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행동 연구

        송혜수,신용균,강수철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운전분노와 교통정체가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운전분노란 운전 중 경험하는 분노 로서 개인적 특질성향이다. 이 개인적 성향은 운전 중 도발적이고 도전적인 상황에 부딪혔을 때 난폭운전으로 표출 된다. 그런데 운전분노는 다른 성격특질처럼 개인차가 있어서 운전분노 수준에 따라 교통상황에서 느끼는 분노의 정도는 차이가 나고, 이 차이는 난폭운전의 차이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시뮬레이터인 RTSA-DS를 이용하여 세 가지 교통상황(소통원활, 주행차로정체 및 선행차량의 서행으로 인한 진행방해 상황)을 가상현실 교통상황으로 제시하고, 운전분노 수준에 따른 운전행동을 조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운전분노 수준이 높 은 운전자가 낮은 운전자에 비해 주행차로 정체상황에서 빠른 속도로 주행하였으며, 주행차로 정체상황에서 정체를 피하기 위해 차로변경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충돌사고의 개입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운전분노 수준이 높은 운전자가 정체상황에서 난폭운전과 위험운전을 감행한다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운전 분노 수준이 높은 집단이 주로 20대 운전자로 구성되었고, 운전분노와 연령간의 상관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본 연 구의 결과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판 행동건강질문지-20(K-BHQ-20)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송혜수,김정기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4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 is a self-report instrument assessing the status of mental health and the effects of psychotherapy. While most of the mental health assessments focus on psychological symptoms, BHQ-20 aims to monitor overall mental health over time(especially across psychotherapy sessions) by including scales of Well-Being and Life Functioning as well as a scale of Symptom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K-BHQ-20). We gave the K-BHQ-20 to 400 college students in Pohang. The 4 constructs of the K-BHQ-20 investigated by factor-analyzing were 'Psychological Symptoms', 'Well-Being of School Life', 'Drinking/Eating Problem' and 'Social Life Functioning'. The K-BHQ-20's concurr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s with Mt and BDI. Support was also found for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measure(Chronbach's alpha).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BHQ-20, a relatively brief questionnaire,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assessing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To further prove the validity of the K-BHQ-20 as a measure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determine whether the K-BHQ-20 can detect responsiveness to psychotherapy or recovery across therapy sessions in university counseling service. 정신건강이나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자기 보고식 검사는 많다. 이런 검사의 대부분은 심리적 증상을 위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정신건강의 평가는 증상의 유, 무뿐만 아니라 웰빙과 사회적/직업적 기능까지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목적에 적합한 행동건강 질문지-20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 BHQ-20)을 소개하고, 이 검사 척도가 한국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진단하고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해주는 정신건강 측정도구로서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되었다. 대학생 집단 400명을 대상으로 먼저 한글판 BHQ-20(K-BHQ-20)의 요인구조를 탐색한 결과, 원판 BHQ-20과는 달리 4개의 요인, 즉 ‘학교생활의 웰빙’, ‘심리 증상’, ‘음주/섭식문제’ 및 ‘사회생활 기능’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내적 일치도로 살펴본 K-BHQ-20의 신뢰도는 양호하였으며, 대학생활 부적응 척도 및 BDI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동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K-BHQ-20을 정신건강 및 심리치료의 평가 척도로서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침활동형 척도(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SM)의 정신측정학적 속성

        송혜수(Song, Hyesu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연구 Vol.48 No.1

        아침활동형과 저녁활동형으로 통칭되는 일주기성 유형의 개인차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여러 문화권에서 번역되어 사용되는 아침활동형 척도(CSM: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한국어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별개의 두 대학생집단이 사용되었다. 한 대학생집단(남: 225, 여: 57)에게는 아침활동형 척도를 실시하고 약 한 달 후에 다시 실시하였다. 여기서 나온 자료는 내적 일치성(크론바하 알파계수)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하였다. 또 다른 대학생집단(남: 448 여: 465)에서 얻은 자료로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들의 취침-기상시각과 비교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 척도의 내적 일치도(크론바하 알파계수)는 0.835이고, 검사-재검사 상관 r= 0.601(p<.001)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취침-기상시각에서는 아침활동형과 저녁활동형 간의 차이가 유의하여서, 아침활동형이 더 일찍 일어나고 더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으로 나타나서 아침활동형 척도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요인구조의 비교에서는 2요인 모형에 비해 3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훨씬 좋아서 3요인 구조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한국어판 아침활동형 척도(CSM)는 3요인 구조로 일주기성 유형의 개인차를 측정해 줄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다 기능 휠췌어 로봇 설계 및 제어

        김후섭,송혜수,정슬,Kim, Hu-Seop,Song, He-Su,Jung, Seul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7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control of a wheelchair robot for handicapped or elderly persons. Novel multi-functional design concepts are introduced. The first function is to balance the chair always parallel to the flat ground so that the driver feels comfortable when he/she drives on the slope. The second function is to help the driver to stand up by pushing the chair so that the driver can get out from the chair with ease. The third design is to make it foldable for easy carrying for automobiles. The last function is an immediate stop and start protection. Experimental studies a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functionality of each mechanical design.

