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 대국회의원선거의 민주노동당투표자에 대한 분석

        안순철(Soon Cheol An),가상준(Sangjoon Ka)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2

        본 연구는 원내 첫 진출에 성공한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에 투표한 유권자의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민주노동당에 투표한 유권자의 투표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이들 유권자의 투표 성향이 앞으로 어떠한 정치적 결과로 이어질 것인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지 정도는 민주노동당에 대한 정치적 선호도와 유권자의 진보 성향 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에 대한 거부감의 상이성이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지의 차이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노동단체 가입여부가 민주노동당 지지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이 경험적으로 나타났다. 민주노동당이 18대 총선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민주노동당에 대한 강한 정당일체감을 느끼도록 유권자를 유인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민주노동당은 당의 정체성과 연계된 이념적 진보세력을 위한 정책개발에 역점을 두는 동시에 여성 유권자들로부터의 지지를 도출하기 위한 정책적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유권자의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지가 약하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원내 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politic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orate who supports for the Democratic Labor Party which made inroad into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first time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Likewise the study examines to see whether the Democratic Labor Party will keep political support continuously as it did in the 17th Election.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electorate who supports for the Democratic Labor Party has strong party-identification with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d is strongly liberal compared with the other electorate. Additionally,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m are in disfavor with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Uri Party. Also, the study finds that as the voters are a member of a labor union, the likelihood that they support the Democratic Labor Party increases.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the Democratic Labor Party to have a successful result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the party should attract political support from the female electorate and the poor electorate.

      • KCI우수등재

        한국 유전자의 전략적 투표 행태

        안순철(An Soon-Cheol)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30 No.2

        사회심리학적 외연 요소들(exogenous factors)과 투표 행태와의 관계를 강조하는 사회심리학적 이론의 결정론적 성격과는 대조적으로, 합리적 선택이론, 특히 공간이론(spatial theory)은 유권자와 후보자의 내연적(endogenous) 관계를 설명하고 투표 행태를 예측하는데 효율성을 발휘해 왔다. 합리적 선택이론 역시 투표자 인지력의 한계와 정보 환경의 문제점을 인정하지만, 유권자들이 이데올로기라는 관념적 장치를 통해 비교적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활용하고 정치인에 대해 지속적인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합리적 선택이론의 범주에서 투표 행태의 내연적 요소를 중심으로, 1992년 대선과 1995년 6. 27 서울시장 선거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전략적 투표(strategic voting) 행태를 경험적으로 분석ㆍ검증한다. 먼저 공간분석을 통해 한국정치의 정책쟁점적ㆍ이데올로기적 함축성을 내포하는 다차원적 예측공간에서 후보자와 투표자의 관계를 분석하고, 투표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각 투표자의 후보 선호도 순위 (ordinal preference ranking)를 예측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선거 환경에서 후보자의 당선 가능성을 평가하여 1차 선호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낮을 경우 2차 또는 3차 후보에게 최종 투표하는 전략적 투표자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물론 이러한 전략적 투표 행태를 보이는 유권자의 비율은 해당 선거의 정치적 성격이나 선거전을 구성하는 후보간 경쟁(또는 게임) 자체의 성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하지만 선거 전 종반에 당선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뚜렷해 질수록 당선 가능성을 고려하는 전략적 투표 행태가 현저하게 된다는 사실의 경험적 검증은 기존의 집합자료 연구들이 밝히고 있는 한국 정치의 양극화(polarizing) 현상 또는 양극 구조와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지지율을 통해 본 미국정치의 양극화

        안순철 ( Soon Cheol An ),가상준 ( Sang Joon Ka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본 논문은 미국정치의 특정인 양극화 현상이 의회에서 뿐만 아니라 유권자 사이에서도 발생되는 현상인지 알아보기 위해 조지 W. 부시의 지지율을 정당일체감, 정치적 선호도, 그리고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무엇보다 눈에 띠게 발견되는 현상은 부시대통령에 대한 평가에 있어 공화당 지지자와 민주당 지지자간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이 클린턴정부 하에서도 발생하였는지 비교해 살펴본 결과 클린턴대통령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민주당 지지자와 공화당 지지자간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다. 정당일체감 외에 정치적 선호도와 인종으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도 부시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정치가 갈등과 양극화라는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양극화 현상의 수준을 감안한다면 양극화는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을 가능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lectorate has been polarized in terms of evaluating President George W. Bush`s job performanc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electorate with Democratic party identification is different from Republican support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is larger than expectatio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s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on the evaluation of President Clint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Republican supports and Democratic supports in evaluating President Clinton was not that significant in relative terms. Likewise, it found that political preference and race played a major role in evaluating president Bush. These findings show that U.S politics has been experiencing a change in conflict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electoral polarization. It is hard to know when this type of political polarization will be eased, but it is expected that the polarization will last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의 갈등구조와 전망

        안순철(SOON CHEOL AN),조성대(Cho Sung Dai) 21세기정치학회 200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5 No.1

