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들에게 목 돌림 수행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노열 ( No Yul Yang ),오재섭 ( Jae Seop Oh ) 대한물리의학회 2014 대한물리의학회지 Vol.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neck rotation angle, neck lateral bending angle and neck lateral bending onset tim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METHODS: Ten male and four female adults with condition of forward head postur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Subjects conducted to left and right maximal neck rotation under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kinematic data of neck rotation, neck lateral bending movement,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of bilateral sternocleidomastold muscles were collected.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lateral bending angle, while 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was delayed significantly when applying visual biofeedback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left and right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neck rotation angl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biofeedback may be effective for axial rotation of cervical spine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KCI등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착용이 목 관절가동범위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융합연구

        오소현,정성대,심재훈,양노열,Oh, So-Hyun,Choung, Sung-Dae,Shim, Jae-Hoon,Yang, No-yul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 사용이 건강한 젊은 성인들의 목관절가동범위(CROM)와 목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MD 군(남자 16명, 여자 7명)은 HMD를 착용하고 30분 동안 정해진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대조군(남자 15명, 여자 8명)은 HMD군과 동일한 자세로 HMD 착용없이 30분 동안 앉아있게 하였다. 실험 전·후에 목관절가동범위,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두께와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HMD 군의 목관절가동범위와 양쪽 위등세모근과 어깨올림근의 압력통증역치는 사전 검사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양쪽 위등세모근의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반면에, 대조군은 목관절가동범위, 근육 두께 및 압력통증역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분석 결과, 장시간 HMD 사용은 목관절가동범위와 압력통증역치를 감소시키고 근육을 비대하게 하여 목과 어깨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시간 동안만 HMD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aring Head-Mounted Display (HMD) on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neck muscle thickness, and pain in healthy young adults. The HMD group(male=16, female=7) was asked to perform sitting comfortably in a backless chair with hands on their knees with the HMD was worn on their heads to watch the video for 30 minutes. The control group(male=15, female=8) was asked to sit in the same posture as the HMD group for 30 minutes. CROM, neck muscle thickness,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of both the upper trapezius and levator scapula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CROM and PPT of the upper trapezius and levator scapulae in the HM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muscles in the HM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in the pre-test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OM, muscle thickness, and PPT in the control group. Wearing HMD for a long time can cause a decrease in CROM and PPT and an increase in muscle thickness, and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neck and shoulder.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maintaining the correct posture of the neck and shoulder and using HMD only for an appropriate time.

      • KCI등재

        보조공학서비스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성태 ( Hong Seong Tae ),양노열 ( Yang No Yu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국내 보조공학서비스 종사자 187명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조공학 분야의 인적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개 근무환경과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묻는 문항이 포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월급여, 주당 근무일수, 1일 근무시간, 총 근무기간, 현직장 근무기간, 법정휴일준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월급여, 주당 근무일수, 1일 근무시간, 총 근무기간, 현직장 근무기간, 법정휴일준수 여부와 상관성을 보였다. 단일분석에서 통계적 유의한 변수를 대상으로 근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에는 1일 근무시간과 법정휴일준수 여부가, 이직의도에는 총 근무기간과 법정휴일준수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법정휴일준수 여부는 두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조공학 관련기관 또는 사업체에서는 법정휴일에 관한 관련 규정 및 근로기준법에 합당한 근무시간을 준수하고, 인력충원을 통해 노동강도를 조절하여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켜 효과적인 인력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assistive technology workers’ working environ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187 subjec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 working environments by asking a total of 33 questions especially in four areas. As a result of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10 working environment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monthly payment, weekly working days, daily working hours, total working period, working period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compliance of legal holidays. Whe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r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all significant with monthly payment, weekly working days, daily working hours, total working period, working period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compliance of legal holidays. The result of the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s which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daily working hours and compliance of legal holidays, and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otal working period and compliance of legal holidays. Accordingly, through following working hours and legal holidays, the institutions or businesses of assistive technology could lead to effective manpower control.

      • KCI등재

        비체중지지자세에서의 수동적 발목 발등굽힘과 동적균형검사 수행력의 상관관계

        박준상 ( Jun Sang Park ),양노열 ( No Yul Yang ),권오윤 ( Oh Yun Kw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5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DF PROM) under a non-weight bearing condition and the normalized reach distance in three directions of the Y-Balance Test (YBT). Sixty-one healthy adults (32 males and 29 females, age: 23.0±3.0 years, height: 169.3±8.9 ㎝, weight: 61.9±5.4 ㎏)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nkle DF PROM was measured using a goniometer. To assess dynamic balance, all subjects performed three trials to determine the maximum lower extremity reach in the anterior,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directions of the YB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kle DF PROM and both the normalized reach distance in each direction and the composite score of the YBT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Only the normalized reach distance in the anterior direction of the YB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kle DF PROM measured under a non-weight bearing condition (r=.50, p<.001). Neither the normalized reach distances in the posterior directions nor the composite score of the YB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nkle DF PROM measured under a non-weight bearing cond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kle DF PROM does not affect the overall dynamic balance of the lower extremity, with only the anterior dynamic balance affected among the three directions.

