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내비게이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신예진,설순욱,Shin, Yejin,Seol, Soonu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7

        Manipulating a car navigation system while driving can lead to car accident due to loss of concentration. This will be more serious for elders or beginner drivers. Recently, a new Road Traffic Law in Korea prohibits drivers from watching or operating any video displaying devices. So the car navigation system came hard to use. In order to solve the issue we design and implement a novel system where a remote person can control the car navigation system on behalf of the driver. In the proposed system, we suggest to utilize the driver's smartphone for allowing sharing the Internet connection of the phone with the navigation system. The required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server will als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운전 중 내비게이션을 조작하는 것은 집중력이 분산되어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나 초보 운전자에게는 더욱 위험하다. 최근에는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운전 중 영상표시장치를 시청하거나 조작하는 것이 금지되어 현실적으로 자동차 내비게이션의 사용이 어려워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편을 보완하기 위해 운전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내비게이션을 대신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내비게이션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중계 장치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여기에 필요한 단말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 KCI등재

        NFC를 활용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현

        신예진,설순욱,Shin, Yejin,Seol, Soonu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5

        현재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문제점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입력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는 차량 이동 시 운전에 대한 집중력 저하로 이어져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편을 보완하기 위해 NFC를 활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시켜 내비게이션의 사용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의 NFC 리더에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설계한 시스템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한다. 또한 기존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한다. One of problems in car navigation systems is that a number of inputs are required for a directions search. This may even causes a car accident due to poor concentration while driving. In order to solve the issue we design and implement a safe and easy-to-use car navigation system which allows a driver to look up directions with just a single tap. Our smartphone app creates an NFC tag by der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text, voice, GPS, and so on. The driver can then get the directions by just tapping a phone or card with the Tag on the navigation system. We show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our system by comparing our implementation with the existing car navigation systems.

      • KCI등재

        RPL에서 이동성 향상을 위한 DIO 전송 간격 조절

        신예진,설순욱,Shin, Yejin,Seol, Soonu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12

        본 논문에서는 RPL을 사용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노드들이 이동할 때에도 토폴로지 변경에 빠르게 적응하여 패킷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노드는 이웃 노드들의 이동성을 인식하고, 전체 수신 패킷과 제어메시지 수를 고려하여 이동 정도를 수치화한다. 이동 정도에 따라 DIO 타이머를 동적으로 설정하여 토폴로지 변경을 빠르게 인식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 방식의 성능은 Contiki 기반 Cooja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동 속도에 대해서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식은 패킷 전달률이 31.03% 개선됨을 확인하여 표준 RPL보다 이동성 시나리오에 잘 대처함을 보여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approach for solving the packet loss problem by quickly adapting to topology change when nodes move in RPL-based IoT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mobility, every node is aware of the mobility of its neighbor nodes and quantifies the mobility level based on the number of control messages and all received packets. According to the mobility level, the DIO timer is changed. The proposed approach allows nodes to change their DIO timer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levels to adapt topology changes and update paths to the sink.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is evaluated using a Contiki-based Cooja simulator in various moving speed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copes with mobility scenarios better than the standard RPL by ascertaining that the packet delivery ratio is improved by 31.03%.

      • 하대정맥에 거치된 폐동맥 카테터 - 증례보고

        신예진(Yejin Shin),정기태(Ki Tae Jung)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원 202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48 No.2

        A 60-year-old male patient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surgery due to autoimmune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Placing a pulmonary arterial catheter (PAC) for hemodynamic monitoring was challenging despite using ultrasound and multiple adjustments. The PAC anomalously lodged in the inferior vena cava despite corrective attempts, influencing the surgical approach. To avoid possible complications, it was decided to remove the PAC. No subsequent complications related to PAC misplacement were observed, and the patient recovered post-surgery without incident. This cas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 precision in PAC insertion procedures, such as waveform analysis.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의 효과

        신예진(Shin, Yejin),우애자(Woo, Aej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탐구 실험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대학교「일반 화학 실험」수업에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대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학습 동기’, ‘과학 관련 태도’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험 집단(N=20)에는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을, 비교 집단(N=19)에는 전통적 실험 수업을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은 탐구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탐구 실험 문제의 도입’, ‘탐구 실험’, ‘보고서 작성 및 제출’의 3단계로 구성되며 온․오프라인 활동을 혼합하여 개발되었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면대면과 온라인상에서의 다양한 상호 작용과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학생들의‘과학 탐구 능력’과 그 하위 영역인 ‘기초 탐구 능력’, ‘통합 탐구 능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동기’와 그 하위 영역인 ‘학습 신념의 통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 관련 태도’와 그 하위 영역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블렌디드 러닝 활동에 대한 ‘수업 만족도’ 설문을 실시한 결과, 동시적 웹 토론 학습이 유용하였고, 동료 학습자보다는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when it is applied to a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ourse. Especially, the changes in 'inquiry ability', 'learning motivati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based on inquiry learning,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to inquiry problems, inquiry experiments, and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Each stag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periment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19) carried out laboratory experiments separately, while having the same experiment topic for on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effectively improved 'inquiry ability'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by providing various on/offline interaction and instant feedback to the students. Secon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learning motivation' and its sub-categories, such as control of learning belief and self efficiency. Thir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attitude toward science inquiry and interest in science. Fourth, when a course satisfaction survey was carried out,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useful to participate in a synchronous web conference and they preferred web conferences with an instructor rather than with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대중교통 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 간의 의사소통 서비스 디자인 제안교통 : 약자 중에서도 임산부를 대상으로

        신예진(Shin,YeJin),송진경(Song,Jin Kyung),정가람(Jeong, Ga Ram),김다운(Kim, Daun),박수이(Park, Su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1

        교통약자 중에서도 임산부는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이 어려운 승객 중 하나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 내 교통약자의 배려를 위한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의사소통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사전 연구에서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설문과FGI를 진행하였다.연구1에서는 앞서 진행한 사전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기반의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 간의 의사소통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2에서는 구현한 결과물을 실제 지하철의 환경에서 사용자 평가 통해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본 연구는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 두 그룹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임산부 승객에게 도움이 될 만한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mong Mobility Handicapped, pregnant women are passengers who have difficult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of a communicationservice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regular passenger in public transpor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and FGI for pregnant women in the pre-study. In Study 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eproposed mobile-based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regular passenger. Finally, in Study 3, user evaluation of service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we implemented and verified eff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pregnant passengers and ordinary passengers, who are transportation users in public transportation by utilizing mobile apps.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mplemented services that would be useful to pregnant passenger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group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the regular passe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