        The democratic-authoritarian conflict structure which constituted the most dominant dimension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has been displaced by a non-policy conflict structure, i.e., regionalism, since the 1987 Korean democratization. Meanwhil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ver some policy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 and the administrative capital newly emerged during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is article examines by utilizing an empirical spatial model whether such policy-related conflictual phenomena can be developed into conflict displacement, often found in the process of democratic consolidation. The analysis informs us that the regional conflict structure still remains as the most dominant dimension and, in result, conflict displacement in Korean politics has been delayed. It also finds out that the generational conflict, under this condition, appears to form a subordinate dimension which interacts with and parallels to the regional conflict structure in terms of spatial theory.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한국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안순철(Soon Cheol An)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본 논문은 공간모델을 활용해 16대 총선의 내생적 예측공간을 통계적으로 산출하고, 정치인과 정당, 유권자들 간의 관계, 이데올로기와 이슈의 연계, 정치적 갈등구조 등 예측공간에 함축된 경험적 정보를 조사한다. 아울러 16대 총선의 예측공간과 1997년 대통령 선거의 예측공간을 비교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이 나타내는 지속적 특성과 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16대 총선의 예측공간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여야의 첨예한 경쟁 양상과 정치갈등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한국의 정치공간이 제l차원(수평차원)이 확장되고 제2차원(수직차원)이 압축된 불균형 공간임을 확인한다. 제1차원은 민주-한나라당의 대립구도와 선거지역주의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지배적 차원으로서 한국정치의 전통적인 정치적 갈등구조의 연장선에서 이해된다. 본 논문의 경험적 증거들은 민주화 이슈를 중심으로 전개된 민주화 이전의 정치적 진보-보수 갈등구조가 1987년 민주화 이후는 물론 1997년 여야의 정권교체가 이루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즉 민주화 이슈 대신 대권을 누가 차지하느냐는 문제로 대결의 목표가 바뀌었을 뿐,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수반되는 이데올로기적 차원의 대체나 정치공간의 구조적 개편의 증거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구체적인 경제ㆍ사회적 정책 이슈를 중심으로 대결하는 정당정치가 발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유권자들의 정치적 사고를 지배하고 행태를 조건 지우는 정치적 갈등구조가 여전히 인물과 지역중심의 비정책적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책적 정치갈등구조는 정치인들의 지역주의적 이합집산 행태와 이에 따른 선거지역주의에 의해 강화되었으며,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유권자들은 비정책적 사고와 선택을 강요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정치적 대표체제의 기능적 문제점, 대안부재의 현실, 민주화의 정체 등을 비판하고 우려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정권교체, 경제위기, 시민사회의 성장 등 정치공간의 환경적 변화에 상응하는 변화가 기대되는 시점이다. 비록 2차적 형태의 정치갈등구조로 정형화된 것은 아니지만, 본 논문의 공간분석 결과에서 예측공간의 제2차원이 기득권을 가진 정치권과 정치적 대안세력의 갈등에 연계되어 있다는 점은 부분적이나마 정책적ㆍ생산적 유형의 갈등구조가 새롭게 형성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Utilizing an empirical spatial model, this study identifies the predictive ideological space of the 16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examines the empirical information, implicated in the ideological space, such as the linkage between ideology and issues, the structure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among political parties, leading political figures, and voters. It is designed, especially, to examine the continuing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ical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its structural change by comparing the space with that of the 1997 presidential election. It finds that the first ideological dimension remains dominant and represents the political dimension in which the ruling party-oriented and the opposition party-oriented political actors occupy the left and the right side of the continuum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beral-conservative economic dimension remains secondary since it has not yet been well conceptualized in the Korean voters' ideological thinking because of the omnipotent significance of the political dimension. It also notes that the first dimension is reinforced by its interaction with non-policy issues such as personality and electoral regionalism to a large extent.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입법에 의해 종결된 공공분쟁의 특징: 국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가상준 ( Sang Joon Ka ),안순철 ( Soon Cheol A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0 의정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8년 사이 한국에서 발생한 공공분쟁 중 국회의 입법에 의해 종료된 공공분쟁의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분쟁 종결에 있어 국회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입법에 의해 종결된 분쟁의 특징을 분석하고, 다른 분쟁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비교해 보았다. 국회는 일반적으로 입법과 갈등해소 역할을 담당하는 데 이러한 역할에 얼마나 충실한지 입법에 의해 종료된 공공분쟁을 통해 알아보았다. 입법에 의해 종료된 60개의 분쟁을 분석하면서 나타난 중요한 특징은 입법에 의해 종료된 분쟁은 전국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친 분쟁이라는 점이며 또한 분쟁의 강도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무엇보다 입법을 통해 분쟁이 종료되었지만 입법에 있어 국회의 역할은 매우 미비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입법에 의한 분쟁 종료이기에 국회의 역할이 클 것이라 기대해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분쟁들은 높은 중요성과 함께 복잡성 띠고 있는 정책 혹은 낮은 중요성을 띠고 있는 정책과 관련이 있어 국회는 소극적 역할은 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국회의 미비한 역할은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로 공공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분쟁이 발생한 후 커다란 갈등 없이 원활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실정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isputes resolved by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ut of public disputes taken place between 1990 and 2008 in Korea. In particular, it is interesting to see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in legislation for the purpose of settling public disputes. In general, it is believed that major roles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lawmaking and resolving conflicts. It is of interest to see whether the National Assembly fully meets these expectation by investigating the public disputes resolv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study finds that 60 public disputes resolved by the legislation have important features. Firs of all, it finds that most of them attract national at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uncovers that the intensity of the public disputes resolved by legislation are significantly strong compared with other disputes. Above all, it discovers that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in legislation is very insufficient. It is expected that the National Assembly play some role; however, lawmakers take a negative attitude because the public disputes resolved by legislation are related with policies with high complexity and high salience or policies with low salience. In order to prevent public dispute in advance and to resolve public dispute amicably,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play a more active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