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

        양정현(Yang, Jeong-Hyeon)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의 미적 특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이청준 소설의 숭고에 대한 연구들을 받아들이는 한편, 특히 낭만주의 시를 숭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 토마스 와이스켈의 논의 가운데에서 은유적 숭고와 환유적 숭고에 관한 논의를 참고하고자 한다. 이청준의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을 은유적·독자적 숭고와 환유적·저자적 숭고로 나누고, 소설의 주 대상과 그것이 제기하는 인식론적 토픽이 소설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양상을 구별할 것이다. 주 대상이 지니는 인식론적 토픽을 소설 전체 구성상의 구조로까지 확장해나가는 차원에서 볼 때, 「가수」는 주 대상인 주영훈이 보여준 은유적 숭고가 반복·배가되는 반면, 「시간의 문」에서 이러한 복잡한 해석과 주체와 대상 사이의 횡단은 온전히 실천되지 못하고 기의가 과잉되고, 수동적인 ‘설득’의 대상의 자리에 소설의 담화적 구성이 놓이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between two types of sublimity in Lee Cheong-jun’s works of fiction and their aesthetic properties. While considering current bodies of research on the sublime in Lee’s works of fiction, this essay will focus on the discussion of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sublime in the discussion of Thomas Weiskel. This character is particularly analyzed within the context of romantic poetry in terms of the sublime or sublimity. The two types of studied sublimity in Lee’s works of fiction will be divided into metaphorical (and reader’s) sublimity, and metonymical (and author’s) sublimity, and the aspects of the main theme and its meta-fictional duplication throughout all fiction will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ublimity described previously. From the standpoint of observing the duplication of the epistemological topic of the main theme to metafictional structure, the metaphorical sublime in A Feigned sleep is repeated and doubled, while the metonymical sublime in The Gate of Time shows that a crossover between the interpretation and the theme of fiction ends up in a failure of combination, with an overflowing number of signifiers.

      • KCI등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 연구 ― 말과 지식의 양가성을 중심으로 ―

