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의 추이와 禿山城의 위상변화

        신영문(Shin Youngmoon)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19

        조선후기 도성방어는 국가 방어체계의 핵심이자 궁극적인 목적이었기 때문에 정치와 사회의 변동에 따라 도성방어체제가 변화해 갔다. 도성은 물론 인근의 산성들은 도성방어체계의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변화했다. 이번에 검토한 독산성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도성자체의 방어력이 중시되면 될수록 독산성의 중요도는 낮아졌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 후기약화된 지방군영의 사정과도 관련이 있었다. 중앙군은 그 명맥을 계속 이어갔지만 지방군은일찍이 붕괴의 길을 걷고 있었다. 조선 후기 중앙정치의 변화와 도성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해 도성방어체계가 변모해 갔다. 도성방어체계의 변화에 따라 독산성은 그 중요성이 증가하기도 혹은 감소하기도 했다. 인조- 숙종대 지방의 보장처를 강화하던 시기에는 붕괴된 국경방어체계를 대신해서 도성방어와 보장처 강화가 함께 추진되었다. 독산성과 같은 중소규모의 산성에 대한 관심은 자연 멀어지게되었다. 이시기 독산성은 수원부 중군의 휘하에 예속되어 있다가 별장이 파견되면서 지위가향상된 것으로 보았다. 군기의 강화와 군량의 확보가 추진되었고 봉수대의 신설이 논의되었다. 인조-숙종대 독산성은 수원 인근의 대표적인 관방으로 부상되어갔다. 영조대에는 집권초기 발생한 무신란의 영향으로 도성의 수비를 강화하는 도성사수론이 등장하는 분위기였다. 왕권 강화와 관련된 일련의 정비가 마무리되고 추진되었던 강화외성의축성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보장처 중심의 도성방어체계가 도성사수론으로 변화하였다. 외곽방어체계는 자연히 소홀해질 수밖에 없었다. 강화외성에 대한 축성실패로 인해 외곽산성이나보장처에 대한 관심이 줄고 적을 주요 간선도로에서 차단할 수 있는 읍성의 축성이 늘어갔다. 독산성은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영조대에는 이렇다 할 변화는 없었다. 정조대에 들면서 지방상업도시의 발달과 도성 외곽방어체계의 강화에 따라 4유수부체계가확립되었다. 수원화성과 같은 거점도시의 축성에 집중하게 되면서 도성에 대한 관심은 이전시기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독산성은 이시기 수원화성에 버금가는 군사적 중요성으로 말미암아두 성이 기각지세를 이루며 수원 유수부를 지키는 전략이 수립된다. 정조 16년 폭우로 인해성곽이 일부 훼손되었는데 복구를 통해 독산성은 면모를 일신하게 된다. 정조 승하 이후 장용영이 해체되면서 독산성의 전략적 활용도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was the core and ultimate purpose of the national defense system, thus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e importance of the capital city and the surrounding fortresse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apital city defense system. Doksanseong Fortress examined through this article is no exception. The Fortress declined in importance as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itself became more important. This situation was related to the weakening of local army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entral army remained in existence, while the local army was collapsing. Changes in central politics and the perception of the capital c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brought a change to the capital city defense system. Doksanseong Fortress increased or decreased in importance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system. During the period of reinforcement of local Bojangcheo(保障處) from the reign of King Injo to King Sukjong, defense of the capital city and the reinforcement of Bojangcheo were promoted together, instead of border defense system which was collapsed. Interest in small and medium sized fortresses such as Doksanseong Fortress has naturally declined. Doksanseong Fortress was under the command of Junggun(中軍) of Suwon-bu(水原府), however, seems that its status improved by the dispatch of Byeoljang(別 將). The reinforcement of military discipline and securing of provisions were promoted, and the establishment of a Beacon fire station was discussed. During this period, Doksanseong Fortres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military defense system in Suwon area.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the theory of capital city defense with the aim of reinforcing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usin Revolt(戊申亂) that occurred at the beginning of his reign. As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failed which was promoted after the completion of maintenance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the defense system centered on Bojangcheo was changed to the theory of capital city defense. The outer defense system was gradually neglected. Due to the failure of the construction, interest in the outer fortress and Bojangcheo decreased, and the construction of Eupseong(邑城), which could block enemies from main arterial roads, increased. Following this trend, no remarkable changes occurred in Doksanseong Fortress during this period. From the King Jeongjo period, the Four Yusugbu(留守府) system was established with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ercial c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capital city s outer defense system.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city, such as Suwon Hwaseong Fortress, reduces interest in the capital city. During this period, Doksanseong Fortress was of military importance comparable to that of Suwon Hwaseong Fortress, and a strategy was established that the two fortresses protect Suwon Yusubu. In the 16th year of King Jeongjo, heavy rain partially damaged the wall, but the fortress was renovated through restoration. As Jangyongyeong (壯勇營) was dissolved after the demise of the king,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he Fortress was also reduced.

