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고리즘화(Algorithmification)

        오세욱(Se-Uk Oh)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이 글은 미디어 논리 관점에서 미디어의 발전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눠 설명한다. 일상생활(everyday life)의 매개(mediation)로서 ‘미디어화’, 미디어의 표상으로서 ‘소프트웨어화’, 표상(representation)의 표상으로서 ‘알고리즘화’다. 현재 미디어 논리의 핵심을 알고리즘으로 규정하고 알고리즘화된 미디어 환경의 특성을 논의한다. 알고리즘은 절차를 규정한 코드의 집합이라기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제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체제로 볼 필요가 있다. 알고리즘은 새로운 지식 논리(knowledge logic)로서 이는 기존 미디어의 편집 논리(editorial logic)와 경쟁하는 논리다. 편집논리는 훈련과 확인, 혹은 시장논리를 통한 정당화 등을 통한 제도적 과정을 통해 정당성을 얻는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선택에 의존한다. 알고리즘 논리는 인간의 판단을 자동화하고 수집된 사회적 흔적들의 패턴을 밝히기 위해 사람 운영자가 고안한 기계의 절차적인 선택에 의존한다. This study expla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dia in three stages from the viewpoint of media logic. First, `mediation` is a mediation of everyday life, second, `softwareization` is a representation of media, and third `algorithmification` is a representation of representation. This article defined the core of current media logic as algorithm and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algorithmificated media environment. The algorithm is not just a set of code according to the procedure, but it needs to be viewed as a socially constructed and institutionally operated system. Algorithm is a new knowledge logic which compete with editorial logic of existing media. Editorial logic relies on the subjective choice of professionals who gain legitimacy through institutional processes. Conversely, algorithmic logic relies on the procedural choice of machines designed by human operators to automate human judgment or to reveal patterns in collected social traces.

      • KCI등재

        ‘팩트’의 형식적 구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오세욱(Se-Uk Oh),황구현(Gu Hyun Hwa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뉴스 형식의 허위정보가 확산되면서 ‘팩트체크’가 유력한 대응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정보를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에 따라, 자동 사실 확인 기술(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y)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동 사실 확인 기술들은 아직까지 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보다는 사실 여부 확인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주는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팩트를 구성하는 기술적인 형식 요건을 정립하고 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사실을 확인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구글 뉴스의 ‘팩트 체크’에 사용되는 ‘클레임리뷰 마크업(ClaimReview Markup)’, BBC의 ‘스토리라인 온톨로지(Storyline Ontology)’, ‘투명성 선언(Transparency Initiative)’의 ‘hnews’ 마이크로 포맷 등 이러한 형식적 요건과 관련한 세 가지 사례를 검토했다. 이후 한국 ‘팩트체크’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는 ‘SNU 팩트체크’ 등록정보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총 740개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기사에서 팩트를 뒷받침하는 근거자료, 원문 출처 URL 등 표기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SNU 팩트체크 정보들이 절차적 투명성에 대해 상당히 무관심하다는 점을 의미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상황에 맞는 팩트의 형식적 요건과 이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As the misinformation spreads, `fact check`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However, it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for a person to confirm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y. But, Automated factchecking technologies are at the level of quickly finding the facts that need to be confirmed, rather than ultimately confirming the fac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e technically formal requirements for the facts and to confirm the facts automatically according to whether they meet the requirements. The study analyzed the ClainmReview Markup, which is used in the fact check on Google News, the Storyline Ontoltogy on the BBC, and the ‘hnews’ microformat on the Transparency Initiative. And We analyzed the metadata of the `SNU fact check` inform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database of `fact check` inform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740 pieces of information, most of the articles showed that the facts supporting the facts and the URLs of the original texts are not properly displayed. These figures indicate that the SNU fact-check information is quite indifferent to procedural transparenc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formal requirements of the facts that fit the Korean context and the realization of them.

      • KCI등재

        자동화된 사실 확인(fact checking) 기술(technology)의 현황과 한계

        오세욱(Se-Uk, Oh)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3

        페이크 뉴스 등으로 인한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가 되면서 ‘사실 확인(fact checking)’이 그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인력이 문제가 되는 사실을 확인하는 기존의 ‘사실 확인’ 방식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많은 양의 사실들이 등장하면서, 컴퓨터 등 기술의 힘을 빌려 자동으로 사실을 확인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 글은 자동화된 ‘사실 확인 기술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식 기반 방식, 맥락적 방식, 형식 기반 방식, 기계 학습 방식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설명했다. 또, 각각의 방식 사례로 구글의 지식 금고, 지식 그래프, 구글 뉴스의 ‘팩트 체크’ 라벨, 클레임버스터 등을 제시하고 현재 시점에서 한계점을 분석했다. 현재 단계에서 자동화된 ‘사실 확인 기술들은 방대한 정보의 빠른 처리를 통해 인간의 최종적인 사실 확인을 도와주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확인해야 할 텍스트 양의 증가, 편견의 배제, 뉴스 유통의 플랫폼화 등으로 인해 특정한 사실의 사실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단지 기계적으로 처리했다고 해서 그 내용이 초당파적이거나 사실임을 입증하지는 않는다. 이 글은 기계 또는 기술이 수행한 결과에 대해서도 ‘사실 확인’이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서 기술의 투명성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As fake news is becoming a global issue, ‘fact checkin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However, too many facts have emerged to deal with the traditional ‘fact checking’ approach that is done in a way that a few human workforce confirm the fact.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utomatically check the facts by borrowing the power of technology such as a computer. This article described how the automated ‘fact checking’ techniques are working in four different ways: knowledge based, contextual, style based, and machine-learning. And this article presented example of each way(Google’s knowledge base, Knowledge graph, Goole’s ‘fact checking’ label, Claimbuster) and analyzed the limit at current point. As a result, the automated ‘fact checking’ technologies can be said to help people to confirm their final facts through rapid processing of vast amounts of information. Finally, this article argued that ‘fact checking’ is necessary for the results of automated ‘fact checking’, and pointed out that technology transparency is required.

