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 토착문화와 중원문화의 상관성 검토 -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오대양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3

        Indigenous culture in the Liaoxi region in the 14th–11th century B.C. was represented by Weiyingzi culture.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culture of which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ope of distribution, the culture was distributed restrictively to Dalinghe and Xiaolinghe basins. The period was assumed to be 13th–10th century B.C., which was characterized by a transition period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Zhou Dynasty. Second, people of the culture did not have their own production technology for bronzeware. The ritual bronzeware in the Zhongyuan-line culture could be restrictively obtain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residents in Hebei who showed similar cultural characteristics. Third, although their means of living were recognized in a small-sized settlement, farming was rarely detected. Their primary means of living were hunting and cattle breeding. Fourth, they had a strong affinity to Gaotaishan cultur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omb systems and funeral ritual services. Fourth, compared with Lower Xiajiadian culture, which was prior to the Weiyingzi culture, it had a strong heterogeneous nature and discontinuity in consideration of means of living, buri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scontinuity. Lastly, in the aspect of universal use of Habiankouyanli and boom of steppe-style accessories, part of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was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Weiyingzi culture.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that they used predatory means of living against neighbor groups due to the absence of bronze tools or weaponry. This study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iyingzi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it also investigates correlations with the culture in the Zhongyuan region through comparison of their tomb systems.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in Weiyingzi culture were stuck to very conservative and unique tradition of their own, which was reflected in their tomb systems and funeral services. It was contrasted with foreign material culture, which they had to selectively accept for survival. Those aspects are shown in the fact that Habiankouyanli, a representative foreign earthenware, was not found in the grave goods, which reflected their spiritual culture; that although ritual bronzeware and bronze mirrors, foreign cultural elements, were contained in the list of grave goods, they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showing off the authority of the high class; that they decided their own post-mortem performances with self developed recognition on the post-mortem world by unifying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deceased in the tombs; and that they selected the post-mortem usages of main grave goods by putting them at the feet side of the deceased and defined the values of the goods by themselves. With that said, the Zhongyuan-line cultural aspects found in the Liaoxi region could be considered as a reaction of the indigenous culture against influx of foreign cultures, rather than direct advance of Zhongyuan power.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s in two regions of Liaoxi and Zhongyuan.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의 토착문화는 魏營子文化로 대표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분포범위는 大·小凌河流域으로 한정되며 중심연대는 상주 교체기, 하한연대는 기원전 10세기 무렵이다. 둘째, 해당문화의 구성원들은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기술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렇기에중원계 청동예기는 유사한 문화내용을 보이는 河北지역 주민집단과의 교류 속에서 제한적으로만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이들의 생계방식은 소규모의 정주생활이 인정되지만, 농경의 흔적은 극히 제한적이며, 수렵과 목축 위주의 생활방식을 유지하였다. 넷째, 묘제와 장속 특징 및 생활토기의 유사성에서 高臺山 文化와 친연성이 강하다. 다섯째, 당지의 선행문화인 夏家店下層文化와는 생계방식과 부장 특징 및 시간적 단절성 등 측면에서 고려할 때 상호 이질성과 비연속성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화변구연력의 보편적 사용과 초원계 장신구류의유행이라는 측면에서 魏營子文化의 형성과정에는 초원계 물질문화가 일정부분 개입되어 있다. 다만 그 핵심이 되는 청동 도구나 무기류가 부재한 점에서 주변집단에 대한 약탈적 생계방식은 고려될 수 없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위영자문화의 성격과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논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원지역과의 상관성 문제를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묘제와 장속 특징에 반영된 魏營子文化人들의 정신문화 속에는 그들이 생존을 위해 선택적으로 받아들였을 외래계의 물질문화와 대비되어, 상당히 보수적이고 독특한 풍격의 전통이 고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래계 토기의 대표격인 화변구연력이 그들의 정신문화를 반영해주는 부장품 내역에는 포함되지 못한 점, 비록 청동예기나 동경 등 외래계 요소가 부장품내역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위세품의 성격이 강한 점, 주검의 두향을 통일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사후인식과 행보를 결정하고 기원한 점, 중요 부장품을 발치쪽에 배치함으로서 그에 대한 사후 용도를 스스로 선택하고 그 가치를 재규정한점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정황에서 볼 때, 요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중원계 문화요소는 중원세력의 직접적인 진출이라기보다는 외래문화의 유입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으로서, 소위 요서와 중원 두 지역집단 간의 상호작용이나 문화변용의 측면에서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석관묘유적의 특징과 성격

