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활장벽 요인에 대한 정서적 자활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엄태영(Um Tae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활과 자활장벽요인간의 관계 및 이 두 변수에 대한 정서적 자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자활정책 및 실천 영역에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수도권 지역자활센터 30개소에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357명을 대상으로 2009년에 수집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변수간의 인과관계와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종속변수가 이분변수이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활장벽정도가 높은 경우 경제적 자활정도가 낮았고, 정서적 자활정도는 특별히 자활장벽요인 중 연령과 경제적 자활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경제적 자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적 합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자활장벽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경제적 자활 장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서적 자활에 대한 개입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자활은 경제적 자활의 선행변수로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다양화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elf-Sufficiency level and Barriers to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nts at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ocused on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self-sufficiency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self-sufficiency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 community self sufficiency center on December. 2009. A total of 357 participant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s of the casual relationship and the moderate effect. The result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the participant who lad high degree of barrier had low level of probability for getting a job. Also, emotional self-sufficiency had moderate effect partially to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robability for getting a job. Based on the research,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as the following for the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tions at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irst, the pocicy-oriented approach is more necessary to decrease barriers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Second, intervention for emotional self-sufficiency should be strengthened for reduction of barrier to economic self sufficiency. Third, Since emotional self-sufficiency is the preceding variable of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program for emotional self-sufficiency should be extended much more. This study provides the foundation for impli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barrier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emotional self-sufficiency, and getting a jog of participant at the self-sufficiency program.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조직헌신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엄태영(Tae Young Um),임진섭(Jin Seop L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2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과 조직헌신의 관계를 분석하고 동시에 이들이 경험하는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국내 자활사업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1월 대구광역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98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변수간의 인과관계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방법(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활사업단에 소속된 자활참여자의 조직헌신 정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자활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헌신과 정서적 자활간의 관계에서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스트레스 정도가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 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춰본다면 향후 국내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 향상을 위해서는 공동체의식교육 이외에 경제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에 대한 조직헌신과 경제적 스트레스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자활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devotion and emotional self-sufficiency of the self-sufficient program participants. 698 persons who lived in Taegu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devo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higher self-sufficiency. In addition, economic stress moderate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devotion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 folds; One is that in order to increase emotional self-sufficiency,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put into consideration; The other is that approach for decreasing economic str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 for self-sufficiency. Overall, this study lays a groundwork for the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t program.

      • KCI등재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엄태영(Um, Tae Young),주은수(Ju, Eun Su)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목적은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취약계층 자립지원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희망리본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제적 자활 실태 및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중앙자활센터에 구축된 전산자료 중 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국의 희망리본사업 참여자 13,43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제적 자활여부는 희망리본사업 참여 이후의 취업·창업 경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취업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을 투입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참여자의 성별과 나이, 수급형태와 질병, 학력, 자격증, 희망리본사업 참여 이전의 근로경험 등이 취업·창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취업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이 많을수록 취업·창업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교육훈련 서비스 이용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희망리본사업이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자활저해 요인을 완화하는데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 운영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elf-sufficiency among vulnerable workers,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of Hope Re-born project. We uses the data collected and compiled by the Central Self-Sufficiency Foundation, because the data include informations of the project related activities of all the project participants.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is also available in the data. Among the several years of data, 2014 data in which 13,436 participants are included is used for the analysis.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nts is measured by whether they had at least one experience of employment or opening a small business since they had enrolled in the project. Using this dichotomous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executed with the variabl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rvice usage.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o-economic status matters as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gender, age, types of welfare recipiency,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license,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are siginificantly associated to the outcome. Also, participants who received more services are more likely to succeed in the labor market. However, education and training are linked to the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태영 ( Um Tae-young ),박은하 ( Park Eun-ha ),주은수 ( Ju Euns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입시 위주의 교육 시스템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높은 학업 성취 수준에도 불구하고 낮은 진로결정 수준을 보이고 있다. 높은 진로결정 수준은 안정적인 노동시장 진입과 높은 직업 만족도로 이어져 미래의 복지 수준에 대한 중요한 결정요인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것이 현실이다. 특히 교육 영역에서 다 양한 소외를 당하고 있는 빈곤계층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진로결정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 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전국의 청소년자활지원관 28개소에서 청소년 82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장벽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 정도가 낮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 장벽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수준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 장벽 요인을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Due to the exam-driven education system in Korea, adolescents show lower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while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is a key determinant of future well-being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well-paying jobs and higher job-satisfaction. However, research in this area is quite limited and fragmente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barriers which link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Data was gathered from 827 teenagers enrolled in programs in 28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ies in Korea. Results show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level of career barrier, and a level of career barrier is inversely correlated with a career decision level. Also, career-barrier is found to be a perfect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To enhanc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low income adolescents, authors suggest solu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hich can minimize career barriers.

