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超多數決議制의 有效性과 그 法的 限界 - 주주총회 특별결의요건을 중심으로 -

        송종준 대한변호사협회 200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88

        초다수결의제(supermajority voting rule)란 주주총회에서의 결의요건으로서 보통결의 또는 특별결의와 같은 보편적인 다수결 요건을 가중한 형태의 의사결정방식을 말한다. 상법상 주주총회 특별결의요건은 가중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론이고 심지어는 만장일치까지도 허용된다는 견해도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초다수결의제를 허용하는 명시적인 법적 근거를 두고 있어서 초다수결의제의 유효성에 대하여 이론이 없다. 그러나 현행 상법은 그러하지 않으므로 그 허용 문제를 주주들 간의 계약 정도로 취급하여 여기에 완전한 정관자치를 인정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미국의 경우에도 제정법에 명시적인 근거가 없는 경우에는 초다수결의제는 위법하다고 풀이하는 것이 판례의 일관된 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초다수결의제의 선험적인 입법을 가진 미국에서 그 제도의 등장 및 변천과정, 모범 회사법을 중심으로 한 입법의 동향, 판례상 다투어진 초다수결의제의 유효성 문제, 그리고 초다수결의제의 실증적 효과 등에 대하여 정리한다. 그리고 우리 상법상 초다수결의제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이를 허용하는 명문의 규정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상법에 초다수결의제의 도입을 명시하더라도 이를 채택하는 회사가 폐쇄회사인가, 공개회사인가에 따라 그 가중의 유효성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여기에서는 스탠포드 대학의 Gilson 교수가 제시한 구조적 한계론과 유사한 입장에서 공개회사의 경우에는 초다수결의 요건에 일정한 법적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주주총회 특별결의요건의 가중이 허용되더라도 주주총회에서의 출석의결권 수가 최소한 총의결권 수의 1/3 이상 2/3가 확보될 수 있도록 결의요건을 설정하는 것이 상법이 의도하는 다수파 주주와 소수파 주주 간의 이해균형에 부합할 수 있다. 아울러 초다수결의제를 채택 또는 폐지하기 위하여 정관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변경 당시의 결의요건과 채택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결의요건 중 더 가중된 비율에 의하여 결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지적한다. 이것은 초다수결의제의 채택이 남용되어 다수파 주주와 소수파 주주 사이에 상호 억압하는 현상을 막고, 회사업무가 교착되는 것을 막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Supermajority vote is referred to as a majority voting rule requiring greater quorum and/or voting requirement than a simple one, which is needed for certain extraordinary actions such as approving a fundamental corporate change at a meeting of stockholder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re is no provision explicitly permitting the supermajority voting requirement at a special shareholders meeting. But most of Korean scholars agree that even a unanimity as well as supermajority voting requirement is legally permitted in Korean Commercial Law. There is no doubt that any kind of supermajority voting requirement is valid under the foreign company laws because they explicitly provide like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may provide for a greater quorum or voting requirement for shareholders than is provided for by this Act”. In the absence of such a provision in the statute, any supermajority rule adopted by a change of corporate articles is construed invalid by the U.S. courts. Under the Korean Corporate legal structure, it is also critically doubtful whether the supermajority voting rule is absolutely valid as in U.S. legal system. In this paper I summarize the history, provisions of Revised Model Business Corporation Act including some leading statutes’ provisions, court’s decisions concerning about its validity and empirical evidence in effects concerning the U.S. supermajority rule. This paper stresses that the supermajority rule should be explicitly provided in Korean Commercial Law in order for the rule to be construed valid.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ses that even though the rule is newly and explicitly provided in the commercial law, there would be a certain limitation of the rule’s validity only in public corporation. Such an analysis is based on professor Gilson’s corporate structural approaches, in which he argues that the supermajority rule including other shark repellent charter amendments should not be permitted in the public corpora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even though the supermajority rule is explicitly permitted in the statute, the greater quorum and/or voting requirement should be designed to make the range of the minimum quorum to be present at the shareholders meeting placed within one-thirds to two-thirds of the total outstanding votes. It’s because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shareholders could be fairly balanced, which must be deemed as a public policy inherently required in the shareholder decision rules under the regulatory philosophy of the Korean corporate law.

      • KCI등재

        상장회사의 자기자본질서의 변화와 법적 과제 - 개정 상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안상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

        송종준 한국상사법학회 2012 商事法硏究 Vol.31 No.2

        The 2012 amended Commercial Code, in which the largest volume of issues has been epochally revised in the field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finance and fundamental changes etc, in the Korean legislative history could substantially change the company's own equity capital environment especially by issuing the no-par value share and classes of shares and also by the purchase and disposal regimes of company’s own shares. Moreover, in the revising draft of the ‘Capital Market Act’ pre-announced in May, 2012,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and the share purchase warrant certificates as new capital raising mechanisms in the listed companies, which also would bring direct changes to the company’s capital structure as in a newly designed share issuing structure, are expected to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Nevertheless, a variety of interpretative opinions in relation to some legal issues are remarkably divided in the academic world because of the legislative fallacy, inadequacy or ambiguity of the above provisions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code. And also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reviewed more elaborately on the concerned issuing affairs of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as well as those of the share purchase warrant certificates in the revising draft. In this paper, reasonable interpretations on the legal effects of the no-par value shares on the reduction of authorized capital, cancellation of the shares and share dividend, and classes of shares as well as the purchase and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s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legislative intents and reviews of the related pros and cons. And also, legislative recommendations are given in relation to some clauses to be renewed or to be supplemented in introducing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and the share purchase warrant certificates under the revising draft. In conclusion, it is stressed that conflicts of interests between shareholders and stakeholders, which would lie potentially behi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apital raising mechanism in the shareholding companies, should be properly balanced and controlled under both of the Commercial Code and Capital Market Act.