        양정현 ( Yang Jeong-hye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0

        이 논문은 조세희의 연작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말과 지식의 오고감, 그리고 그것에 쓰임에 관한 담화로서 보고, 이 소설이 제시하는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지향의식을 교육이라는 주제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난장이』가 구축하고 있는 대립적 세계관은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지향 의식 속에서 성립하며, 그것은 사회경제적 현실과 윤리적 당위의 비대칭적인 관계를 기초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 지식과 폭력은 각각 자본과 계급과 노동자 계급에 속하는 주요 지표가 된다. 『난장이』가 「뫼비우스의 띠」와 「에필로그」를 외화로 하는 액자소설이며, 두 소설의 배경인 교실은 그 무엇보다 일차적으로는 교육과 연관된 공간인 탓에 『난장이』는 교육의 가능성, 즉 지식을 습득하는 일과 그 효과를 설시하는 `교시의 플롯`으로 읽힌다. 그런데 노동자 계급의 영수라는 인물의 각성이 교육이 아닌 폭력으로써 관철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가 교육의 실패를 표상하는 인물로 보이게 만든다.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의 결미에서 영수는 사랑이 교육으로써 관철될 수 있다는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고 법이 필요하다는 난장이의 생각에 기울어졌음을 보여준 바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주제에 주목할 때 이와 같은 영수의 심경 변화와 폭력적 행동은 『난장이』 해석의 중심인 동시에 해결되어야 할 난점이 된다. 이 난점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사랑이나 교육, 법률과 같은 핵심 주제어들이 소설 속에서 양가성을 가지고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난장이」에서 교육은 그 자체로 사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오히려 교육은 감정을 고갈시키는 편협한 지식의 주입으로까지 묘사되고 있다. 이 같은 교착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단초로서 제시되는 것은 교육 그 자체가 아니라, 정확히는 교육의 올바른 쓰임이다. 『난장이』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는 영수의 죽음이라는 이야기 층위의 사건보다는, 그 사건을 감싸안고 의미론적 통일성을 부여하는 외화의 상황과, 뫼비우스의 띠와 클라인 씨의 병이라는 개념적 축도를 참조하면서 이해되어야 한다. 두 개념적 축도는 교육은 무언가를 말로써 설득하기 위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재인식하는 것이요, 내가 가진 무엇에 근거해 `듣게` 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자본가 계급형 인물인 경훈은 그처럼 `듣는` 주체로서의 윤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그와 같은 책임 있는 말하기와 듣기의 상황은 내화와 외화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면서 열린 결말에 해석상의 단초를 제공한다. 그것은 말하기와 듣기의 상호책임을 독자에게까지 확장하면서 『난장이』 연작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의 의미론적 가치를 증대시키며, 다소 공상적이고 도피적인 것으로 소설의 결말을 긍정적으로 다시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근거를 제공해준다. In this paper, I present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which is a roman-cycle by Jo Se-hee, as a discourse on the exchange of words and knowledge, and explaining the political and ethical orientation proposed by this fiction in terms of the themes of pedagogy. The conflicting worldview that Dwarf establishes is formed in the consciousness of ethical and political orientation, based o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reality and ethical principle. And in this unreasonable situation, knowledge and violence are major indicators of capitalist class and working class each. Therefore, the plot of the `teaching` made by Dwarf is the central point of interpretation of the work, because it is framed by outer story "Mobius`s Band" and "Epilogue." Despite the classroom is primarily a space related to pedagogy, it is the fact that the awakening of the character, Young-su, is ended up by violence rather than pedagogy, that regards him as the allegory of the failure of pedagogy. In the ending of "The fault is also in God", Young-su withdraws his belief that the ideal soceity can be realized by pedagogy and shifts his position from the pedagogy to the law, as his father did. However, core key words such as love, pedagogy, and law are being used in the novel with ambivalence, and therefore pedagogy is not a means of socio-political change in itself. Rather, pedagogy is even portrayed as an infusion of narrow knowledge that depletes humanistic compassion. What is presented as a starting point to overcome this stalemate is not pedagogy itself, but precisely the correct use of pedagogy. The themes of pedagogy of Dwarf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within the meaning of inner story but also with reference to the situation of outer story, which frames inner event and the conceptual epitome of “Mobius`s belt” and “Klein bottle.” Both conceptual epitome show that pedagogy is not about acquiring knowledge to persuade something, but re-recognizing what s/he already have, and making someone to "listen" carefully based on what s/he have. Kyung-hoon, a capitalist class figure, shows such pedagogical ethics as a `listening` subject, and furthermore, the situations of such responsible speaking and listening are both repeated in the outer and inner story, providing the clue for coherent interpretation of the open ending of Dwarf. It extends the mutual accountability of speaking and listening to the degree of reader, increasing the semantic value of the themes of pedagogy presented in the Dwarf and also provides a textual evidence for reevaluating the end of this novel.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소설에 나타난 나무 변신의 모티프 연구

