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 전압 스위칭 기법을 이용한 무변압기형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
양진영(Jinyoung Yang),최세완(Sewan Choi),남석우(SeokWoo Nam) 전력전자학회 2007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절연이 필요하지 않은 응용에서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해 무변압기형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가 제안되었다. 이 컨버터는 변압기 없이 6~8배의 실제 승압비를 가지며, 인터리빙 동작으로 입력전류 및 출력전압 리플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연료전지 응용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고승압 무변압기형 부스트 컨버터에 DCM 방식의 영 전압 스위칭을 적용하여 인덕터의 부피를 줄이고 스위치의 턴 온손실과 EMI를 저감하여 고주파의 응용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컨버터의 영 전압 스위칭의 동작모드 분석을 통해 원리 분석을 행하였으며, 실험 및 기존 컨버터와 효율비교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양진영(Jinyoung Yang),이상원(Sangwon Lee),최세완(Sewan Choi),김태훈(TaeHoon Kim) 전력전자학회 200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본 논문에서는 높은 승압비를 갖는 응용에 적합한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작은 듀티로 높은 승압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단상 또는 다상의 컨버터에 비해 스위칭 소자의 전류 스트레스가 작고, 전압 정격이 출력전압 보다 작은 장점이 있어 작은 도통 손실을 갖는 소자의 선정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다상 병렬연결 인터리빙 부스트 컨버터와 마찬가지로 인터리빙을 적용 할 수 있다. 제안한 컨버터의 이론적 분석을 행하고,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고전압 배터리 충, 방전을 위한 49kW급 고효율 양방향 DC/DC 컨버터 설계
양진영(Jinyoung Yang),윤창우(ChangWoo Yoon),박성식(SungSik Park),최세완(Sewan Choi),박래관(RaeKwan Park),장서건(Seogeon Chang) 전력전자학회 2007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a high efficiency bi-directional DC-DC conv erter for hybrid vehicles is proposed. The proposed converter a three-phase half-bridge interleaved ZVS converter, is desi gned to have high efficiency in the main operation range. The component ratings are calculated, the actual devices are selected, and the efficiency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determine optimal ZVS range. The input and output current ripples are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interleaved opera tion. The dual loop control for the interleaved three-phase converter is also presented. To confirm the proposed convert ter,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상용 DBMS 제품의 데이터 복제 기술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 이동 시스템
양진영(JinYoung Yang),장혜정(HyeJung Jang),송은정(EunJung Song),김영곤(YoungGon Kim),윤명상(MyeongSang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분산 DB 환경에서 데이터 접근의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단위의 중복을 허용할 때 데이터 일치성을 유지함으로써 업무처리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분산 DB 환경에서 중복 테이블들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마스터 테이블과의 데이터 일치성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은 대상 서버와 해당 테이블 수의 증가에 따라 업무의 복잡성이 가중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 테이블간의 데이터 일치성을 수행하는 작업을 데이터 이동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모델링하고, 다수 서버 환경에서 다량의 중복 테이블간의 데이터 일치성을 요구하는 업무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이동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해외 재난경보서비스 검증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 요구사항 정의
양진영(Jinyoung Yang),김희광(Heekwang Kim),권동현(Donghyun Kw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국내 이동통신은 4 세대(4G)에서 5 세대(5G)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5G 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재난문자 길이의 확장, 송출 지역 세분화, 외국어 문자 지원 등을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포함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와 검증 시스템 구축이 준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5G 망으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검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할 리빙랩이 구축될 예정이다.
양진영,김주형,Yang, Jinyoung,Kim, Chuh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6
부선의 50퍼센트 이상은 선박검사를 '무인부선'으로 받고 있다. 무인부선의 두드러진 이점은 유인부선에 비해 약 25퍼센트의 건현에 해당되는 화물을 더 적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무인부선에도 항해 중에 선석 접안과 이안, 투묘와 양묘, 항해등화의 점등과 소등 등과 같은 업무를 담당할 선원이 필요하다. 피상적인 인식은 예인선이 부선 운항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것이지만, 부선 운항자가 예선을 용선하는 경우처럼 다른 사례들도 다수 있다. 특정 계약관계에서는 예선이 부선의 운송인에 불과할지라도 예선 선장은 그 운송계약(항해)을 완성하여야 하는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상당수의 예선 선장은 부선 제원과 선두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선장의 권한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며 관련 법령을 의도하지 않게 위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책적 접근을 통해 무인부선을 유인부선화하고, 승무정원증서를 발급받도록 하며, 부선과 선두의 정보를 예선 선장에게 제공하는 등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안을 통하여 선두의 권리를 개선하고, 법령(최대승선인원) 위반 부담을 해소하며, 예선 선장의 권한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예찬(Yechan Yang),박성현(Seonghyeon Park),박준혁(Joonhyuk Park),서빈(Bin Seo),김나경(Nakyung Kim),정회조(Hoijo Jeong),석진영(Jinyoung Suk),김승균(Seungkeun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5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31 No.1
Advanced air mobility (AAM) is being developed to address complex transportation challenges in urban environments. In this study, a scaled model of a boxed-wing tiltrotor AA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hrough simulation and flight testing,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future commercialization of AAM. All structural and aerodynamic factors involved in the design of the Boxed-wing were consider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and its aerodynamic performance was analyzed. A software-in- the-loop simulation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the Gazebo simulator and PX4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imulation model. The model successfully followed the predefined waypoints during the simulation, and the control parameters derived from the simulation were then applied to the flight test. The key parameters among them were validated through the flight test, confirming their effectiveness in ensuring a stable f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