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측자료와 RHESSys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생태수문 적용성 평가 -설마천유역을 대상으로-

        신형진,박민지,김성준,Shin, Hyung Jin,Park, Min Ji,Kim, Seong Joo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모형과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수분량, 총일차생산량과 순광합성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문생태모형인 RHESSys는물, 탄소 및 질소순환과 지형 공간적 변화에 따른 물질이동을 모의할 수 있다. 대상유역은 설마천 유역(8.5 $km^2$)으로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유역의 90%이상이 산림유역이고, 토양은 대부분 사양토이다. 2007~2009년의 관측 일유출량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검 보정하였고, 증발산량은 에디 공분산 방법에 의한 플럭스 타워로부터 관측되었으며 토양수분은 신뢰할 만한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2008) 및 검증(2009)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구의 탄소순환을 규명할 수 있는 식생의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에 대한 모형의 검 보정은 Terra 위성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를 이용한 산출물인 순광합성량과 총일차생산량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2007) 및 검증(2008)을 실시하였다. 모의 결과 보정기간 동안의 상관계수와 Nash-Sutcliffe 모형 효율은 유출량은 0.74와 0.63이었고, 증발산량과 총일차생산량의 상관계수는 각각 0.54와 0.93이었다. 모형 검정결과 유출량의 상관계수와 Nash-Sutcliffe 모형효율 각각 0.92와 0.84였으며, 총일차 생산량의 상관계수는 0.93이었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al Simulation System) simulated streamflow (Q), evapotranspiration (ET), soil moisture (SM),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photosynthetic productivity (PSNnet) with the measured data. The RHESSys is a hydro-ecological model designed to simulate integrated water, carbon, and nutrient cycling and transport over spatially variable terrain. A 8.5 $km^2$ Seolma-cheon catchment located in the northwest of South Korea was adopted. The catchment covers 90.0% forest and the dominant soil is sandy loam. The model was calibrated with 2 years (2007-2008) daily Q at the watershed outlet an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PP, PSNnet and 3 year (2007~2009) daily ET data measured at flux tower using the eddy-covariance techniqu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for Q were 0.74 and 0.63, and the average $R^2$ for ET and GPP were 0.54 and 0.93 respectively. The model was validated with 1 year (2009) Q and GPP. The $R^2$ and the ME for Q were 0.92 and 0.84, the $R^2$ for GPP were 0.93.

      • KCI등재

        MODIS NDVI와 Morton 증발산량의 관계를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기법 연구 -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

        신형진,하림,박민지,김성준,Shin, Hyung-Jin,Ha, Rim,Park, Min-Ji,Kim, Seong-Joon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onthly Morton evapotranspiration (ET)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from MODIS satellite images. Morton ET for land surface conditions was evaluated by using daily meteorological data, and the monthly averaged Morton ETs for each land cover were compared with the monthly NDVIs of three years (2000-2002) at Chungjudam Watershe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nthly NDVI and Morton ET for the watershed with averag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0.80. By comparing the MODIS NDVI ET with SLURP Morton ET, the SLURP ET was smaller than the MODIS NDVI ET. This was estima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soil moisture condition for the ET occurrence in the SLURP model, the limited information from the monthly NDVI values, and the errors from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s.

      • AnnAGNPS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문$\cdot$$수질 모의

        신형진,권형중,김성준,Shin Hyung Jin,Kwon Hyung Joong,Kim Seong Jo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1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streamflow and water quality for Gyeongan watershed (561.1 $km^2$) using AnnAGNPS (Bingner et al., 2000).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for three years (2000, 2002, 2003) stream discharge and w

      • KCI등재

        LARS-WG 상세화 기법을 적용한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및 분석 - 우리나라 8개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

        신형진,박민지,조형경,박근애,김성준,Shin, Hyung-Jin,Park, Min-Ji,Joh, Hyung-Kyung,Park, Geun-Ae,Kim, Seong-Joon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2 No.4

        Generally, the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data by IPCC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used for future weather prediction. IPCC GCM models predict well for the continental scale, but is not good for the regional scale. This paper tried to generate futur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8 scattered meteor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by using the MIROC3.2 hires GCM data and applying LARS-WG downscaling method. The MIROC3.2 A1B scenario data were adopted because it has the similar pattern comparing with the observed data (1977-2006) among the scenario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futur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The 2080s annual temperature increased $3.8{\sim}5.0^{\circ}C$. Especially the futur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4.5{\sim}7.8^{\circ}C$ in winter period (December-February). The future annual precipitation of 2020s, 2050s, and 2080s increased 17.5 %, 27.5 %, and 39.0 % respectively. From the trend analysis for the future projected results, the above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winter precipitation and south region for summer rainfall.