        오대양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This study is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stone-lined tombs of Bronze Age in and around the basin of Dooman River.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that classified the structure type of Bronze Age stone-lined tombs into 4 types, this study classified the stone-lined tombs around the basin of Dooman River largely into Type I and Type III. Then, Type III was subdivided into Types ⅢA and ⅢB, among which Type IIIB was subdivided again into Types ⅢBa, ⅢBb, and ⅢBc. Among them, Types I and ⅢB were proved to be the most common form. As for Type I, the tomb chamber was created by standing many panels up and covering up with a stone panel thereon. In Type ⅢB, rough stones were piled surrounding 1 ~ 4 earthen walls in which stones, soils, and sands were filled to form a burial mound. Bronze age culture in the Dooman River basin were classified into 2 periods and 3 stages. Period 1 was Xingcheng Culture stage around 16th Century BC when Types I and ⅢBa stone-lined tombs were built. In the Period 2 of LiuDingDong cultural stage, which was early times of between 12th and 9th Century BC, Types ⅢBa and ⅢBb tombs and small number of Types I and ⅢA were found. The latter times of LiuDingDong cultural stage which was between 8th and 4th Century BC, all tombs found were Types ⅢBa~c. Among them, Type ⅢBc of chamber was built by combined soils and sands, remained to the last stage, which was eventually replaced to pit-type tombs. Such structure can be an example case that demonstrates the decaying process of stone-lined tombs. Similar phenomena could be identified in Liaodong, Jirin, and west of North Korea. Passing through such stages, they gradually changed to pit-type tomb system that included wooden coffin tombs or wooden chamber tombs, which shows transitional universality. Nex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rly stone-lined tomb culture in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about the cultural correlation with the culture in Dooman River basin. In conclusion, it is hard to consider the correlation with early stone-lined tomb culture in Liaodong and Dooman River basin, based on current materials only. It was understood that each tomb culture has been genera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in respective way of living and cultural traditions. Lastly but to say with emphasis, in consideration of very restrictive tool-making skills and the environment then, there is no need to explain the tradition of that time to properly deal with the stones for the tomb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ropagation or influence because they could obtain stones easily everywhere. Thinking about the restrictive tools and skill level at that time, changes in tomb system could be progressed in similar pattern, though they had no cultural exchange each other. In order to discuss lineage issue of stone-tomb tradition in the ancient times in East Asia regions from more macroscopic point of view, overall understanding on the content and properties by region should be done prior to that so that we can study various exchange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이글은 두만강유역에서 전개된 청동기시대 석관묘문화의 특징과 그 성격에 관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주변지역 청동기시대 석관묘의 구조형식을 4가지로 구분한 선행연구의 분류안에 맞춰 두만강유역의 석관묘를 크게 Ⅰ형과 Ⅲ형으로 구분하였다. 그중 Ⅲ형은 다시 ⅢA형과 ⅢB형으로, ⅢB형은 다시 ⅢBa형과 ⅢBb형, ⅢBc형으로 세분하였다. 이 가운데 판석조의 Ⅰ형과 괴석재를 토광 1~4벽에 둘러놓고, 그 내부에 석재와 토사를 혼용하여 채워 봉분을 구성한 ⅢB형이 가장 보편적 형식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두만강유역의 청동기문화는 2기 3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제1기는 흥성문화단계로 기원전 16세기 무렵 Ⅰ형과 Ⅲ형(ⅢBa형 중심)석관묘가 축조된다. 제2기의 유정동문화단계에는 기원전 12~9세기 사이(전기단계) ⅢBa형, ⅢBb형 및 소량의 I형과 ⅢA형 등이 존속되며, 기원전 8~4세기 사이(후기단계)에는 모두 ⅢBa~c형만 확인되는데, 이중 土石混壙 형태의 ⅢBc형이 가장 마지막단계까지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것은 석관묘의 퇴화과정을 보여 주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인데, 유사한 현상이 요동과 길림, 서북한지역에서도 확인되며,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점차 목관묘나 목곽묘 등을 포함하는 토광묘제로 변화되는 전환기적 보편성을 확보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주변지역 초기 석관묘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두만강유역과의 그 문화적 상관성문제를 시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자료수준에서는 요동과 두만강유역 초기 석관묘문화의 연관성을 고려하기는 힘들어 보이며, 이들은 각자 별개의 생활방식과 문화전통 속에서, 독자적으로 생성・발전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당시의 제한된 도구와 기술수준을 생각한다면 이러한 무덤들의 변화상은 상호 교류가 없을 지라도 얼마든지 유사한 패턴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동북아지역 선사시대 석묘전통에 대한 계통성문제를 논하고자 한다면, 그에 앞서 각 지역별 물질문화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전제된 다음에야 비로소 그들간에 존재하였던 다양한 교류상과 영향관계를 논할 수 있기 마련이다.

