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무정운역훈」에 나타난 속음의 성격에 대하여

        신용권(Yong-kwon Shin)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6 언어학 Vol.0 No.76

        After the inven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King Sejong ordered a group of scholars to translate the Hongmujeongun(洪武正韻, Jeong-un) into Korean.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Jeong-un was completed in 1455, this book is Hongmujeongunyeokhun(洪武正韻譯訓, Yeok-hun). In this book, the pronunciation devices in the Jeong-un were replaced by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to the Chinese readings defined in the Jeong-un, i.e., the Jeong-eum(正音, standard sound), the contemporary Mandarin readings were included under the name of Sok-eum(俗音, vernacular soun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about the Sok-eum of Yeok-hun. First, I am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k-eum reflected in the Yeok-hun. We can conclude that the Sok-eum of Yeok-hun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narrow transcription, the commonly used sound in northern China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standard sound, etc. Secondly, I will analyze a difference between the Sok-eum of Yeok-hun and left-right Chinese readings in the Beonyeoknobak(飜譯老朴) and be concerned with several problems about differences of transcription.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조선후기 언어(言語).문자(文字) 연구와 지식 교류 : 조선 후기의 한어(漢語)학습서와 훈민정음의 사용

        신용권 ( Yong Kwon Shin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29

        조선 후기에는 중국을 비롯하여 일본 등 외국의 문물과 접촉이 강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위한 노력은 국가와 민간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18세기에 들어와 淸의 실상에 대한 정보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조선 정부가 淸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흐름도 나타났다. 외국과의 활발한 교류를 위하여 조선 후기에는 외국어에 능통한 역관(譯官)과 사대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외국어 학습과 연구를 위한 다양한 역학서(譯學書)가 편찬 간행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편찬된 조선 후기의 한어(漢語)학습서에는 그 사회, 문화적 상황과 함께 중국과의 지식 교류와 소통을 위한 노력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語학습서는 조선시대 언어 연구의 주요한 성과일 뿐 아니라 중국과의 외교 관계나 교류를 위하여 우리나라가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본 논문은 조선 후기의 주요 漢語학습서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 책들이 반영하는 漢語의 성격을 고찰하며 최초로 한어음(漢語音)을 훈민정음으로 적은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과 최초의 역학서언해(譯學書諺解)인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 에서 정립된 語音표기방식이 조선 후기의 漢語 학습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의 漢語학습서가 편찬된 사회, 문화적 배경과 효과를 검토하고 지식 교류와 소통의 조선 후기적 양상의 일면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As Korea is situated in the northeastern corner of the Asian continent, it has been necessary for Koreans to maintain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peoples for the security of the Korean states. Especially during Joseon dynasty, state policy toward foreigners was characterized by the single term 事大交隣 (service to a great power,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s). The Sayeokwon(司譯院) was maintained for Joseon dynasty as the unique institute for training in foreign languages in Korea and as an office of the Joseon government which was responsible for supplying all the official interpreters for diplomacy. In the Sayeokwon, the four languages-Chinese, Mongolian, Japanese and Jurchen (later replaced by Manchu)-were taught. Among these, Chinese was always the most important language. In the course of the long history of the Sayeokwon, various Chinese textbooks were published, revised and subsequently discarded. For example, Nogeoldae(老乞大) and Baktongsa(朴通事) were very popular Chinese textbooks that had been in use at least before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ir revised versions, each with slight revisions, were published; therefore, they also constitute very valuable historical data for the study of the Chinese langu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re various versions of Chinese textbook were publishe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ollowing problemsabout the Chinese textboo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I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various versions of Chinese textbooks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 that a reader can have some ideas of these textbooks which are useful in the study of linguistic change in Chinese. Secondly, I investigate the Chines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Chinese textboo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ntent of Guno(舊老) suggests that they have been written at the time of the Yuan dynasty and that the language of early versions of Chinese textbook reflect the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period of Yuan dynasty. In the other versions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this characteristics had all vanished. In addition, the Chinese language reflected in Chinese textboo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modern Chinese, northern Mandarin with several Shandong dialectic elements, spoken language, etc. Finally, I will analyze the Korean transcription in Chinese textbooks ofthe late Joseon dynasty and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readings reflected in these books in connection with the motivation of publication. For scholars investigating modern Chinese,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what the language was like at that time. To conclude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re-emphasize that the various versions of Chinese textbook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for studying modern Chinese and the study of foreign languages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고금운회거요」 음성운 연구

        신용권(Yong-kwon Shin)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21 언어학 Vol.- No.89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everal problems in the Yinsheng rhyme of Juyao (full name Gujinyunhuijuyao (古今韻會擧要)). Juyao is an important rhyme book for demonstrating the phonetic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Chinese. This book designed the Zimuyun (字母韻)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This system may represent the standard language commonly used in Lin-an (臨安) during the late Nan-Song (南宋) Dynasty.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 will examine the availability of several materials used in reconstructing the Yinsheng rhyme system of Juyao. Secondly, I will try to reconstruct the Yinsheng rhyme of Juyao on the basis of several materials. Finally, I will analyze the Zimuyun system of Juyao and discuss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Yinsheng rhyme. I will also scrutinize Chinese open syllable change reflected in Juyao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Juyao and Guangyun (廣韻), Zhongyuanyinyun (中原音韻), Contemporary Chinese diale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성통해(四聲通解)》에 나타난 금속음(今俗音)의 성격에 대하여

        신용권 ( Shin Yong-kw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2 No.-

        이 글에서는 《四聲通解》(이하 《通解》)의 今俗音에 나타난 주요 표기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표기의 성격과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通解》 今俗音은 주로 표기방식과 음운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조선시대에 행해진 訓民正音을 사용한 표기는 고유어 표기, 외래어 표기, 외국어 표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외국어 표기에서는 특수한 방식의 표기를 채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學書에는 韻書的 표기방식과 譯學書的 표기방식이라는 두 종류의 중국어음 표기방식이 사용되었다. 《通解》 今俗音은 훈민정음을 사용한 중국어음 표기방식 중 韻書的 표기방식에 기초한 것이다. 《通解》의 今俗音은 고유어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훈민정음 자모뿐 아니라 특수한 방식의 표기까지 가능한 사용하여 최대한 정밀히 당시의 중국어음을 표기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의 정밀전사표기적인 성격은 齒音字 聲母, 支紙?韻의 終聲, ㅱ 終聲 등의 표기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표기는 외국어 표기이기는 하지만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상 편의를 위하여 고유어의 표기방식을 최대한 활용한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全濁音 표기인 各自幷書와 入聲韻尾 표기 “ㆆ, ㅸ”이 《通解》 今俗音에는 여전히 나타나지만 《飜譯老朴》의 우측음에서 일괄적으로 사라진 것은 음운변화를 반영하는 측면도 있지만 國俗撰字之法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에서 이러한 표기들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은 기본적으로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반영하지 않는 규범음의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으나, 편찬 당시의 俗音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특히 《通解》 今俗音에 나타난 全濁音과 入聲韻尾 표기의 전반적인 양상은 동일한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는 《譯訓》, 《通攷》뿐 아니라 《通解》의 正音·俗音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이러한 차이가 음운변화의 진전 상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 면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二元的인 중국어음 표기방식에 대한 이해의 기초위에서 《通解》 今俗音의 표기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이 표기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