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동향: 1996~2010년의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오수호 ( Soo Ho Oh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96년~2010년 동안 이루어진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도시민의 농촌지향 동기와 생활만족도, 도시민의 농촌지향 효과, 농촌생활 정착과정, 지원방안 및 은퇴자의 연구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도시민의 농촌지향 동기 연구는 외환위기 직후에 활발하게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도시민의 농촌지향 정착단계 및 과정 연구는 전반적으로 활발한 편이었으나 은퇴자 중심의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에나 관심을 갖고 이루어졌다. 또한 도시민의 농촌지향 영향 및 효과에 관한 연구는 귀농초기에 극히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근래 들어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의 성공적인 영농정착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가 활발하다. 지금까지의 도시민의 농촌지향의 연구는 주로 영농활동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고, 도시민의 농촌지향에 대한 현장 및 마이크로 스케일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앞으로 미시적인 분석 자료를 가지고 이동과정과 농촌지역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research outcomes of urban-rural migration as well as to propose a new direction to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research. The urban-to-rural migration from 1996 to 2010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effects of migration, process of their adaptation, assistance plan and retiree`s research, and the others. The research about people`s motivation of returning to countryside for farming has been flourish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Researches on process of and aptation to the countryside has been generally noticeable, while those on retirees have spotlighted since the mid 2000s. Research on influence of the movements had been focused partially in the early periods. Assistance plan for successful agricultural adaptation for the urban people has been actively studied. Until now, the studies on the urban-to-rural migration has focused mainly on the agricultural activity while researches on the field and in micro-scale are rather scarce. Thus, in future, researches on countryside adaptation and movement procedure with micro-scale analyses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농촌지향 이주 가구의 귀촌적응과정과 영농실태

        오수호(Soo Ho Oh)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귀촌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귀촌적응과정과 영농실태를 분석하여 특성에 따른 귀촌정책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의 농촌지향 이주자들이 어떤 동기와 특성을 갖고 귀촌하였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태를 살펴보았다. 귀촌동기는 경제외적 사유가 주를 이루며, 귀촌 시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은 배우자와 부모로 나타났다. 귀촌자금은 초기영농활동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며, 영농생활 시 가장 큰 도움과 영농 지식과 기술을 가장 많이 얻은 곳은 이웃 독농가였다. 영농생활의 가장 큰 애로사항과 농촌 거주시 가장 큰 불편사항 은 영농자금조달과 소득수준이며 이를 위한 정부 지원책을 가장 바라고 있었다. 향후 농촌생활방향은 농업을 본업으로 하며 농촌에 계속 거주하겠다고 응답하여 미래의 농촌현실은 밝을 것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동향과 특성을 기초로 세밀한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의 정착방안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lan on migration policy based on features, through analyzing the migration adaption process and the farming life of the back-to-countryside population throughout the nation. For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urban-to-rural migrants`` motives and characteristics. The major reason for the migration was the household``s financial condition, and the most of migration decisions were made by either one``s spouse or parents. The migration fund was primarily spent in early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 was the neighbors who aided them the most whilst teaching them many farming techniques. Some government-supported policies are being highly demanded regarding the lower level of income (than urban life) and difficulties of raising cultivation funds; these two things are what migrants consider as the most inconvenient and suffering matters in farming life. Many surveyee have responded that they would constantly stay in the rural area and continue on their life as a farmer, giving a promising prospect for future farmland life. Based on these trends and features, development strategy regarding elaborate settlement plan of urban-to-rural migration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성숙기 도시에서 지역활성화 거점으로서 복합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고찰

        박준영,이영환,권혁삼,석혜준,오수호,홍성덕,Park, Joon-Young,Lee, Young-Hwan,Kwon, Hyuk-Sam,Seok, Hye-June,Oh, Soo-Ho,Hong, Sung-Do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도 성장단계에서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수익성 중심의 복합개발사업도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주거시설이 중심이 된 복합주거단지는 공익성이 가미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익성을 가지면서 지역활성화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복합주거단지를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로 정의하고 (1)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념 제시, (2)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발원칙 제시, (3)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 실현을 위한 제도적 검토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각 연구목적에 대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념으로는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문화, 복지, 의료 등의 공익성을 가지는 용도를 복합하는 '용도복합', 지역의 부족한 커뮤니티 시설을 보완하여 지역 교류를 활성화하는 '사회복합', 보행 중심의 동선체계를 수평 수직방향으로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지역과 하나가 되는 '공간복합'이라는 세 가지 복합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발원칙으로 개발목표, 개발개념, 개발방식, 공간구조, 공간요소, 공간위계의 6대 원칙을 설정하였고 각각의 내용을 정의하였다. 특히 주거시설은 사회적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주거유형의 혼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비주거용도의 시설은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만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공통시설과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특화시설로 구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 실현을 위해서는 현행 도시 및 주택 관련 법규가 일률적이고 규제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다양한 용도복합 및 다양한 주거유형의 혼합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법 등 일부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fact that we need residential complex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s, rather than for profits, and find a new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public-oriented residential complex in the cities that had slow growth. In this study, we 1) propose a new concept of the residential complex that can vitalize regional communities and maintain the interest of the public : 'functional-mix', 'social-mix', 'spatial-mix', 2) produce a model simul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principles including development direction, types of development, and design guidelines, ; six development principles(goal, concept, development type, spatial structure, space element, spatial hierarchy), diversity of housing types, facilities that can vitalize and contribute the regional communities 3) propose practical methods that can realize and promote the proposed concept and model simulation. ; need to amend the housing construction Law.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 신시가지와 신도시의 공공주거단지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Case of Public Housing Estates in Seoul and New Towns

        오수호,장선영,김석경,이규인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6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the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outdoor spaces in housing estates. For this purpose, 62 housing estates were selected : 28 housing estates from 3 new residential districts of Gaepo, Mockdong, and Sanggae in Seoul, and 34 housing estates from 3 new towns of Gwacheon, Bundang, and Joongdong around Seoul. As an assessment tool, the indices and standard from 'Land Use and Transportation field' and 'Ecological Environment field'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ere used.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that the quality of outdoor environment in Gwacheon was very high, and the next one was Bundang, Gaepo, Sanggae, Mockdong, and Joongdong in order. I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field', many housing estates in Mockdong got high scores, and in 'Ecological Environment field', Gwacheon made a good s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