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학업동기 프로파일

        신이나(Shin Yina),송영명(Song Young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업동기의 프로파일을 분류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차원적 특성을 지닌 학업동기 프로파일을 분류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개인중심적 접근의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이 활용되었다. 2016년 12월 ~ 2017년 2월에 걸쳐, 대구·경북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 총 474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기본심리욕구, 학업(수업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및 심리적 결과변인(우울불안, 주관적 안녕감, 자존감)을 조사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 프로파일은 자율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자율동기형(11.6%)’’, 모든 학업동기가 평균수준을 나타내는 ‘복합형(52.5%)’, 무동기만 평균이상을 나타내는 ‘무동기형(15.6%)’, 무동기와 통제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통제동기형(20.3%) 으로 구분되었다. 기본심리욕구,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율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의 경우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었으며, 학업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가장 적응적이었다. 또한 무동기형과 통제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들은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부적응적으로 나타나 동기의 위기상태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s academic motivation using latent profile modeling of high school students.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llected from 474 (208 females, 266 males) in 9th and 10th graders. By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es,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identified: high autonomous motivation(11.6%), combination motivation(52.5%), high amotivation classes(15.6%)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20.3%). To explore the features of classes, their relationship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mpared. Findings support SDT that high autonomous motivation class was adaptive to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The crisis academic motivation classes showed high amotivation classes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 clasess.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motivation classe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tailored education applications of findings with regard to academic motivation profiles.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

        신이나(Yina Shin),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학업적 부담이 가중되는 중학교 2학년에서 3학년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관점에서 동기를 구분한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reciprocal effect)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2차와3차의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에 참여한 총 5,692명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RCL)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는 오직 무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파악되었다. 무동기를 제외한 자기결정성 동기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는 모든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내적 동기, 확인된 조절과 같은 자율동기와 무동기 간의 종단적 상호효과는 부적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자기결정성 동기 간의 상호관계는 단일구조(simplex structure)를 대체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는 중2와 중3시기 동안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으며, 자기결정성 동기보다 학업성취도의 안정성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s academic motivations and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ARCL) modeling.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were collected from 5,692 (2,751 females, 2,941 males) 8th-graders in Korea in a 2-wave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based on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DT``s motivation controlling for baseline achievement were found only for amotivation, while there were no effects for the other types of motivation. Specifically students``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all types of SDT``s motivation while their revered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amotivation. In additi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SDT``s motivation were the larger than those of SDT``s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among the five types of SDT``s motivation over two periods were also tested. It revealed that autonomous motivations such as 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motivation. This is a kind of evidence which supported the longitudinal simplex structure(Ryan & Connell, 1989) of SDT``s motivation. Thirdly, both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highly stable across 8th and 9th grades.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수업참여 프로파일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유신복(Yu Shin-bok),신이나(Shin Yina)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수업참여를 개인 중심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특성과 학교 급의 이동에 따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전이 및 이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2012년), 고등학교 2학년(2014년) 학생들에게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9,563명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수업참여의 프로파일은 동일하게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즉, 모든 수업참여 경향이 가장 낮고, 특히 인지적 참여가 매우 낮은 프로파일인‘인지적결핍형(중3, 고2: 2.8%, 2.7%)’, 수업참여의 모든 하위요인이 평균이하를 나타낸 ‘낮은참여형(중3, 고2: 31.0%, 27.0%)’, 수업참여의 하위요인이 모두 높게 나타난 ‘높은참여형(중3, 고2:8.3%, 7.7%)’ 그리고 수업참여가 모두 평균수준을 나타낸 ‘평균참여형(중3, 고2: 57.8%, 62.6%)’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양상은 수업참여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53%의 학생들은 프로파일을 이동하여 안정적이기 보다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참여의 가단성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이 양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수업참여의 향상은 학업성취도에 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longitudinal study is to identify feature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s consisting of multiple distinguishable features, including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using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o identify transition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nd the dfference of achievement according to transition pattern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Survey data and achievement scores were obtain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base. The NAEA date includes samples of 9th grader, and 11th grader from all over the country. Our final sample was 9,563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equally identified across middle and high school: relatively cognitive dis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2.8%, high schooler: 2.7%), low 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31.0%, high schooler: 27.0%), high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8.3%, high schooler: 7.7%), moderate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57.8%, high schooler: 62.6%). Second, pattern of achievement depend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ile was the following. the higher engagement was, the higher achievement was. Third, malle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variance was confirmed. student engagement profiles showed a little bit change rather than stability. Finally, to explore the features of the latent transition and stability, their relationships with achievement were compared. the high engagement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 교과 흥미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학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유신복(Yu, Shin Bok),신이나(Shin, Y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개인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에 의해 중학생의 수학, 국어, 영어 교과에 따른 차별적인 흥미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각 프로파일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와 학업 성취도(성취수준)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2년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12,318명(남: 6,093명, 여: 6,253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연구 결과, 중학생의 교과흥미 잠재프로파일은 교과흥미의 수준에 따라 4가지 유형(고교과흥미형, 중고교과흥미형, 중저교과흥미형, 저교과흥미형)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교과흥미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학업참여와 학업성취도(성취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흥미의 수준에 따라 적응적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흥미프로파일의 특성에 관한 의의와 과정중심평가에 따른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lso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urvey data and achievement scores were obtain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base. The NAEA date includes samples of 9th grader from all over the country. Our final sample was 12,318 students. By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o 12,318 middle school student, four distinct latent profiles of subject-specific interests were found: high subject-specific interests, above average subject-specific interests, below average subject-specific interests, deficient subject-specific interests. To explore the features of profiles, their relationships with engagement and achievement were compared. The students included in the high subject-specific interests class seemed the most adaptive in terms of their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level. Suggestions for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수업참여 잠재 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유신복(Yu, Shin Bok),신이나(Shin, Y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는 최근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로 주목받고 있는 다차원적 특성을 지닌 수업 참여가 정서, 인지 및 행동에 따라 차별적인 잠재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잠재 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의 효 과를 혼합회귀모형(mixture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실시한 중학교 3학년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의 교육맥락변인을 조사한 표집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최종적으로 5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프로파일의 특징은 다차원적 수업참여가 모두 높은 참여형(6.8%), 행동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지만, 정서적 참여가 평균이하로 낮게 나타난 정서적 결핍 참여형 (1.5%), 수업참여가 모두 평균 수준인 평균참여형(50.4%), 수업참여 수준이 평균 이하로 낮은 참여형(37.2%), 수업참여가 모두 낮으며 특히 인지적 참여가 매우 낮은 인지적 결핍 참여형(4.1%)이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교우와의 관계, 성별이 수업참여 잠재 프로파일을 구분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중학생의 수업참여프로파일이 하위 특성에 따라 이질적 잠재 프로파일의 속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used multidimensional and person-centered approaches to identify subgroups of middle schooler characterized by patterns of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and related factors.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base. The NAEA date includes samples of 9th grader from all over the country. Our final sample was 12,244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five profiles of student engagement in school were identified: Highly Engaged, Moderately Engaged, Minimally Engaged, Emotionally Disengaged, and Cognitively Disengaged. Second, The study not onl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school engagement but also identifies predictor factors of gender, relatedness with parents, teacher, peer. Considering the multiple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simultaneously from a person-centered perspective promises a useful approach for addressing sample heterogeneity and understanding different patterns of school engagement and predictor factors.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 중학생의 피드백 인식이 흥미, 효능감, 수업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상현(Park Sanghyun),신이나(Shin Y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타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Brookhart(1997)의 교실평가 모형에 기반 하여 중학생의 피드백 인식이 흥미, 효능감, 수업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5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4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남학생 2,678명(50.5%), 여학생 2,630명(49.5%), 총 5,3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첫째, 직접효과에서 피드백 인식은 흥미와 효능감, 수업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간접효과에서는 피드백 인식은 흥미와 효능감을 매개로 수업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흥미와 효능감 및 수업태도의 이중 매개효과에서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별에 의한 다집단 분석에서는 집단별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학교과에서 피드백 인식, 흥미, 효능감 및 수업태도의 평균 차는 유의하였다. 결론 수학교과에서 피드백 인식은 학생들의 교과 흥미, 효능감 및 수업태도의 증진을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의 추가적인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feedback, interest, self-efficacy, clas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subject. Methods Using data from the forth year of the middle school panel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Results First, perception of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self-effcacy, class attitude. Second, the interest,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feedback and class attitude. Also, the interest, self-efficacy, class attitude me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feedback and achievement. Third, the differences in gender for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average of perception of feedback, interest, self-efficiency, and class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male students. Conclusions Perception of feedback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student interest in the subject, self-efficacy and class attitud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

