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용 콘텐츠 저작을 위한 개발 툴 기능 개선 연구

        오미자 ( Mija Oh ),신성욱 ( Sung Wook Shin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교육현장에서 웹을 통해 무료로 교육 자료를 공개하고 활용하는 서비스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들은 대부분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교수자가 교육 목적이나 내용에 따라 자료를 개발하거나 수정해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사용자인 교사가 기존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툴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봄으로써 교사 입장에서의 개발 툴에 대한 요구사항 및 필요기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직관적 인터페이스 환경,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지원, 산출물 버전의 다양화 등 10가지가 도출되었으며, 필요 기능으로는 외부자원의 연결, 포맷 자동 변환 기능, 기존 문서의 사용 및 편집, 학습자 정답 작성, 숨기기 기능 등 13가지 기능이 제시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of services and use free educational materials in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Web. However, as most of the materials are provided in a finished form via the Web services, teacher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materials through development or revision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goal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requirements and functions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tools by having teachers as actual users develop contents using existing tool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10 requirements, including intuitive interface environment, support for various multimedia materials, and diversification of output versions etc. Also, the study suggested 13 functions, including links with external resources, automatic format conversion function, usage and editing of existing documents, writing learner`s answers, and hiding function etc.

      • KCI등재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오미자(Oh, MiJa),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대학교육기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accreditation) 지표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2회의 내부 검토, 1회의 내·외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지표를 마련하였다. 최종 인증 지표는 5개 영역, 9개의 세부기준, 18개의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 영역에는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및 활용, 프로그램 성과 영역이 포함되었다. 본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지표 연구 결과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혹은 교육기관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표준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운영을 위한 관련 부서 전담 부서 설치, 비교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대학 내 정책 마련, 비교과 인증제 시행 전 워크숍 및 교육, 컨설팅 등의 필요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manage the quali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ing in universities and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is end, this study prepared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y conducting a literature study as well as two rounds of insider review and a round of review by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Final accreditation indicators of this study consist of five areas, nine detailed criteria, and 18 assessment questions. The five areas include program goals, program structure, program operation, program evaluation and use, and program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draft standard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ru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a body in charge of department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e established; that a policy be prepared in universiti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at workshops, education and consulting are needed before implementing the accreditation system.

      • KCI등재

        대학에서의‘좋은 수업 구성 요인’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오미자(Oh, Mij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의미와 특성에 따른 교수와 학생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고, 2차에 걸쳐 3명의 전문가에게 문항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좋은 수업을 위한 요인으로 총 10개의 요인이 선정하였다. 설문은 약 20일 간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수 174명, 학생은 859명이 응답하였다.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교수자의 열정’이 교수, 학생 모두‘좋은 수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좋은 수업의 10개 요인에 대해 교수-학생이 느끼는 현재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두 그룹 간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가 느끼는 현재수준과 중요도의 가장 큰 차이 요인은 물리적 환경, 상호작용, 내용전문성 순으로 나타났으나, 학생은 교수자의 열정, 교수자의 태도, 수업체계성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10개 요인 모두 학생이 교수에 비해 현재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더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의 수업 만족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학생의 인식 차이를 줄이는 대학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지원으로는 교수를 위한 수업컨설팅 지원, 실질적 교수프로그램 지원, 연구위주의 교수업적평가 제도보완, 소규모 단위 강의 수 증대, 수업계획서의 평가 방안 등의 5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ir perceptions of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a good lecture at college. To this end, the study developed measuring instruments, test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 items twice using by three experts, and selected a total of 10 factors for a good lecture. It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surveys for approximately 20 days. As a result, 174 professors and 859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ir responses, instructors’ enthusiasm was perceived by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good lecture. However, it was found that professors and student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gap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of the 10 factors for a good lecture. The factors with the biggest gap perceived by professors between the present level and importance included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 and content expertise. The gap perceived by students was wide with such factors as instructors’ enthusiasm, instructors’ attitude, and systematic lessons in that order. Compared to professors, students perceived a greater gap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suggesting that students had low satisfaction with lectures. As such, support at the college level is needed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ir perceptions of a good lecture. This study made five suggestions for a good lecture, including support for lecture consulting for professors, support for practical teaching programs, institutional complementation of research-centered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fessors, increase in the number of small-size lectures, and assessment of syllabus.

      • KCI등재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미(Park, SuMee),오미자(Oh, Mi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 대학 재학생으로 2019학년도에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진행한 NASEL(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이하 NASEL) 조사에 응답한 833명이다.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참여 여부가 1학년 1학기 학사경고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출결사항과 진로관련 면담의 내용에 따라 소속감과 만족감에 영향을 미쳐 1학년 1학기 학사경고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와의 상호작용 목적에 따른 정책적인 지원, 교수 면담 내용의 전문성 제고, 학생 역량진단 문항과 그 결과의 활용에 대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로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warning prevention program for university entr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833 students at K University who responded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the school year of 2019. The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on program completion and academic warnings combined with academic data.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academic warning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vention program,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to look into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academic warnings while controlling for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warnings and achievements,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he analysis found that although participation in the academic warning prevention program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academic warnings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freshman year, the program influenced the students’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attendance and career-related interviews, thereby lowering academic warnings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freshman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on the program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