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I)

        이용준,안소라,강부식,김성준,Lee, Yong Jun,An, So Ra,Kang, Boosik,Kim, Seong Jo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6B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I)연구에서 기구축된 현재의 유역 수문환경 조건을 활용하여 미래수문환경에 따른 유역 수문-수질 변화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의 수문자료 중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Downscaling된 GCM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 토지이용 시나리오는 미래 토지이용 예측 기법인 개선된 CA-Markov 기법으로 분석하여 구축하였다. 그 결과 미래의 토지이용 시나리오에 따라 주거지와 나지 등의 도시지역의 꾸준한 증가와 산림과 농경지 등의 감소가 예측되었고 미래의 기후변화 경우 강우의 변동성이 커 현재보다 더욱 더 기후변화의 대응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토지이용 시나리오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결합한 미래의 수문환경을 30-40년 주기로 나누어 장기적인 미래의 특정기간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수문 변화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우에 의해 양상이 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영양물질의 부하량 또한 Sediment는 120%, T-N은 16%, T-P는 10%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문환경의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유출 영향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향후 수자원 분배와 물자원 관리와 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of the study watershed using the established model parameters (I). The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CGCM2 (Canadian Global Coupled Model) based on IPCC SRES (Special Report Emission Scenarios) A2 and B2 scenarios were adopted for future climate condition, and the data were downscaled by Stochastic Spatio-Temporal Random Cascade Model technique. The future land use condition was predicted by using modified CA-Markov (Cellular Automata-Markov chain) technique with the past time series of Landsat satellite images. The model was applied for the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cases of around 2030, 2060 and 2090. The predicted results showed that the runoff ratio increased 8% based on the 2005 precipitation (1160.1 mm) and runoff ratio (65%). Accordingly the Sediment, T-N and T-P also increased 120%, 16% and 10% respectively for the case of 50% precipitation increas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in providing the methodological procedures for the evaluation of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on watershed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This model result are expected to plan in advance for healthy and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 대학생들의 음주폐해에 대한 인식도

        이진주(Jin-Ju Lee),안소라(So-Ra An),박현아(Hyeon-Ah Park),문서혜(Seo-Hye Moon),홍인표(In-Pyo Hong),김수빈(Su-Bin Kim),김소희(So-Hee Kim),권예린(Ye-Rin Kwon),김은엽(Eun-Yeob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음주실태와 음주폐해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1개 지역 대학교를 대상으 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남성 14명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로 인한 사회적 피해 정도는 39명 54.2%가 “그런 편이다”, 15명 20.8%가 “매우 그렇다”라고 높은 응답을 보였다. 최근에 TV, 라디오 등 언론매체나 현수막 등 홍보물을 통해 절주캠페인을 듣거나 본 적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24명 33.3%가 “예”, 48명 66.7%가 “아니오”라고 응답하여 다수가 들어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마시는 주된 이유/상황은 “친구/선·후배와 친목도모를 하기 위해서”라고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 다. 하루에 몇 잔(소주 기준) 정도 음주하는 것이 적정음주량이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3~4잔이 21명 29.2%, 5~6잔이 15명 20.8%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지난 한달동안 경험한 음주행위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30명 41.7%가 “술을 마시기 싫었으나 분위기를 해칠것 같아 술을 마신적이 있다”, 14명 19.4%가 “원샷, 술잔 돌리기, 잔 주고받기, 내림술 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라고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술을 마실 때 보통 몇차까지 가는지 조사한 결과 44명 61.1%가 2차까지 간다고 하였 으며, 20명 27.8%가 1차까지 간다고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한달 용돈에서 음주관련 비용이 차지하 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 36명 50.0%가 10% 미만, 20명 27.8%가 10~20% 미만, 10명 13.9%가 30~40% 미만이라고 높은 응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문화에서 음주의 비중은 적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를 건전하고 올바른 문화가 되도록 교육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 된다. 이를 위하여 이 조사 결과는 대학 내 건전음주문화와 정책방안이 마련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 니다.

      •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2)

        이용준(Lee Yong Jun),안소라(An So Ra),강부식(Kang Boosik),김성준(Kim Seong Jo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6B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Ⅰ)연구에서 기구축된 현재의 유역 수문환경조건을 활용하여 미래수문환경에 따른 유역 수문-수질 변화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의 수문자료 중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Downscaling된 GCM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 토지이용 시나리오는 미래 토지이용 예측 기법인 개선된 CA-Markov 기법으로 분석하여 구축하였다. 그 결과 미래의 토지이용 시나리오에 따라 주거지와 나지 등의 도시지역의 꾸준한 증가와 산림과 농경지 등의 감소가 예측되었고 미래의 기후변화 경우 강우의 변동성이 커 현재보다 더욱 더 기후변화의 대응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토지이용 시나리오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결합한 미래의 수문환경을 30-40년 주기로 나누어 장기적인 미래의 특정기간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수문 변화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우에 의해 양상이 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영양물질의 부하량 또한 Sediment는 120%, T-N은 16%, T-P는 10%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문환경의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유출 · 영향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향후 수자원 분배와 물자원관리와 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of the study watershed using the established model parameters (Ⅰ). The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CGCM2 (Canadian Global Coupled Model) based on IPCC SRES (Special Report Emission Scenarios) A2 and B2 scenarios were adopted for future climate condition, and the data were downscaled by Stochastic Spatio-Temporal Random Cascade Model technique. The future land use condition was predicted by using modified CA-Markov (Cellular Automata-Markov chain) technique with the past time series of Landsat satellite images. The model was applied for the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cases of around 2030, 2060 and 2090. The predicted results showed that the runoff ratio increased 8% based on the 2005 precipitation (1160.1 ㎜) and runoff ratio (65%). Accordingly the Sediment, T-N and T-P also increased 120%, 16% and 10% respectively for the case of 50% precipitation increas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in providing the methodological procedures for the evaluation of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on watershed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This model result are expected to plan in advance for healthy and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일 대학병원종사자의 생애말기 치료 선호도

        강지연(Kang, Jiyeon),윤선영(Yun, Seonyoung),김수정(Kim, Soo Jeong),안소라(An, So Ra),이명희(Lee, Myeong Hee),김신미(Kim, Shinmi)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3 근관절건강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nd-of-life care preferences of employe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Of 650 eligible employees that were approached, 607 employees (386 nurses, 93 physicians, and 128 general staff)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PCEOL-K). Results: Among 5 dimensions of the PECOL-K, “Pain” was the most preferred care dimension and “Decision making by health care professional” was the least preferred care dimension. The item that received the highest mean score was “I want to let nature guide my dying and I do not want my life to be artificially prolonged in any way”, and the lowest item was “I want health care providers to make all decisions about my care“. As preferred care near the end of life, nurses gave lower scores to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decision making by health care profession than physicians and general staff. Compared to physicians and nurses, general staff preferred the decision making by health care professional and by family.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adequate pain relief is the most preferred care at the end of life among hospital employees and non-medical personnel preferred decision making by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