        박상현(Park Sanghyun),신이나(Shin Y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2012년에서 2014년까지의 초등학교 4~6학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2,965명(남: 50.4%, 여: 49.6%)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4학년과 5학년 사이에서는 피드백 인식은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성취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5학년과 6학년 사이에서는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 안정성을 파악해본 결과 성취도는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피드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인식과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초등학생의 피드백 인식,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와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12~2014 year(4th~6th grade) primary school panel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the study us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ARCL) model. Results First, we found evidence for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f feedback and self-efficacy from the 4th grade to 5th grade. Second, 5th grade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6th grade perception of feedback. Third, we found evidence for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Forth,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showed different stability. Conclusions Perception of feedback, self-efficacy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 over time, an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showed a reciprocal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요인 분석 및 Rasch 모형의 적용

        손원숙 ( Sohn Wonsook ),유신복 ( Yu Shinbok ),신이나 ( Shin Yina ),노현종 ( Noh Hyunjong ),박상현 ( Park Sanghyun ),김동욱 ( Kim Donguk ),박민애 ( Park Minae ),김난옥 ( Kim Nanok ),이빛나 ( Lee Bitna ),은진 ( Shin Eunjin ),박정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교육이념과 인재상에 기반 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틀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검사 문항(총 240개)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하여 본 검사는 총 7개 하위척도, 1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692명(32.9% 남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Rasch 측정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본 검사 문항의 질을 점검하였다. 먼저 핵심역량별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CFA)을 실시하였고, 문항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1-모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핵심역량 CFA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Rasch 모형 적합도, 문항의 난이도 및 응답 범주의 수 역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talent and key competencies constructed by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so to describe its psychometric 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692 students attending to A university of education. Two complementary analytical approaches, i.e.,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actor models designed by their conceptual factor structure. A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e scale in terms of item properties, the rating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contains 142 items in seven sub-scales assess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cale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refore, inform educators and researchers about how to enhance per-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