      • KCI등재

        고대산문화의 묘제와 장속특징에 대한 검토 ― 하가점하층문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오대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burial systems and funeral customs of Gaotaishan Culture with Xiajiadian-xiaceng Culture and investigated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cultures and significance of their cultural exchang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Burial system of Gaotaishan culture is largely classified into pit tomb, wooden coffin tomb, stone-coffin tomb, and jar-coffin tomb, among which pit tomb was most popularly used. As for burial methods, main. Burial method was to lay the single crouching body on its side, but few bodies were found with their face down and few male and female bodies were found together in a single grave. Seeing the relics by individual tomb,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urial application method by region. In Fuxin region, tombs with the crouching body buried on its side and buried the body laying straight on the back were found in balanced ratio, which is similar to Xiajiadian-xiaceng Culture. On the other hand, in other regions, burial method to lay the crouching body on its side overwhelmingly preferred to other burial methods. Also in Fuxi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body and the types of grave goods according to the sex of the body. Some were buried with earthen wares and animals bones together by installing alcoves. All of those show the combined patterns of funeral customs of the two cultures, from which intertribal union is also suspected through marriage beyond simple cultural exchange. For the evidences of such assumption, analysis results of human bones found in Dai Hai culture and Jielihua culture can be utilized. From the above mentioned, it seems that some of the residents of Xiajiadian-xiaceng Culture in late era of the culture moved to Fuxin and lived together with the residents of Gaotaishan culture. Such trend continued until Weiyingzi culture emerged in the third phase of Pingdingshan relics, from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vestiges of Xiajiadian-xiaceng Culture sustained till relatively long in Fuxin. In sum, the similarities and exchange patterns between two cultures centering around Fuxin region were based on the inflow of resident groups through marriage, etc. After the extinction of Xiajiadian-xiaceng Culture, those who sustained Xiajiadian-xiaceng Culture by living together with Gaotaishan culture in Fuxin were gradually spread to Dalinghe basin, and took the partial role in forming Weiyingzi culture. 본고에서는 고대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묘제 및 장속특징을 비교하여 두 문화의 상관성 및 교류상에대한 의미를 검토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고대산문화의 묘제는 크게 토광묘, 목관묘, 석관묘, 옹관묘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토광묘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葬法은 주로 單人의 側身屈肢葬이 많지만 仰身直肢葬과 俯身葬 및 남녀 합장묘도 소수확인된다. 하지만 개별유적별로 살펴보면 지역특성에 따라 채용된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가 간취된다. 먼저 부신지역에서는 측신장과 앙신장계열의 무덤이 고르게 확인되어 하가점하층문화와 유사한 반면 나머지 유적에서는 측신굴지장의 비율이 앞도적인 우세를 보인다. 또한 부신지역에서는 피장자의 성별에 따라 面向과 副葬品의 종류가 차이를 보이거나 壁龕을 설치하여 토기와 동물의 골격을 함께 부장하는 등 두 문화의 장속이 복합된 양상을 보여 주목된다. 여기에는 단순히 문화적인 교류상을 넘어 혼인과 같은 종족적 결합도 예상할 수 있겠는데, 그러한 자료로서 두 문화 주민들의 형질특징이 복합적으로 확인되는 代海遺蹟과 界力花遺蹟의 인골 분석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볼 때 하가점하층문화의 후반기 대릉하유역의 주민 중 일부가 부신지역으로 진출하면서고대산문화의 주민과 한동안 공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平頂山 Ⅲ기층에서 위영자문화가 등장하기 전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부신지역에서는 비교적 늦은 시기까지 하가점하층문화의 잔재가 남아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요컨대 부신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두 문화간의 유사성과 교류상은 주로 혼인과 같은 주민집단의 유입에 기반을 두었으며, 하가점하층문화의 소멸이후 부신지역에서 고대산문화와 공생하였던 잔류세력이 재차 대릉하유역으로 파급되면서 위영자문화의 형성에 한 부분을 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요동지역 초기 비파형동검유적의 신자료 -신민 북외유적의 현황과 문화성격을 중심으로-