      • KCI등재

        데이컴 기법을 활용한 자활사례관리실천가 직무분석 연구

        엄태영 ( Um Tae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는 자활 사례관리실천가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직무는 실천 전문가들에 의해 데이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총 9개의 임무와 33개의 과업, 그리고 78개의 필요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내에 자활사례관리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비자발적 대상자 지원을 위한 훈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사례관리과정에서 필요한 간접적 실천기술역량이 필요하다. 넷째, 자활사례관리실천가는 취·창업관련 기술과 교육기획능력을 습득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현장실습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컴(DACUM) 방법에 의한 본 연구결과는 자활 사례관리자의 전문능력향상 및 관련 대학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tioner in the self sufficient program. Job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practice experts and filed through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The result of job analysis is that the job structure consists of 9 duties, 33 tasks and 78 need abil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 First, the case management for self sufficiency should be included i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al guide. Second, discipline about the involuntary clients is provided. Third, indirect practitional skill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the case management. Fourth, case management practitioner should have the skill for the working, business starters support and the ability for the planning of education. Lastly, the opportunity for the work experience should be expanded. The result of job analysis on the basis of Developing A Curriculum will be a critical basic resources for improving job ability of case management practitioner in the self sufficient program and will be a research material data for the related universities curriculum.

      • KCI등재

        정서적 자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엄태영(Tae Young U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4 한국사회정책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정서적 자활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적 자활을 탐색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연구를 바 탕으로 하여 25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자활사업 참여자 287명을 대상으로 탐색 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6개 요인, 25개 문항의 척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확 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를 고려하여 정서적 자활척도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요인으로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대인관계, 일에 대한 보람, 통제력과 자립의지, 자아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서적 자활척도를 바탕으로 정서적 자 활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scale of emotional self-sufficiency for the participant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or this,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had investigated emotional self-sufficiency, expert delphi study. And 25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After that, 287 people participated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of scale in six factors and 25 questions was verified. Also, the scale of emotional self sufficiency was ascertained in consideration of goodness of fit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crete factors consist of a positive attitude for the life, human relation, rewarding job, self-control, will of independence, and self-image.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bout the self-sufficiency through the developed self sufficiency scale.