      • KCI등재

        일 지역 농업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정신사회 및 신체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민예,양노열,유인규,고상백,이경숙,김경란,김효철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4

        목적 농업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하여 심리상태와 신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농작업과 관련된 향후 치료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이 없는 농작업 종사자 28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하여 4주 이상 규칙적으로 참여한 대상자의 정신사회적 수준(자아존중감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신체적 수준(장악력 민첩성 동 정적 균형능력 근지구력) 요통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근력강화운동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은 운동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악력 민첩성 동 정적균형능력은 운동 후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요통 수준 또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농업인에게 근력강화운동의 적용은 심리적인 안정을 주고 신체능력을 향상시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적합한 치료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요통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었다. Objectives To evaluate both the psychosocial and physical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farmers and in so doing evaluate their effect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armers. Methods 28 subjects participated in ou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Mean age of subjects was 63±13 years.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during the 8 week studys period Before and after training various measurements were made self esteem scale (SES), psychosocial well being index short form (PWI SF),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rip strength arm curl, time up and go (TUG), functional reach,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Results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increased the self esteem grip strength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subjects, while psychosocial stress and low back pain leve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Conclusions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improved psychosocial and physical status of test subjects. Thus exercise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the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of farmers.

      • KCI등재후보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서비스 희망에 대한 심층면접

        정민예,김정란,양노열,유인규,박혜연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1

        목적 : 구직장애인, 장애인공무원과 지원을 많이 받아보지 않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서비스 희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보조공학서비스 서비스 방향을 제안하고자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심층면접의 대상자는 장애인공무원, 구직장애인, 사업주로 분류하여 반구조화된 가이드라인 설문을 구성하였다. 면접 대상은 설문조사를 위한 모집단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면담 조사에 협조를 약속한 대상자 사업주 7명, 구직장애인 7명, 장애인공무원 5명을 대상으로 총 19명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결과 :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절차를 통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경험, 보조공학기기 신청경험 또는 개인적 구입경험, 장애유형에 관련된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경험여부 및 인식조사,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정도 및 이용경험과 보조공학서비스 방향과 추가로 제공을 희망하는 서비스 내용 5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 보조공학서비스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보조공학서비스를 할 때 구입이나 사후 관리도 보다 사용자 중심에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demand and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ot receiv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ethods : In-depth interview subjects were government officials with disable, disabled job seekers, and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We made up the semi-structure guidelines question with group into three classes. We asked for an interview with subjects that choose samples at random. Results : These results show five themes related to use and application experience in assistive technology, the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the demand to make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onclusion : In conclusion, we suggests that they want to be includ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arget and replied use of those assistive devices will help them to get a job o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capacity.

      • KCI등재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정민예,김정란,양노열,박혜연,유인규,염희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2

        본 연구는 점차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대상 확대의 근거를 마련하여 장애인고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추가되어야할 보조공학기기의 품목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 서비스대상은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 혹은 장애인에게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실시기관의 장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대상이 아닌 구직장애인과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169명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용실태 및 수요현황, 앞으로 추가되어야할 보조공학기기 품목을 조사하였다. 현재 지급되는 보조공학기기 품목 중 설문대상자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기는 사무보조 품목 129건, 정보접근 품목 140건, 작업기구 품목 159건, 의사소통 품목 120건으로 많았으나 실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는 사무보조 품목 19건, 정보접근 품목 18건, 작업기구 품목 9건, 의사소통 품목 16건으로 그 사용 현황은 매우 저조하였다. 향후 보조공학센터의 이용의사로 대상자 169명중 147명(86.9%)이 보조공학서비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추가적으로 지원을 요구하는 보조공학기기 품목은 시각장애영역 10개 품목(음성혈압계, 시기능훈련보조기, 점자노트북 등), 청각장애영역 12개 품목(보청기, 확성기, 인공와우 등), 의사소통장애영역 4개 품목(문자음성변환기기, 문자음성변환 컴퓨터 S/W, 발음교정장치 등), 손사용장애영역 7개 품목(다양한 고정기구, 보조기 및 의수, 물건이동기구 등), 이동장애영역 9개 품목(특수자동차 및 운전보조장치, 보조기 및 지팡이, 전동스쿠터 등), 일상생활영역 10개 품목(목욕보조기구, 옷입기보조도구, 체위변형멀티리프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basis for progressive expand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arget as well as to investigate items need to be added. For this, we researched awareness, actual use and demand of Assistive Devic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items need to be added of government employee with disable and disabled job seeker. The result of demand of Assistive Device of 169 government employees with disable and disabled job seekers were 129 items of office assist, 140 items of information access, 159 items of work device and 120 items of communication device, but actual use were 19 items of office assist, 18 items of information access, 9 items of work device and 16 items of communication device, so actual using rate revealed very low. 147 of 169 subjects(86.9%) replied they want to ge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hereafter. Additional demand researched 10items of visual(phonetic hemadynamometer, visual training device, brailled laptop, etc..), 12items of hearing(hearing aid, loud hailer, cochlear implant, etc..), 4 items of communication(letter-sound translater, letter-sound translating software for computer, pronounciation correction device, etc..), 7items of hand device(various fixing device, orthosis and prosthesis, transfer device, etc..), 9items of locomotion(special automobile and driving aid, cane, electric scooter, etc..), 10items of ADL(shower aid, dressing aid, multi lift, etc..). They also want to be includ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arget and replied use of those assistive devices will help them to get a job o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