        오대양 연세사학연구회 2024 學林 Vol.53 No.-

        이 글은 최근 국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중국 요령성 심양시 신민 북외유적 출토 비파형동검의 문화성격과 시간적 위치를 점검한 것이다. 나아가 요하평원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출현과 그 지역성의 문제를 유적내 공반유물상 특히, 선형동부 및 토기문화 등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북외유적은 요하의 지류인 蒲河 좌안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요하평원지역 초기 청동기문화에 속하는 고대산문화와 신락상층문화의 접경지역에 해당된다. 유적내 비파형동검이 출토된 문화층(제4층)은 주로 신락상층문화의 요소가 농후하지만, 공반유물 상에서 고대산과 마성자문화의 내용이 복합적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북외유적 비파형동검의 사용연대 및 문화성격을 추론하는데 여러 시사점을 준다. 특히 그것의 형태적 특징이 고식에 속하는 점, 동부용범과 토기류 등 동일 문화층내 공반유물이 대략 기원전 10세기 무렵에 위치하는 점에서, 북외유적 출토 비파형동검은 신락상층문화의 후반부, 이도하자문화로 전환되는 과도적 시점의 자료로 이해된다. 하지만 그것을 사용하였을 이 지역 초기 청동기시대의 주민집단이 고대산과 마성자문화의 사람들과 계통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상당부분 연관되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것은 고대산문화를 매개로 요하의 동서쪽에서 전개된 카라스크계 청동기문화의 교류상에 바탕하여, 요동 남북 각지의 초기 청동기문화와 상호 작용한 당지의 독창적인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locat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excavated from the Beiwei ruins of Xinmin in Shenyang City, Liaoning Province, China the emergence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he-plain area and its locality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by comparing them with its relics, especially the linear east and earthenware culture. The Northern Limit Line is located on the left bank of Poha(蒲河), a tributary of the Liao River, which corresponds to the border area between the ancient mountain culture and the Sinnak upper class culture belonging to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in the Johapyeongwon area. The cultural layer (fourth floor) where the non-wave bronze daggers are excavated in the ruins is mainly rich in elements of the Sinnak upper class culture, but the contents of ancient mountains and the Mahseong Jamun painting are complexly confirmed on his aerial relics. This fact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inferring the age of use of the non-wave daggers and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given that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long to the old style, and that air-class relics in the same cultural layer such as the eastern dragon and earthenware are located around the 10th century B.C., the non-wave daggers excavated from the North are understood as data from the second half of the Sinnak upper class culture and a transitional time point of conversion to the Idoja culture.