      • KCI등재

        수면 일주기 리듬의 개인차에 따른 수면습관, 심리적 적응 및 학업수행의 차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정기,송혜수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3

        Sleep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Sleep/wakefulness and other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body temperature, various hormonal levels show periodic fluctuations with a cycle of approximately 24 hours, so called 'circadian rhythms'. An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ordination between the circadian sleep rhythm and the environmental clock. This circadian sleep phase preference is usually called "morningness(larks)/eveningness(owl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adian sleep phase preference and psychological/academic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The 'morning type' group and 'evening type' group were defined by the top 5% and the bottom 5% on the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Smith, Reilly & Midkiff, 1989), and the 2 groups were compared on the various adjustment measures of college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ening type group's bedtime/wake-up time were significantly later than the moring type group's, and sleep latency was longer in the evening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leep length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evening group showed impairment on sleep quality(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ychological adjustment (College Maladjustment Scale,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 and also on academic performance (Grade Point Average). The evening group's impairment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ir circadian clock and social/environmental clock. It seems imperative to give relevant education on sleep hygiene to students from the beginning of college life and helpful personal guidances (such as special program on restructuring sleep habits) to students of extreme 'eveningness'. 아침/저녁 활동형으로 일컬어지는 수면 일주기리듬의 개인차는 취침-기상주기를 관장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인지, 행동, 정서적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 일주기리듬의 개인차에 따른 수면습관 및 적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면 일주기리듬은 Smith, Reilly 및 Midkiff의 아침/저녁 활동형 척도(CSM)로, 수면양상은 피츠버그 수면질문지(PSQI)로, 심리적 적응은 행동건강 질문지-20(BHQ-20), 벡의 우울척도(BDI) 및 대학생활 부적응 척도(Mt)로 측정하였으며, 성적은 학생 개인이 이수한 전체 학점을 평균하여 성적 지표로 삼았다. 아침/저녁 활동형 척도에서 상위, 하위 5%를 각기 아침 활동형과 저녁 활동형 집단으로 규정하고, 수면습관 및 적응 관련 변인에 대해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침 활동형과 저녁 활동형 간에 취침/기상 시각,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수면 잠재기, 수면의 질, 정신건강 및 성적에서 차이가 났다. 아침 활동형에 비해 저녁 활동형 집단이 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날 뿐 아니라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었으며, 자기보고에 의한 수면의 질이 떨어졌다. 그리고 전반적인 정신건강이 좋지 못하고 성적이 낮았다. 그러나 수면의 양과 우울 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처럼 저녁 활동형에서 나타나는 수면습관의 문제와 심리적 적응 상의 문제 및 성적의 차이는 개인의 생체시계 상에서의 설정된 시간과 사회, 물리적 환경이 요구하는 시간간의 불일치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수면양상, 일주기성 유형 및 우울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예비연구

        김정기,송혜수,연미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3

        Korean college students' sleep patterns (such as bedtime, wake-up time, sleep duration, sleep latency on weekdays and weekends), sleep quality,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were examined. Survey was conducted to 916(male: 449, female: 465, no response: 2)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Incheon and Chuncheon. The average sleep pattern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 follows: On weekdays, their bed time, wake-up time, sleep latency and sleep duration were 1:01 AM, 7:51 AM, 21minutes, 6.47 hours, respectively. On weekends, they went to bed 36 minutes later, woke up 2 hours and 9 minutes later, and slept 1.52 hours longer. There were grade effects in sleep latency and sleep duration of both weekdays and weekends. Freshmen showed the shortest sleep latency and senior the short sleep duration, on weekdays, and freshmen's wake-up time was later and sleep latency was shorter than senior's on weekends. Evening type showed longer sleep latency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and showed poorer sleep quality and higher depression level. The relations of bedtime and wake-up time of both weekdays and weekends were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sex and circadian typology. However,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showed longer sleep latencies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showed shorter sleep durations on weekdays, and poorer sleep quali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insufficient sleep on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and adjustments, and also in relation to the ways to improve sleep hygiene concerning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ology, such as minimiz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biological circadian rhythm and the social/environmental demands on sleep/wake schedules.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주중과 주말의 취침 및 기상시각, 수면잠재시간, 수면 양을 조사하고, 일주기성 유형과 우울수준에 따른 수면양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서울, 인천, 춘천 지역 대학생 916명(남: 449, 여: 465, 무반응: 2)에게 설문지 배터리(우울척도, 일주기성 유형척도, 수면의 질 척도 및 수면습관 항목 포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중의 취침시각은 새벽 1시 1분, 기상시각은 아침 7시 51분이었고, 잠자리에 든 후 잠드는 시간인 수면잠재시간은 21분이며, 수면 양은 6.47시간이었다. 주말의 취침시각은 주중보다 36분, 기상시각은 2시간 9분 늦어져서 수면 양은 1.52시간 늘어났다. 수면 양상에서 학년 간에 차이가 있었다. 주중의 수면양상에서는 1학년의 수면잠재시간이 가장 짧고, 4학년의 수면 양이 가장 적었다. 주말의 수면양상에서는 1학년의 기상시각이 4학년보다 늦었고, 1학년의 수면잠재시간이 4학년보다 짧았다. 일주기성 유형에서 저녁활동형일수록 주중 및 주말의 수면잠재시간이 길고, 수면의 질은 떨어지며, 우울수준은 높았다. 우울과 수면양상 간의 관계에서 성별 및 일주기성 유형을 통제한 후에는 주중 및 주말의 취침과 기상시각은 우울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주중 및 주말의 수면잠재시간은 길었고, 주중의 수면 양이 적었으며, 수면의 질은 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수면 부족은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적응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주말 수면 양의 증가는 개인의 생물학적 수면-각성주기와 사회, 환경적 요구에 따른 취침-기상시각 간의 괴리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주기의 조율은 수면건강에서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