      • KCI등재

        한국 자활사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조망

        엄태영(Tae Young U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한국 자활사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활사업 지침 내용을 분석하였고, 36명의 자활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을 구성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델파이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먼저 현재의 지역자활센터 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고,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간의 역할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근로능력이 미약한 참여자들을 위한 자활사업이 더 많이 필요하며 자활사업은 빈곤계층에 대한 투자라는 인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자활사업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계획이 수립 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trategies to implement and enhance the Korean self-sufficiency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the guidelines for self-sufficiency program from 2000 to 2013 was carried out and this is followed by 2 rounds of survey on the system with a panel of 36 experts who work in the self sufficiency program agency. Delphi method was applied to specify components and constituting items of their opinions and then a content validity study was conducte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elf sufficiency centers are run on a small scale, which makes it challenging for them to have more social leverage. Alternatives to better this situation should be propos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greater coordin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labor and the department of welfare. Third, more programs need to be devised for those who don t have the ability to work. Finally, we should raise the awareness that the self sufficiency program is indispensable investment for the poor and the long term plan is required.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성과에 관한 연구: 대구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엄태영 ( Tae Young Um ),임진섭 ( Jin Seop L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지각된 업무환경과 조직헌신이 자활성과인 일에 대한 태도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영향관계가 자활사업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광역시 소재 지역자활센터에 속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업무환경이 조직헌신과 정서적 자활에 정(+)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에 대한 태도에는 통계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수인 조직헌신은 일에 대한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서적 자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직적 의미인 조직헌신이 개인의 변화와 관련한 정서적 자활과는 직접적 연관성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서는 자활사업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자활사업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Perceived business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and Attitude to the work that can be viewed as a Self-support performance and the path between these variables. Also, It is intended to verify what differences of effect relationship are occurred depending on the self-support program. In order to proceed, we used survey data targeting Participants under Local Self-support Center located in Dae-gu provinc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business environment affect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self-sufficiency but did not affect on the Attitude to the work,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a mediating variable affects on the Attitude to the work but did not affec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This show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n’t have direct correlation with self-sufficiency in reference to the individual chang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partial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pport progra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es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 for current self-support program.

      • KCI등재

        자활사업 탈피 영향요인으로서의 개인 및 근로연계복지모델 특성에 관한 연구

        엄태영(Um, Tae-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사회적 일자리형 자활사업 형태인 통합교육보조원 사업 참여자가 자활사업을 탈피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근로연계복지모델 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개인 및 조직 수준의 자료에 적합한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활용하였고, 지역자활센터 30개소와 자활사업 참여자 347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자활사업 참여자가 수급자가 아닐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업무가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인지할수록, 자활사업 참여기간이 길수록 자활사업 탈피 가능성이 높았고, 1인당 교육비 투입액수가 높은 지역자활센터의 참여자일수록 자활사업 탈피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1인당 교육비 간,그리고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취업지원서비스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 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근로연계복지모델 특성과 관련해서는 충분한 정도의 자활사업 참여기간이 보장되면서,많은 교육비 투입 및 취업지원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때 자활사업 탈피의 가능성이 높아짐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 탈피와 관련하여 참여자 및 지역자활센터 특성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역자활센터 운영 및 자활사업의 정책적,실천적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edictors of participants' escape from self-sufficiency programs.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used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47 people in 30 cent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fixed effects indicate that the potential for escape would be greater for people who are not welfare recipients, have a higherlevel of education, are younger, consider their duties as appropriate, and take part inself-sufficient program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s' organizational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escape suggests that the probability of entering into a profession will increase as the training cost per person becomes higher.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conditional slope model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escape will rapidly increase as the training cost per person becomes higher and as work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he length of program participation becomes more prevalent. This study suggest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cape from self-sufficient programs.

      • KCI등재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 자활근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 대전지역 가사·간병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엄태영(Tae Young Um),김동기(Dong Ki Kim),허미경(Mi Kyoung He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간병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는 여성들이 지각하는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과 동료의 지지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및 이 둘의 관계에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 지역자활센터에서 가사·간병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는 여성 155명으로서, 각 변인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는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 또한 정서적 자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정서적 자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결국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하지만 자활사업 참여 동료의 지지는 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지 정서적 자활에만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료지지의 정서적 자활에 대한 직접효과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의 주요한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근거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bout staff at the community self-help center, support of colleagues and emotional self-support, and mediation effect of self-respect of female participants in the self help program.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participants of the self-help program at Dae jun who are femal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55.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is use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about staff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n the self-respect of participants, and the self-respec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self-support. Also, Satisfaction about staff has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self-support. After all,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self-respect is mediator between Satisfaction about staff and emotional self-support. But support of colleagues doesn 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n the self-respect of participants, just has 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self-support.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motional self-support of participants in the self help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