      • KCI등재

        요서지역 적석총문화의 기원과 형성과정

        오대양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5

        Hongsan culture, which flourished approximately 6,000–5,000 years ago, is from the Middle Neolithic Age in the West Liao River area. Considering dispersion, crowd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it is the central area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sections of the Liao River and the Daling River, which were the main regions of the “Area west of the Liao River” stone mound tomb culture. We can say that this region is the central area of the Hongsan culture remains. The early period of Hongsan culture was the farming-hunting mixed society. But we can anticipate that farming was more developed than before through the larger amount and diversity of agricultural tools than from earlier periods. In the latter period of Hongsan culture, raising livestock, such as pigs, became more common. There were many factors indicating a more developed sedentary agriculture, such as the large discoveries of developed agricultural instruments, the division of central and ordinary communities, the appearance of a large village with round dugouts, and other objects. This means the stone mound tomb culture in the area west of the Liao River was built upon the base of such a developed sedentary agriculture. And the large scale of the stone mound tomb also suggests that the society in that period was very near to the stage of civilization. In that society, internal group-strata structures were already present. There were special social classes (for example, priest), specialized craftsman (for example, potter), and ordinary people who mainly worked in farming. And we may even consider human sacrifice in the sacred rites. In the period of constructing stone mound tombs, there were gaps among each settlement and each group had its own life domai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an early stage of military power may also be considered. It is also true that though we cannot yet find specific evidence of military power, we can confidently infer it from the social situation in that period. Thus, these diverse factors offer confidence for the argument that the Hongsan culture was close to civilization though only at a very early stage. 홍산문화는 요서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문화로 중심연대는 약 6000~5000년 전 사이이다. 유적의 분포와 밀집현상 및 문화 특징 등으로 미루어 요서지역 적석총문화의 중심지역은 노합하 중상류에서 대릉하 중상류지역 사이이며 이곳은 전체 분포지의 중심지역이다. 홍산문화의 전기사회는 농업과 수렵이 병행된 사회였다. 그러나 이전 시대에 비해 대량 생산되는 농구류와 그 종류의 다양성은 농업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게 해준다. 후기에는 돼지와 같은 가축을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며 발달된 농구류의 대량 발견, 중심취락과 일반취락군의 분화, 대형 환호취락의 등장 등 발달된 정착 농경문화의 요소가 곳곳에서 확인된다. 요서지역의 적석총문화는 이처럼 발달된 정착 농경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단·묘·총을 조합으로 한 대규모의 적석총유적군은 당시 사회의 성격을 잘 반영해 준다. 요서지역 적석총문화의 기원은 흥륭와문화단계의 백음장한유적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동일유적내에서 발견되는 서로 다른 시기의 무덤양식이 동일한 장제와 장속을 채용한데에 근거하였다. 하지만 흥륭와문화와 홍산시기의 적석총내부에서 출토되는 유물 중에는 상당수의 이질적 요소가 발견되는데 약 천년 간격의 시간차가 만들어낸 필연성에 근거한다. 또한 우하량유적에서 발견되는 단·묘·총 조합의 적석총문화는 백음장한유적의 홍산문화 초기단계 적석묘와 직접적 계승관계에 있다. 여기에서 또한 양자간의 부장유물을 비롯한 장제와 장속 등에 있어 매우 이질적 현상이 발견된다. 즉, 전승관계에 있는 동일문화권내 같은 유형의 무덤들 사이에도 지역과 시간차를 두고 그것을 조영한 사람들의 관념체계나 사후인식에 커다란 변화가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요동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양상과 전개 – 소위 쌍방·미송리문화를 중심으로–

