hoon)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0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복무하거나 직역을 부담하는 이들에게 전시과를 지급하였다. 전시과는 토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산판 ? 柴地 ?을 각각 나누어 준 것이었다. 하지만, 전시과에 의해 분급된 토지는 토지 그 자체가 아니라 단지 토지에서 생산된 곡물의 일정량을 주는 것이었다. 이렇게 곡물의 일정량을 가져갈 수 있는 권리를 수조권이라 한다. 전시과제도에 의해 양반관료가 수조권을 위임받은 토지가 곧 양반전이었다. 그런데, 당시 사료에는 양반전을 흔히 ‘私田’이라고 표현하였다. 이것은 오늘날의 사유지와는 다른 뜻이며, 단지 租가 국가가 아닌 개인에게 귀속된다는 의미에서 ‘私田’이라고 한 것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 사유지를 ‘私田’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고려시대의 ‘私田’을 해석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고는 고려시대의 私田을 이해하는 기초 작업으로『高麗史』食貨志 田制 租稅條의 陳田 개간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私田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진전 개간 판문에 보이는 私田은 兩班田과 같은 私人收租地였다. 때문에 사유지에서의 개간과는 달리 국가가 田主와 佃戶사이의 수확물 분배를 규정한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은 광종 24년(973)과 예종 6년(1111)에 두 차례에 걸쳐 확인된다. 광종대의 개간 규정은 3년 뒤에 시행될 始定田柴科의 예비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광종의 호족 숙청과 같은 정치세력교체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었다. 광종은 태조 이래의 호족 및 공신세력을숙청하고 신진인사들을 등용하여 자신의 정치기반으로 삼았다. 그 결과 구세력이 갖고 있던 토지가 적몰되거나 신진관료들에게 주어지는 등 토지 소유관계에 혼란이 있었다. 陳田은 이와 같은 정치적 혼란 및 농업환경의 제약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973년에 전시과 창설 3년을 앞두고 관료에 대한 체계적인 토지분급제 마련을 위해 진전 개간 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종대의 진전 개간 규정은 부실한 私田관리의 결과 만들어졌다. 국초에 정해진 진전 개간 및 사전 운영 방식이 시간이 흐르면서 규정대로 지켜지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관리들이 佃戶로부터 불법적으로 租를 거두거나 軍人田을 소홀하게 관리하여 군인이 도산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때문에 예종 6년에는 전호와 사전주의 수확물 분배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정하였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私田경영을 도모했다.

      • KCI등재

        高麗前期 직역계승과 田柴科의 구조

        오치훈(Oh, Chi-Ho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1

        고려시대 경정전시과를 수급자 구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가장 많은 토지를 받는 상위 등급은 1과에서 11과에 속하는 문․무반(Ⅰ등급)이며, 다음은 12~14과의 문․무반, 남반, 향직자로 구성되었다(Ⅱ등급). 그리고 15과 이하의 하부(Ⅲ등급)는 말단 품관과 이속, 남반, 군인 및 한인과 잡류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전시과의 구조를 직역의 계승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과거와 음서를 통해 입사한 문·무반의 자손들은 대체로 15과 이하의 토지를 받고 관직생활을 하다가 상위의 품관으로 승진하였다. 전시과 구조상 Ⅲ등급에서 Ⅱ등급 이상으로의 진출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관직에 따라 해당하는 액수를 받았으며, 품관동정은 문산계를 통해서 15과의 田 25結을 받았다. 이외에 전정연립을 통해 전시과를 계승하는 이속과 군인도 15과 이하에 해당하는 토지를 지급받도록 되어 있었다. 다만 문․무 양반 자손과 차이가 있다면 이들은 각자 맡은 직역을 담당하다가 자손, 친족에게 직역과 함께 전시과를 물려주었다. 전시과 구조상 Ⅲ등급에 머무르는 계층이다. 전시과의 하부인 Ⅲ등급은 직역을 대대로 이어가는 군인과 이속, 과거·음서를 통해 새롭게 관인사회에 진출하는 문․무 양반의 자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자는 전정연립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직역과 토지를 유지한 반면에 후자는 입사 후 승진에 따라 더 많은 토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직역자에게 토지를 지급한다는 것은 전시과의 목표이지만 한쪽은 직역의 고정 및 확보를 전제로 한 것이고, 다른 한쪽은 신분의 유지와 고위 관인의 자손에 대한 우대가 강조된 것이다. Gyeongjeong Jeonsigwa(更定田柴科) during the Goryeo Dynast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lasses. The top class received the most land and consisted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between 1gwa(科) and 11gwa (Level I). This was followed by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between 12 gwa and 14 gwa, as well as namban(南班) and hyangjik(鄕職) officials (Level II). Level III consisted of low-ranking officials of 15 gwa and below, isok(吏屬; subofficial functionary), namban, soldiers, and hanin(閑人). In terms of succeeding official work, Jeonsigwa system worked as below.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hat entered the office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eumseo(蔭敍; protected appointment system) started as low-ranking officials that received land comparable to 15 gwa and below, and then could be promoted from level III to level II or higher. They received land corresponding to their positions, and pumgwandongjeong(品官同正) received 25 gyeol(結) of land comparable to 15 gwa through munsangye(文散階). Isok and soldiers that inherit Jeonsigwa through Jeonjeong-yeonlib(田丁連立) also received land comparable to 15 gwa and below. However, their treatment was different from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n that they remained at their positions and then passed on both official work and Jeonsigwa to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remaining at Level III. The Level III officials consisted of soldiers and isok who passed on their official work to their children, and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hat entered the office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eumseo. While the former group of officials maintained their official work and claim to the land through a unique system of Jeonjeong-yeonlib, the latter group of officials had a chance of promotion to receive more land. Providing land to official workers was the goal of Jeonsigwa, and for some officials, it came with fixed and secured official work, while for others, emphasis was put on maintaining social hierarchy and ensuring favorable treatment for children of high-ranking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