      • KCI등재

        소프트웨어 '페이스북'의 알고리즘 분석

        오세욱(Se-Uk Oh),이재현(Jae-Hy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1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소셜’이라는 단어가 유행처럼 쓰이고 있다. 이 글은 지금의 ‘소셜’이 이전의 ‘소셜’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시론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페이스북을 소프트웨어로 규정하고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SNS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라 할 수 있는 다양한 ‘소셜’ 수단, 행위 등을 소프트웨어화한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는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문화의 산물이다.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은 인간뿐만 아니라 비인간에게도 동등한 비중을 두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사회에서 대표적인 비인간 해위자라고 할 수 있다. 페이스북에서 사람과 사람만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페이스북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페이스북도 중요한 해위자다. 소프트웨어 페에스북이라는 비인간 행위자와 인간행위자들 사이의 교호에서 매개자적 역할을 하는 것이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명령의 집합으로 페이스북 이용 행위를 고유의 논리로통제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페이스북의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이 알고리즘이다. 모든 알고리즘을 분석할 수는 없기에 관계의 알고리즘으로써 ‘친구찾기’, 콘텐츠 노출의 알고리즘으로써 ‘엣지랭크’. 자본의 알고리즘으로써 ‘익스 체인지’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 결과, 페이스북과 같은 소프트웨어로 인해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라는 이른바 ‘소셜’이 고양되거나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비인간이 혼종적으로 엮인 새로운 혹은 포스트 ‘소셜’ 양식이 작용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었다. As social network services(SNS) are popularized, the ‘social’ aspect has become more of an epidemic.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modern ‘socializing’ and traditional forms of ‘socializing’. By definition, Facebook can be called a typical social network service. This paper analyzes Facebook according to the actor-network theory. SNS is web-based software that digitalizes various forms of ‘socializing’. ‘Socializing’ is regarded as a person-to person network. Different software affects different cultures and is also a product of those cultures at the same time. Actor-network theory assigns equal weight to human-actors and nonhuman-actors. Software can be representative of nonhuman actors in a digital society. On Facebook, users and Facebook have formed a network as well as the users themselves forming a person-to-person network. Here, Facebook is an important actor. The algorithm is the ‘mediator’ in association with the nonhuman actor (Facebook) and the human actors (Facebook users). The algorithm, which consists of logic and control, has a crucial role in the software. This paper analysed Facebook’s representative algorithms : ‘finding friends’ as an algorithm for friendship; ‘EdgeRank’ as an algorithm for the contents; ‘Exchange’ as an algorithm for advertisements. As a result, the ‘social’ component is not enhanced and expanded by software as it is on Facebook. Modern ‘social’ modes of communication can be formed by human-nonhuman hybrid network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포털 뉴스 발행시간을 통해 본 언론사 뉴스 생산 관행 :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네이버 뉴스 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분석

        송해엽(Haeyeop Song),양재훈(Jay Yang),오세욱(Se-uk Oh)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2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how news organizations online publishing practices have changed since Naver participated in online news distribution. South Korean newspaper companies heavily depend on the Naver portal for referral traffic. This has caused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news environment. These problems with portals have mainly been discussed in terms of journalism ethic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ourses regarding the impact of online news, it has rarely been explored how news stories are actually being updated onli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online news publishing practices involving the portal. As an exploratory study, it provides insight into how the portal has influenced the news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eleven daily newspapers (i.e., Kyunghyang, Kookmin, Naeil, Donga, Munhwa, Seoul, Segye, Chosun, Joongang, Hankyoreh, and Hankook), the six economic newspapers (i.e., Seoul Economy, Asian Economy, Financial News, Korean Economy, and Herald Economy), and the seven sports newspapers (i.e., Sports Donga, Sports Seoul, Sports World, Sports Chosun, Sports Hankook, and Daily Spor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urthermore, to compare the publishing patterns, this study included three wired services (i.e., News 1, Newsis, and Yonhap News), which do not have print versions.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49,785,412. In addition to the data from the portal, this study used the press directory to investigate the changing workforce of news outle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in the early days of online news, there was a prominent pattern of intensively publishing news articles during a certain time of the day. As live reporting has become routine, the prominent pattern has been alleviated. In the early days of online journalism, news organizations with a printed paper showed a concentrated publishing pattern. However, after the portal become dominant in online news distribution, daytime online news publishing became generalized. The data show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portal, daily newspapers published online between 6:00 pm and 8:00 pm, after editing of the printed paper closed. Now, the proportion of daytime publishing has increased. However, some media outlets still give weight to the paper news cycle, which maintains the concentrated news publishing patterns. In-depth interviews show the increasing burden on journalists jobs when the production routine of online news does not replace the paper-centered news production routine. Journalists addressed the point that many media outlets still hold the paper news at the center of news publishing.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online news was adopted in South Korea. However, the data and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online transition has a long way to go. As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