        오대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cultural nature of Gojoseon Kingdom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of academic circles recently by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e of Bronze Age in Liaodong region which is considered as an origin of our ancient history. Culture of early Bronze Age in Liaodong region is classified into two regions of south and north in terms of distribution, over three phases of development process. The 1st phase of Lianan Area consists of three periods, ranging from the 1st period (around 21st century B.C.) of Shuangtuozi Culture which was affected by Shandong Area, going through the 2nd period (18th century BC~15th century BC). to the 3rd period (14th century BC~11th century BC) which has strong indigenous tradition. In Liabei region, Machengzi Culture had begun at the later part of the 1st period of Lianan Area and showed similar patterns of development.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detailed contents, which indicates unique properties of cultures of both regions. Around the 9th century B.C., both north and south regions in Liaodong Area and 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had similar culture zone of strong homogeneity through various exchanges and was gradually integrated as one culture, which is so called Misongri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 related to lute-shaped bronze sword became another axis of Misongri Culture and there is a perspective that the center of the culture was moved from Liaoxi region to Liaodong Area. If the subjects of the culture were considered as the key power group of Gojoseon Kingdom, it could be seen that Machengzi culture(cave tombs, stone-coffin tombs) and Shuangtuozi Culture(Stone-piled tombs, dolmen) were an indigenous culture of the region and Misongri Culture was the combined culture of them. The culture related to lute-shaped bronze sword (stone-coffin, wooden-coffin tombs) was considered as an advanced foreign culture. In sum, Misongri Culture in the 9th~6th century BC can be seen as a regional culture of Gojoseon Kingdom that had developed by accepting advanced cultures of that time, including stone-tomb culture combined with traditional culture. 이글에서는 우리고대사의 한 시원지로 여겨지는 요동지역 청동기문화의 전개과정을 검토하여 최근 학계 내외에서 관심 받고 있는 고조선문화의 성격을 논의하고자 한다. 요동지역의 초기 청동기문화는 남·북 두 개의 분포구로 구분되며, 전체 3단계에 걸친 발전과정을 살필 수있다. 먼저 요남의 제1단계는 산동지역과 영향관계에 있는 쌍타자 1기(B.C. 21C 전후)에서 2기(B.C. 18~15 세기)를 거쳐 토착 전통이 매우 강한 3기문화(B.C. 14~11세기)로 전환된다. 요북은 마성자문화가 적어도 요남의 1기후반(B.C. 19세기 전후)에 태동되어 대략 유사한 변화상을 보이지만 그 세부내용에서는 다소 차이를보여, 두 지역의 독자적인 행보를 살필 수 있다. 그러나 B.C. 9세기 전후 요동의 남북 두지역과 서북한 지역은 다양한 교류를 통해 동질성이 강한 유사문화권, 소위 미송리문화로 점차 통합되어간다. 한편 비파형동검 관계문화는 미송리문화의 한 축이되는데 그 중심은 요서에서 요동으로 이동된다는 견해가있다. 만약 이 문화의 주체자를 고조선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다면, 마성자(동굴묘, 석관묘)와 쌍타자(적석묘, 고인돌)문화는 당지의 토착문화로, 미송리문화는 이들의 복합문화, 비파형동검문화[석곽(목관)묘]는 선진외래문화요소로 볼 수 있다. 요컨대, B.C. 9~6세기 미송리문화는 당지의 전통문화가 복합된 석묘문화를 중심으로 당대의 선진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한 고조선왕국의 한 지역문화로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홍산문화 적석총유적의 형식과 발전과정

        오대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7 No.-

        Hong-san culture, of which main era is around B.C. 4,000~3,000 years ago, is the Middle Neolithic Age in the West Liao River area. Considering dispersion, crowd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it is the center area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sector of Laohe and Daling River that main region of an ‘Area west Liao River’ Stone mound tomb Culture. And We can say that the very region is the central area of the whole Hong-san culture remains. The earlier part of Hong-san culture is the farming-hunting mixed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Hong-san culture, raising livestock - e.g. pigs - became more common and there was lots of factors indicating more developed sedentary agriculture - i.e. mass discovery of developed agricultural instruments. And the large scale of Stone mound tomb is also saying that the society in that period was very near to the stage of civilization. Thus these diverse factors gives confidence to the arguments that Hong-san Culture was close to the civilization even though that was the very early stage. 본 논고는 최근 韓·中 상고사관련 주요 현안인 요하문명에 대하여 홍산문화의 적석총유적을 중심으로 그 특징과 성격을 살핀 것이다. 홍산문화는 요서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문화로 중심연대는 기원전 4000~3500년 전후이다. 문화의 중심지는 내몽고 동북부의 노합하 중류에서 대릉하유역권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사회는 비교적 안정된 정착농경 생활을 영유하였으며 돼지 등의 가축을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요서지역의 적석총문화는 이처럼 발달된 정착 농경을 기초로 형성되었으며, 壇·廟·塚 조합의 대규모 적석총유적군은 당시 사회가 이미 문명화단계에 접근하였음을 보여준다. 홍산문화의 무덤유형은 토광묘·적석묘·적석총 등 3단계의 변천과정을 거친다. 토광묘는 전기에 출현하여 적석묘가 축조되는 중기이후에는 발견되지 않으며, 후기단계에 이르면 최종적으로 단·묘·총이 결합된 적석총유적군으로 발전하였다.