        양정현(Yang, Jeong-hyeon)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1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주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를 보다 확장된 우주적 차원의 존재로 사고하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성향을 지닌다. 이는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여러 자연물 가운데 나무는 특히 그와 같은 상상력의 주된 대상이 되어왔다. 요컨대 나무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보고, 나아가 우주적 섭리와 질서를 보는 것은 인간에게 특유한 상상력의 소산이다. 이 같은 관점 아래에서 본고는 나무로의 변신 모티프를 구현하고 있는 최근의 소설에서 문학적 상상력의 구체적 작용 양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채식주의자를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시선을 교차하여 보여주는 한강의 연작 소설 『채식주의자』, 여러 나무 변신 신화를 적극적으로 원용하면서 좌절된 사랑의 이야기를 그린 이승우의 『식물들의 사생활』, 그리고 식물적인 변신 모티프를 꽃에까지 확장하고 있는 이청준의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대상 텍스트에서는 여러 신화나 소설, 시 등에서 나무와 가장 밀접히 조응하는, 사랑과 신성함(혹은 영원성)이라는 관념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그것은 나무 변신 모티프를 통해 구체화된다. 『식물들의 사생활』은 여러 나무 신화를 종합하면서 동물적 사랑과 대비되는 식물적 사랑의 가능성을 탐문한 사례이며, 그것은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에서는 동물적 생식과 성적 경쟁이라는 이야기의 기원으로부터 식물 변신 신화로의 이행이라는 텍스트의 주제로 나타나고 있다. 『채식주의자』 연작에서 육식주의-가부장주의적 가족 형태라는 억압적 현실로부터의 탈주가 나무 변신의 모티프로부터 촉발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랑 지평의 모색은 현실 논리를 도치하고 전도시키는 일을 통해 가능하다는 인식을 밑자리에 깔고 있다. 그러한 도치와 전도의 형태는 나무가 표상하는 유한성과 영원성, 죽음과 재생, 현실과 꿈과 같은 대립적 개념의 변증법적 종합에 힘입어 구체화되고 있다. 나무 변신 신화를 중심으로 정리한 이러한 특성과 텍스트의 구조는 나무를 통해 현실 인식을 재고하고자 해왔던 인간주의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It is a natural inclination of human beings that regards themselves as a part of the expanded universal existence rather than just grasps the sense of being of themselves in the interaction with their surroundings. It is possible because of their imagination. Among the several natural objects, tree has been the major object of the imagination for a long time. That is to say, we have found not only an anthropomorphic figure in tree, but also the universal providence and order by the aid of our unique imagina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detailed aspect of working of the literary imagination in the recent fictions that embody the motif of the tree-metamorphosis. The subject fictions are The Vegetarian by Han Gang that shows the point of view of each of the narrators surrounding a vegetarian character, The Private Life of Plants by Lee Seung-woo that depicts a story of a frustrated love quoting various myths of treemetamorphosis, and The Life Story of Humanist Mr. Musojak by Lee Cheong-jun that expanding the motif of metamorphosis into flowermetamorphosis. The subject fictions are imbued with the notion of love and sacredness (or eternity), which have closely corresponded with trees in various myths, fiction, poetry, etc.. And it is embodied by the tree-metamorphosis motif. The Private Life of Plants is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botanic love(form of plant) which against to fleshly love(form of animal) by synthesizing various tree myths. Following this form of love, the theme of the transition from fleshly reproduction and sexual competition to the plant-metamorphosis myth is presented in The Life Story of Humanist Mr. Musojak . In case of The Vegetarian , the escape from the oppressive carnivorous-patriarchal tradition is triggered by motifs of tree-metamorphosis. In addition, seeking for such prospect of love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possible only by inverting or reversing the logic of reality. Such modes of inversion and reversion which is represented by trees are specified by the dialectical synthesis of opposing concepts collapsing the dichotomy such as ‘finitude and eternity,’ ‘death and regeneration’ and ‘reality and dreams.’ In terms of the tree-metamorphosis motif,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the fictions show the humanistic imagination that has been attempted to reconsider the reality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청일전쟁에 대한 한·일의 기억과 전승

        양정현(Yang, Jeong-Hyeon) 효원사학회 2014 역사와 세계 Vol.- No.46

        Yaskuni yusyukan exhibits on the Sino-Japanese war reflects the recognition of Japanese right-wing. In Recognition of the Japanese right-wing associated with the Sino-Japanese War, The dominant perspective of Japan for the Sino-Japanese War can be seen at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hall. Description on the Sino-Japanese War history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show a wide spectrum. The Japanese right-wing nationalist perspective and the perspective of Korea has a long enough interval hard to overcome. Description of the Sino-Japanese War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are similar to yusyukan exhibits. On the other hand history textbooks of Korea is similar to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the War Memorial of Korea. The Korea history textbooks simply omit the Sino-Japanese War, or are showing a tendency to minimize the description of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무진기행」에서 <안개>로의 매체전이 양상 연구 -인식론적 책무 개념을 중심으로-