      • KCI등재

        단보 :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신형진 ( Hyung Jin Shin ),박근애 ( Geun Ae Park ),김성준 ( Seong Joon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3 No.2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 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 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하였다. The few observed data related snowmelt was the major cause of difficulty in extracting snowmelt factors such as snow cover area, snow depth and depletion curve.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very effective to observe a wide area.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used remote sensing for snow observation, there were a few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Snow cover maps were derived from NOAA AVHRR images for the winter seasons from 1997 to 2006. Distributed snow depth was mapped by overlapping between snow cover maps and interpolated snowfall maps from 69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Model parameters (Snow Cover Area: SCA, snow depth, Snow cover Depletion Curve: SDC) building for 5 major watersheds in South Korea. Especially SDC is important parameter of snowmelt model.

      • 철도사고 위험도 산정 시스템 적용 효과에 대한 고찰

        신형진(Shin Hyoung Jin),한상복 (Han Sang Bok),윤경철(Yun Gyeong Cheol),허남규(Heo Nam Gyu),김찬수(Kim Chan Soo)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0

        Rialway passengers and public workers typically have high potential on death and injury accidents because they are to be frequently adjacent to train or train ope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passengers the public and the workers a systematic risk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hazards that contribute to the accid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web base system and the extension need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regulation of railway accident report and information in Korea" application for national or railway safety operator sharing railway safety information.

      • KCI등재

        차세대 재미한인의 통혼유형 분석

        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3

        본고는 1.5세대와 2세대 재미한인의 통혼유형을 계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차세대 재미한인들의 민족 정체성과 동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2000년 미국 센서스 자료를 통혼표에 기초한 대수선형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이민세대가 늘어날수록, 그리고 모국어의 사용범위가 줄어들수록 차세대 재미한인들이 다른 인종/민족과 결혼하는 경향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이민세대 및 영어구사능력과 같은 동화와 관련된 변인들이 다른 집단 구성원과의 친교 및 결혼과 같이 일차적인 단계에서의 사회적 통합을 의미하는 구조적 동화를 야기한다는 전통적인 동화론의 가설을 경험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교육수준별 통혼유형의 분석에서는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춘 재미한인들이 가장 높은 족내혼의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최고 교육수준의 재미한인들의 민족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동족내 다른 교육수준별 집단보다 강하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분절동화론이 주장하는 선택적 동화 내지는 수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재미한인들과 같이 교육수준이 높고 민족 정체성이 강한 이민자 집단은 정착사회로의 일방적인 동화를 필요조건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기에 사회경제적 차원에서의 동화 정도와 구조적 동화의 방향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한인 1.5세대 및 2세대의 통혼유형이 재미한인의 장기적 동화과정에서 함의하는 바도 결론에서 아울러 토론하고자 한다. Utilizing 2000 U.S. Census 5% PUMS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intermarriage patterns of 1.5 an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ir marital assimilation and ethnic identity. The result from log-linear models indicates that the endogamy propensity for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for their Chinese and Filipino American counterparts. Also,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ndogamy propensity for Korean Americans are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 Asian groups compared.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simultaneously in logistic regression equations that are exclusively focused on Korean American men and women, intermarriage propensities are strongest for English-monolinguals followed by bilinguals and mother tongue-speaking Korean American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a traditional assimilation hypothesis. In the analysis of marriage patterns by educational attainment, however, Korean Americans with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present the weakest tendency for intermarriage.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selective assimilation or accommodation where highly educated immigrant group members of strong ethnic identity are socioeconomically incorporated into the host society without the full-scaled structural assimilation. Several other important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하천공간정보의 벡터데이터 모델 검증 및 포털 구축에 관한 연구

        신형진 ( Hyung Jin Shin ),채효석 ( Hyo Sok Chae ),황의호 ( Eui Ho Hw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2

        RIMGIS 벡터자료를 대상으로 모형을 적용하여 표준 벡터데이터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하천 공간정보의 웹서비스를 위한 포탈기반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XML 및 JSON 데이터 제공 시스템 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GDM(Geospatial Data Model)에 RIMGIS의 벡터자료인 점, 선, 면 자료 에 대한 검증을 레이어 별 자료에 대해 비교하고 각 자료에 대한 기본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정밀 전수 비교하였다. 또한 GDM 변환 후 Shp 형식 파일의 동반 속성 정보가 모두 손실없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포탈에서 DB를 관리하는 GeoServer GDB(GeoDataBase) 관리 모듈을 개발하였다. 벡터 레이어에 대한 접근, 관리 및 공간자료를 인코딩하기 위한 OGC의 XML 기반의 GML (Geography Markup Language) 이용하였다. GML은 데이터의 내용과 표현이 분리되어 있어 동 일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데이터에 대한 수정과 갱신이 용이하고 확장 가능성이 우수하다. 향후 하천정보의 접속, 교환, 저장을 이용자의 주문형 서비스와 인터넷 기반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onverted to the Geospatial Data Model(GD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were validated by layers. After the convers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attribute data of a shape file remained without loss. The GeoServer GDB(GeoDataBase) that manages a DB in the portal was developed as a management module. The XML-based Geography Markup Language(GML) standards of OGC was used for accessing to and managingvector layers and encoding spatial data. The separation of data content and expression in the GML allowed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data, convenient data revision and update, and enhancing the expandabilit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 exchange, and storage of river-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user``s customized services and Internet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