      • KCI등재

        馬城子文化 洞窟墓의 型式과 展開樣相

        오대양,백종오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馬城子文化는 太子河上流를 중심으로 전개된 遼北地域 초기 청동기문화로 연대범위는 기원전 19~11세기 사이로 편년된다. 이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洞窟내부에서 확인되는 매우 다양한 구조의 무덤들로서 현재까지 약 10여개 이상의 洞窟에서 150기 가량이 발굴되었다. 대부분 封土와 葬具施設 없이 바닥을 조금 고르는 정도의 묘광을 마련하거나 몇 개의 작은 석판을 깔고 그 위에 시신과 부장품을 놓는 형태이다. 혹은 묘실 주변으로 막돌을 둘러놓아 石壙을 만든 경우도 다수 발견되며, 일부는 얇은 석판을 세워 석관을 두거나 적석을 하였다. 장법을 보면 仰身直肢葬, 屈肢葬, 俯身葬 등이 유행하였으며 대부분 무덤 내에서 직접 화장을 하거나 간골 화장이 실시된다. 지금까지 발굴된 무덤들을 형식별로 정리하면 底石型, 石壙型, 石棺型, 積石型, 土壙型 등으로 구분되며, 전체 4단계에 걸친 변화상을 살필 수 있다. 제1기(기원전 18세기 이전)에는 대다수의 무덤들이 土壙型이지만 소량의 底石型과 石壙型도 확인된다. 제2기~3기(기원전 17~13세기) 사이에는 底石型과 石壙型의 수량이 점차 증가하며, 石棺型이 새롭게 출현한다. 제4기에(기원전 12~11세기)는 積石型이 추가되어 모든 형식이 다 확인된다. 그중 石壙型과 石棺型은 출토유물을 비롯한 형식특징에서 전형적인 石棺墓와 거의 유사해지며, 이때부터 洞窟墓의 전통이 점차 외부로 확장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처럼 太子河流域의 洞窟墓 전통이 점차 그 바깥으로 벗어나는 과정 중에는 주변지역 문화와 접촉하여 다양한 형태의 묘제가 파생된다. Machengzi culture was the BronzeAge culture in Liaobei area, which centered on the upper region of Taizihe, during the 19th to the 11th centuries BC. This cultur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tombs of various structures found inside caves. Sofar, about 150 tombs have been excavated in more than 10 caves. Most tombs consist either of grave pits dug on level ground without burial mounds and grave facilities or of corpses and burial goods located on some small stone plates. Some stone-lined tombs whose chambers were surrounded with rubble were also found, and some had stone cists of thin stone plates or stone mounds. Regarding burial methods, lying-on-back straight-body burial (仰身直肢葬), lying-on-side crouching-body burial (屈肢葬), and lying-face-down burial (俯身葬) were popular. Corpses were mostly cremated inside tombs, or bones of corpses were sorted after cremation. Tombs discovered so far can be sorted into stone-floor types, stone-lined types, stone-cist types, stone-mound types, and earth-pit types, and changes can be examined through four historical stages. In the first stage (before the 18th century BC), most tombs were earth-pit types, but a few stone-floor types and stone-lined types were found.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stages (the 17th to 13th centuries BC), the number of stone-floor and stone-lined tombs increased, and stone-cist type tombs newly appeared. In the fourth stage, stone-mound-type tombs were added, so that all types of tombs were found. Among them, the stone-lined type and the stone-cist type were getting close to the typical stone-cist grave in their formal characters, including in their burial goods. From this point on, it can be seen that the cave tomb tradition was gradually exported. In this way,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cave tomb tradition in Taizihe basin was exported, the cave tomb tradition reached neighboring cultures, and various burial systems were derived from it.