        양정현 ( Yang Jeong-hye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이 글은 김승옥의 단편소설 「무진기행」(1964)과, 이 소설을 영화화한 김수용의 <안개>(1967) 사이의 매체전이적 양상을 인식론적 책무 (epistemological commitment)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식론적 책무란, 언어나 그림, 음악과 같은 어떤 양식(mode)이 특정한 상황이나 지식, 특성을 재현하고자 할 때 반드시 특정한 의미론적 사항이 뒤따르기에 발생하는 것이다. <안개>는 매체전이 과정에서 원작의 의미론적, 주제적 동일성을 최대한 담보하려는 작품이며, 그렇기에 언어와 영상이나 음악이라는 표현 양식에 따른 정보의 차이를 비교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안개>에는 테크놀로지로서의 매체가 가지는 한계로 인해 발생한 현상과, 도리어 그로부터 의미론적 풍부함이 증대되는 사례가 존재한다. <안개>에서는 「무진기행」에서 다소 절제되었던 윤희중에 대한 아내의 심리적 구속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내적 갈등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영화에서 아내와 기준의 대화씬은, 인식론적 책무의 측면에서 볼 때, ‘특정한 행동을 하면서 특정한 말을 한다’라는 기본적인 상황에서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는 ‘특정한 행동’을 시각적으로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의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해준다. 또한 <안개>에는 감각적 채널로서의 매체에 따른 각각의 양식이 갖는 상이한 인식론적 책무와, 그로 인해 발생한 의미론적 변화 사례가 존재한다. 인물 성격묘사나 의미론적 계열화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언어와 이미지의 차이로 인해 조의 성격묘사의 의미론적 응집성이 약화되며, 언어적 유사성에 의존하는 미친 여자, 자살한 술집 작부, 하인숙 사이의 의미론적 계열화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부끄러움’에 중점을 둔 소설의 결말과 영화의 결말은 다소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transmedial aspects between the Kim Seung-ok’s short story “A Journey to Mujin” (Mujingihaeng, 1964) and Kim Soo-yong’s film Mist (An-gae, 1967) from the standpoint of epistemological commitment. Epistemological commitment occurs when certain modes, such as language, image, and music, must entail certain semantic points when trying to reproduce a particular situation, knowledge, or trait. Mist is a film that attempts to maximize the semantic and subject identity of the original work in the process of media transition, and therefore, it is suitable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modes like language, image, and music. From the above standpoint, there is a phenomenon caused by the limitation of the medium as a technology in Mist, and a case where the semantic prosperity is increased in spite of that limit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ist is that the wife’s psychological restraint on Yoon Hee-jung and the inner conflict, which was somewhat moderated in “A Journey to Mujin,” are more emphasized than fiction. The dialogue scene of the pre-departure to Mujin is appropriately modified to convey the meaning more effectively by changing the visual image of ‘specific action’, which is a compulsory element under the basic situations of ‘making specific utterances and taking action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re exist different aspects of epistemological commitment in each mode with regard to the media as sensory channels, and the case of semantic changes that have arisen therefrom. In terms of the characterization and a chain of semantic similarity, the description of Jo’s character is weak because the differences in language and image, semantic integration among a mad woman, a self-slaughtered hostess and Ha In-sook, who all depend on linguistic similarity, are hardly found. As a result, the ending of the original fiction focusing on ‘shyness’ and the film counterpart show more or less a difference. The question of how we express someth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how it can be interpreted, as we cannot insist on the idea that there is a completely media-independent content. Epistemological commitment is a particularly useful concept for extensively analyzing this problem because it is derived from an inevitably intertwined condition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The value of this concept as a general criterion can be more accurately judged when a quantitative analysis of transmedial aspects would be accumul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