      • KCI등재후보

        고고학 분야에서 지역박물관 학예인력의 역할

        신영문(Shin, Young-moon)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지역박물관과 학예인력은 매장문화재 조사 전문기관과 광역시도의 서포터가 아니라 지역문화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시스템에 끌려가는 사업체계가 아니라 조사사업의 핵심인 해석과 복원작업의 주도권을 쥐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고연구의 중심기관으로서 지역박물관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으며 지역에서 벌어지는 고고연구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가져올 수 있다. 지역 고고학 자료의 아카이브로서의 지역박물관, 아카이브를 이용한 지역사의 복원은 다른 박물관이 지니지 못한 차별화된 가치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러한 성과들이 차곡차곡 쌓여갈 때 지역박물관은 지역의 고고학 정책 완성과 집행을 하는 기획기관이자 실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Regional museums and curators must play the role of regional culture center, not supporters of archeological property research. To do so, it is important to take the initiative in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work, which is the core of the research project, rather than the business system dragged by the existing system.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regional museum as a central institution of archeological research, and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rcheological research performed in the region. A regional museum as an archive of regional archeological materials, and the restoration of regional history using the archive is a way to secure the differentiated value that other museums did not have. As these achievements accumulate, the regional museum is a planning agency that completes and enforces the archeological policy of the region, and could serve as a working body.

      • KCI등재

        축성술을 통해 본 북한산성의 유산가치

        신영문(Shin Youngmoon)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5

        이글은 북한산성 성제의 원인과 배경을 알아보고 이것이 북한산성의 보존활용을 위해 추진중인 세계유산등재에 활용 가능한 논리를 제공하기 위해 쓰였다. 북한산성은 국가의 보장지처로 숙종대 전면 신축된 성곽으로 당시의 축성술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 산성이다. 한양도성의 개축 직후 축성된 북한산성은 한양도성에서 태동한 소성석 쌓기 축성술이 전면적으로 채택되었다. 소성석 축성술은 조선후기 고용노동의 성립과 더불어 완성된 새로운 축성방식으로서 이전시기의 축성방식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성곽의 성제는 북한산성의 축성을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산성은 처음 축성된 이후 한번도 전면수축을 한 사실이 없기 때문에 초축당시의 성제를 고스란히 갖추고 있는 표본이다. 따라서 북한산성은 조선후기 성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북한산성의 성벽은 전축, 반축, 반반축, 지축여장 등 서로 다른 높이로 축성되었다. 그리고 여장은 철여장을 갖춘 지점과 평여장으로 축성된 지점으로 나뉘고 있다. 이러한 성벽 높이나 여장 구조의 다양성은 북한산성을 수비하기 위해 사용된 화포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북한산성을 수비하는 화포는 조선의 전통적인 총통류를 배제하고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불랑기, 목모포, 위원포 등의 화기를 사용했다. 성벽높이가 낮아지게 된 배경으로 화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것으로 파악했고 평여장은 화포사용으로 인한 아군끼리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았다. 논문에서 밝힌 바를 종합해 볼 때 북한산성은 조선의 전통적인 산성방어방식과 외래계 화포가 결합된 조선후기의 독창적인 산성이다. 북한산성은 동 서양의 문물교류가 조선에 미친 영향을 축성사적으로 증명하는 증거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aper explores the causes and backgrounds of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n Bukhansanseong Fortress, and it is written to provide a logic that can be used to inscribe a World Heritage List under wa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fortress. Bukhansanseong Fortress is a new fortress built in King Sukjong’s reign as the country s last Keep, and it is a typical mountain fortress that represent the techniques of the time. Bukhansanseong Fortress was built just after the renovation of Seoul City Wall, and Small Stone Masonry, which was born in Seoul City Wall, was fully selected. Small Stone Masonry is a new Wall construction method that was comple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employment work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show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Wall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n the Joseon Dynasty is divided into the former and later,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 Since Bukhansanseong Fortress has never been fully constructed since it was first built, it is a specimen with the original method. Therefore, Bukhansanseong Fortress is an important evidence that shows changes in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is well known, the walls of Bukhansanseong Fortress are built at different heights such as full, half, quarter and parapet only. And the parapet is divided into the place built in the convex parapet and the place built in the flat parapet. This variety of wall heights and parapet structures is considered to be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llery used to defend Bukhansanseong Fortress. The Bukhansanseong Fortress defense plan did not adopt Joseon s traditional barrel style cannon, but adopted firearms such as Frankish Cannon(Portuguese model Breech-loading cannon. 佛朗機), Wooden Breech-loading Cannon(木母砲), and Wiwonpo Cannon (威遠砲) from China. As the background of the lowering of the fortress wall, I understand that it aimed at the efficient use of artillery, The flat parapet is thought to have been used to prevent damage to our forces from the use of artillery. To sum up what was revealed in the paper, Bukhansanseong Fortress is an original mountain fortr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combines Korean traditional mountain fortress defense systems and foreign artillery. Bukhansanseong Fortress can be valued as evidence that proves historically the influence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