      • KCI등재

        송국리유적 석관묘의 특징과 성격 재검토

        오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8 No.-

        이 글은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 석관묘의 주요 특징과 기능 및 성격에 관한 문제를 재검토한 것으로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지역의 사례와 비교되는 송국리유적 석관묘의 특수성은 대형화된 묘실 개석과 매장주체부, 그리고 벽석부의 보축시설 및 부장품의 문화적 상이성 등으로 요약된다. 둘째, 동검 부장묘로서의 1호 석관묘와 묘역내 중심적 입지에 자리한 5호묘간의 어색한 배치관계에 미뤄 볼 때, 그간 묘역내 중심묘적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어온 송국리 1호 석관묘의 시간성과 성격문제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 송국리 5호 석관묘는, 유구 자체의 제반 특징과 주변 지역 유사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인돌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5호묘(추정 고인돌) 출토 이중구연 단사 선문토기를 시간성의 문제가 아닌 문화 성격적 측면에 보다 집중할 경우, 그것을 축조한 사람들의 성격을 이해하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넷째, 묘역의 형성과정은 구릉 정상부 방대상의 돌출부 중심에 자리한 5호묘와 그 서북쪽 4호 석관묘 및 미조사된 6호 석관묘 등의 관계가 성립된 이후(先), 중심묘적 기능을 가진 5호묘의 축선을 기준 삼아 1호 석관묘 및 그 사이의 2·3호 석개토광묘가 들어서면서 (후), 최종적으로 하나의 성토부가 구획되어 묘역화 되었을 것으로 본다. 다섯째, 송국리문화권내에서 고인돌적 전통이 수용되는 과정에는 송국리집단의 주도적 역할이 예상된다. 아마도 고인돌문화 속에 내재된 신앙과 의례풍습 등을 존중해주는 한편 서로 공유함으로써 두 집단간의 정신문화적 측면에서의 동화를 모색한 듯하다. 결론적으로 송국리 1호 석관묘와 5호묘의 관계는 고인돌 축조집단의 신앙체계나 문화적 관습 등을 수용한 송국리집단의 배려로 볼 수 있을 듯하다. This paper review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features of stone-lined tombs of the Bronze Age, which was investigated from the Songguk-ri historic ruins of Buyeo Kingdo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stone-lined tombs in the Songguk-ri's historical ruins compared to the cas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summarized as the enlarged size of a lid stone in the chamber of a tomb and the main chamber, reinforced structure of stone wall part,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burial goods. Second, considering the awkward arrangement between the No. 1 stone-lined tomb where the bronze sword was buried and the No. 5 stone-lined tomb placed in the central location of the cemeter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No. 1 stone-lined tomb in Songguk-ri,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core tomb in the cemetery in terms of functions. Third, it was determined that the No. 5 stone-lined tomb in Songguk-ri showed strong characteristics of dolmens, based on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ruins with the similar cases in the surrounding areas. Besides, if the focus is given more on cultural characteristics, not on time, of the double-brim earthenware with short-oblique line patterns excavated from the No. 5th tomb (estimated as dolmens),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built it. Fourth, as fo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cemetery, it can be explained in time order. After the relationship was formed among the stone-lined tombs of No. 5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ded part of the square pedestal on the peak of the hill, No. 4 in its northwest part, and No. 6, which was not studied yet (former event), the stone-lined tomb No. 1 was built along with the axis of No. 5 tomb and also No. 2 and 3 pit-type tombs with a stone lid were built in between (latter event). Through former and latter events occurred, one zone of the cemetery was formed as a result. Fifth, it was assumed that the people who built the tombs in Songguk-ri (“Songguk-ri group”)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dolmen-style traditions within the Songguk-ri culture. While respecting the beliefs and ritual customs inherent in the dolmen culture and sharing them with the dolmen group, it seems to have sought coordination in terms of mental and cultural aspect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 1 (stone-lined tomb) and No. 5 (dolmens) tombs in Songguk-ri can be seen as a consideration by the Songguk-ri group, which embraced the religious system and cultural customs of the dolme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