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융복합교육을 위한 영어교사 전문성 및 교육여건: 초,중등 영어교사들의 초점집단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안성호 ( Sung Ho G. Ah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2

        본 논문은 ‘통합적’ 영어 수업을 실시하거나 운영한 경험이 있는 4명의 초ㆍ중등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실시한 초점집단인터뷰 결과를, ‘융복합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과 교육여건에 대한 그들의 개념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것이다. 그 인터뷰들은 녹음ㆍ전사 후 분석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상적인 융복합교육 영어교사는 교과 전문성과 아울러 ‘교과통합 역량’, ‘대인관계 기량’, ‘학습ㆍ혁신 기량’, 그리고 공정성과 합리성을 지녀야 한다; 둘째, 영어교과 자체는 융복합교 육에 매우 적합하지만, 한국의 영어교사와 학생들은 아직 영어를 교수 매개어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참여 교사들은,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평가 제도와 대학입학 선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하며, 창의적 체험 활동 등 기존 제도가 합목적적으로 운용되어야 하고, 학교/행정/연구 기관을 포괄한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의 업무가 합리적으로 경감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성적 성찰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은 미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거하여, 본 논문은 교대ㆍ사범 대학에서 그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sed responses from two consecutive focused group interviews of two primary and two secondary "integrative" English teachers focusing on their conceptualiza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n ideal yungbokhap education.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to obtain result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 ideal yungbokhap English teacher must have "curriculum-integration" competency in addition to his/her subject expertise, strong inter-personal skills, skills for learning and innovation, and an attitude of equity and rationality; second, although English itself is quite feasibl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participants believe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re not yet prepared to use English as medium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respondents believe the secondary education evaluation system and college admiss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and current class hours for creative experiences must be used purposively. A systematic and collaborative approach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schools, educational managements, research groups to reasonably alleviate the burdens placed on teach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Korean English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meet the needs for 21st century English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창의성을 촉발하는 영어통사론 교육

        안성호(Sung-Ho G. Ahn) 한국생성문법학회 2013 생성문법연구 Vol.23 No.1

        How should English syntax be taught in college so that it can help students build up creativity? This paper suggests one way on the basis of an action research into the English Syntax course that the author taught in 2009 utilizing (i) challenging lectures, (ii) student reflective essay writing and (iii) classroom discussions of the data, hypotheses, and questions that students presented in their reflective essays. Analyzing the lecture notes, 74 student essays, and instructor response texts, among others, the author (i) presents examples of classes that could have fostered student creativity, (ii) presents cases illustrating the different extents of students creative thinking processes, (iii) shows how his feedback methods have improved and how he recognized student contributions, and (iv) lastly reflects on what he has learned about the course and students, and lastly suggests points to improve an English syntax course so that it may better foster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 KCI등재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박영석 ( Young Serk Park ),구하라 ( Ha Ra Ku ),문종은 ( Jong Eun Moon ),안성호 ( Sung Ho G Ahn ),유병규 ( Byung Gyu Yoo ),이경윤 ( Kyung Yoon Lee ),이삼형 ( Sam Hyung Lee ),이선경 ( Sun Kyung Lee ),주미경 ( Mi Kyung Ju ),차윤경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적 실행을 위한 제언을 탐색하기 위해 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지원한 STEAM 교사연구회가 개발한 교육 자료 가운데 고등학교 수준의 자료를 ‘융복합목표’, ‘융복합수준’, ‘융복합맥락’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교사연구회가 개발한 교육 자료들은 융복합목표, 융복합수준, 융복합맥락 차원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광범위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EAM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능동성, 그리고 다양성을 지원하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부분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제들이 융복합목표와 수준, 맥락 차원에 관련된 구성요소를 수업에 도입하는 데 정형화된 접근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융복합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능동성의 효과적인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융합인재교육의 발전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yungbokhap education in Korea and identify the remaining tasks for its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a wide range of relevant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had recently been developed by high school STEAM teachers with support from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analysis, we inquired what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were pursued, to what extent curriculum integration was achieved, and what kinds of context stood out in the instructional materials. The finding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alyze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aterials set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and provided a variety of tasks to bridge students` cognitive resources to learning. However, the materials showed a tendency to patternize instructional modules, constituting a potential barrier to students` engagement in more authentic learning geared toward helping them become creative and autonomous learner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yungbokhap models of educ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프로젝트 기반 융복합교육 학습 경험 이해

