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동(貞洞) 근대관청건물의 복원가치와 방향

        안현정(Ahn, Hyunj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2

        정동(貞洞)은 조선초기부터 한양의 중심부에 위치했지만, 그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덕수궁의 공원화와 정동일대 관청건립에 따른 일본인들의 입주가 시작된 1930년대부터였다. 관청(官廳)이란 국가의 사무를 집행하는 국가기관의 건축물로, 국내의 관청건축은 근대화와 더불어 시작되었다. 근대관청건물은 일본의 식민통치를 위해 세워진 조선총독부청사를 비롯한 각 지역의 도ㆍ부청사, 경찰서 및 법원건물을 말한다. 이 글은 근대문화재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는 정동지역의 근대건축물 가운데 새롭게 전용된 경성부청(서울시청)과 경성재판소(서울시립미술관)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봄으로써 “근대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있어 좇아야 할 올바른 가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근대관청건물은 권력과 위엄을 강조하기 위한 폐쇄성과 사무공간으로의 유용성을 위한 개방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절충적 디자인’을 채택했고, 외부와 내부공간의 상이성은 복원이후 오늘날까지 부여 되고 있는 특성이다. 일제의 양식주의와 왜곡된 시대조형 속에서 근대관청건물은 보존과 활용에 있어 원형복원과 가치창조라는 상반된 도전에 직면해 있다. Jung-dong(貞洞)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Han Yang(Capital) from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but the prominent figure on its importance was begun from 1930s when Duk-Su Palace became a park and Japanese living-in was started according to establishments of government offices. Government offices mean buildings of nation organizations where national affairs are executed, and domestic government architectures were begun along with modernization. The moder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indicate provincial offices, police station, and court of each region including Government-General of Joseon(Korea) that was built for Japanese colonial rules. This study tried to propose one standard on “What is the correct restoration value on modern architectures?” by observing yesterday and today of Kyungsung Municipal Government Building(Seoul City Hall), and Kyungsung Court(Seoul Museum of Art). Moder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dopted ‘eclectic designs’ that showed exclusivity for stressing power and dignity together with openness for considering usefulness as office spaces, and differences between inner and outside spaces belong to endowed characteristics after restoration was made. In the distorted formative era and precisionism of Japanese imperialism, moder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re facing contrary challenges like original restoration and value creation i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 KCI등재후보

        박물관 기획전시에서의 공간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21세기 박물관이 변화하고 있다. 세계 유수의 박물관들은 유물수집과 단순감상이라는 협의의 개념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이른바 교육과 흥미가 강조된 기획전시를 통해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미술관·박물관의 이원화라는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열린 박물관으로서의 다양한 전시기획에 스스로 경계를 지어온 것이 사실이다. 수집·보존·연구·소통(교육)·전시라는 박물관의 다양한 기능은 상호 유리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획전시를 통해 새롭고 직접적인 이슈로 거듭나야 한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가시화시키는 것이 사람-공간-전시물을 통한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이다. 박물관의 설립초기부터 철저한 계획에 의해 설계된 상설전시와 달리,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은 각각의 주제와 기획목적에 따라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획전시의 활성화는 정체된 박물관 문화를 테마 중심의 박물관, 대중들의 열린 휴식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최근 실험적인 기획전시를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박물관을 선정하여 이들 기관의 전시 공간디자인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상설전시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박물관에서의 기획전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공간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전시공간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전시내용을 알리기 위해 마련된 전시패널?캡션?포스터?도록?영상매체(전시보조장치)등의 활용을 넘어 현대화된 다양한 디지털매체가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museum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reformed. World’s renowned museums, breaking from the narrow concept represented by relics collection and a simple appreciation, have been turning over the place for edutainment through the temporary exhibition focusing on education and entertainment mingling with the people. Domestic museums, however, have drawn a sharp dividing line themselves in planning a variety of exhibitions as open museum which results from a dual concept as the art gallery and museum which might be derived from the Japanese ruling era. A various functions of the museum including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xhibition shall be rebuilt to the new and direct issues rather than separated each other. "Space Design" of temporary exhibition is what intended to effectively visualize them by means of people-space-exhibit. In contrast with the permanent exhibition which is designed based on thorough plan from the early establishment stage of the museum, a space deign of the temporary exhibition ha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the diverse needs of the museumgoers depending on theme and intent. Booming temporary exhibi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momentum to reform the depressed museum culture today to the people-centered open space for the people. This study, based on such assumption, is intended to view the exhibition design and the use of media at the museums which have been currently leading the experimental exhibition, thereby seeking the way of activating the temporary exhibition for the domestic museums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permanent exhibition. Consequently, in space design, a design plan focusing on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spectators needs to be developed as well as the various up-to-date digital media, beyond exhibition panel, caption, poster and video material, shall also be introduc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