        문종은(Jong-Eun Moon),구하라(Ha-Ra Ku),김선진(Sun-Jin Kim),김시정(Si-Jeong Kim),박영석(Young-Serk Park),신혜원(Hye-Won Shin),안성호(Sung-Ho G. Ahn),유병규(Byung-Kyu Yu),이삼형(Sam-Hyung Lee),이선경(Sun-Kyung Lee),이은연(Eun-Yo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 아트 북 만들기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 기반 STEAM 교육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이로부터 학생들이 경험한 성취와 어려움을 융복합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융복합교육에서 성 취한 경험은 식물에 대한 이해, 테크놀로지(사진기, 컴퓨터 등) 활용 기능, 발표하고 글로 표현하는 상호작용적인 도구 활용 역량, 모둠에서 협력하며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이질적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역량, 탐구 주제와 활동, 아트 북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의 행동과 인성의 변화를 통한 자율적 실천 역량의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동시에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성취가 상황에 따라 어려움이 될 수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교육의 실행에 있어서 학생 의 기대와 역량에 대한 이해,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개발, 가정과 사회에서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14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project-based STEAM program and qualitatively interpreted students’ achievements and difficulties from the yungbokhap education perspective.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In addition to acquiring knowledge on medicinal plants and how to use technical devices and the Internet, first, the students were quite sure that their skills i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ir levels of endurance and responsi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experiencing happiness and senses of success.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ir projects, autonomy and collaboration could be experienced as the difficulties to the studen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expectations and competences, program development driven by students’ interests, and family and societal support are necessary for yungbokhap programs to be more successful.

      • KCI등재

        네 교사의 융복합교육 실행 경험의 이해

        유병규(Byung-Kyu Yu),구하라(Hara Ku),김선진(Sun-Jin Kim),김시정(Si-Jeong Kim),문종은(Jong-Eun Moon),박영석(Young-Serk Park),안성호(Sung-Ho G. Ahn),이선경(Sun-Kyung Lee),이은연(Eun-Youn Lee),주미경(Mi-Kyung Ju),차윤경(Yun-Kyung C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융복합교육 실천 과정에서 가졌던 경험은 무엇이며 그러한 실천 경험이 교사의 전문성 변화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교사들의 융복합교육 실천 과정에 대한 교사 면담 을 분석함으로써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융복합교육을 실천하는 경험을 통해 융복합교육에 대한 관점이 확장되고 타 교과의 지식 영역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융복합교육 경험은 교사에게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 있어서 교사 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 변화의 여건 마련을 위해 아래와 같은 제언을 남긴다. 첫째, 교사 전 문성 개발이 다양한 실행 공동체 속에서 융복합교육의 실행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실행 공동체를 가능케 하는 협력적인 학교 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기반 교사 교육은 분과적 교사교육에서 융복합 기반의 교사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며 융복합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적응적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재편성해야 한다. As an effort to understand teachers’ experiences of integrating an integrative and holistic (or yungbokhap) model of education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e present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illustrative cases of four middle school teachers.1) Our analysis of rich qualitative data gathered through a series of observations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ing a yungbokhap model of education provided them with a useful chance to broaden their pedagogical purview to find new connections between curricular topics and themes across different subject areas. Further, the teachers engag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s with other colleague teachers, which helped them critically reflect on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thereby contributing to building and sustaining a school-based inquiry community of teacher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regarding how to identify and provide the kinds of systemic support to effectively foster the development of both preand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in yungbokhap contexts of school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