      • KCI등재

        엘리엇 사태에서 본 M&A 방어법제의 규범론적 과제- 부의 이전 통제의 관점에서 -

        송종준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2

        2015년 7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과의 합병사건에서 미국계 사모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주주권 행사를 계기로 투기적 사모펀드에 의한 적대적 M&A의 가능성에 대하여 사회경제적인 우려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논문은 적대적 M&A에 대한 규제원리의 하나로서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는 이해관계자 사이의 부의 부당한 이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의 제정법과 판례의 태도 및 외국의 선험적인 방어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규범체계론적 견지에서 우리 방어법제의 문제성을 검토하고 합리적인 방어법제의 구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 방어법제의 기본방향으로서 이사회에 방어권이 귀속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미국의 비구성원이익법의 취지를 입법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또한, 법원도 미국의 비례성 기준과 중간적 기준 또는 일본의 기업가치 및 주주공동의 이익기준 등과 같은 국제적인 보편적 방어기준을 채택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기주식의 처분에 의한 경영권 방어도 획일적으로 위법하다고 단정할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방어기준에 따라 그 위법여부를 판단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입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어수단은 사회경제적으로 특별한 수요가 인정되는 것이어야 하고, 다수파주주에 의한 지배권질서의 왜곡이 남용될 여지가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입법시도의 타당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적대적 M&A로 인한 부의 부당한 이전을 통제하기 위한 방어규범의 존재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법제화는 방어법제의 현대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국제규범과의 동질화를 실천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Korean corporate world was reportedly deeply concerned by the Elliot Management's activism practiced until before the merger between Samsung C&T and Cheil Industries closed in July 17, 2015, because the would-be hostile M&A by the hedge fund's activism might give dangerous threats to controlling power in Korean Industries in the future. This paper is a scholarly answer to one of the solutions for the socio-economic concerns. Recent changes of market and legal environments are increasing the possibilities of hostile M&A in the future, though statutory regulations have been mostly focusing on facilitating the attack by corporate raiders and also most of the courts have attempted to view the legality of defensive tactics in a negative light. But, in the foreign countries like the U.S, EU member countries and Japan, their domestic statutes are regulating the abusive attack practices in tender offer and the courts are also applying the reasonable standards for deciding the legitimacy of the defense such as the proper purpose test, proportionality test and value maximization standards etc. in various facets of M&A transactions. In this paper, fundamental legal problems about the target's defense are reviewed in perspective of controlling the transfer of wealth in both between the target's stakeholders and acquiring shareholders and also between the target's minority shareholders and acquiring shareholder. For that purposes, the probabilities of hostile M&A are screened in the view of market situations and legal environments, some problems surrounding the transfer of wealth are analysed in Chapter Ⅱ and some suggestions are reviewed for the reform of the current Commercial Act in Chapter Ⅲ. In conclusion, this paper stresses that the defensive power against the hostile M&A should be explicitly given to the target's board of directors in the Commercial Act and recommends that the courts introduce the reasonable defensive standards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defense in accordance with global general trends.

      • KCI등재

        M&A에 있어서 부의 부당한 이전의 합리적 통제방안

        송종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29 No.4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studies, M&As both produce and transfer wealth and spread unevenly among various participants, and shareholders of target companies have received the largest gains. But a number of commentators have advanced theoretical bases for the claim that takeovers are detrimental or disadvantaged to non-shareholder corporate constituents(other stakeholders or non-participants) such as employees, debt holders, consumers etc.. If unfair M&A transactions can’t be controlled by efficient legal normative rules, such conflicts of interest would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eading countries like the U.S, England,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legal systems to effectively control such unfair transfer of wealth have long been operating, even though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legal control. But, Korean existing legal systems like company law, capital market law etc. are inadequate to deal with these problems. Such a status is so far away from the globally general legislative trends. This paper analyses some critical issues on the wealth transfer in the merger, freezing-out merger, sale of controlling shares, compulsory purchase after tender offer, leveraged buy-out and M&A defense system in legal comparative perspective, and also suggests the reasonable legislative recommendations for controlling unfair transfer of wealth both between participants and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적대적 M&A, 우호적 M&A 어느 경우에나 대상회사, 인수회사의 주주, 채권자등 이해관계자들 상호간에 부의 이전효과는 발생하게 마련이고 이것은 M&A거래를 활성화시키는 순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M&A거래의 계약조건이나 법규범적 환경에 따라서는 대상회사의 부가 경영권의 양도인 또는 기업인수인에게 현저히 불공정하게 이전될 수 있고, 대상회사의 소수주주, 노동자, 채권자들에게는 불공평한 희생을 묵인하거나 강제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M&A거래로 인하여 어느 한쪽 당사자 또는 이해관계자들에게만 유리하게 부가 이전되는 것은 법규범론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인수측면과 방어측면으로 나누어 부의 부당한 이전이 크게 우려되고 있는 몇 가지 M&A거래에서 우리법규범체계상의 문제점을 생각해보고 관련 쟁점에 관하여 주요 외국의 입법과 판례동향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부의 부당한 이전현상을 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합병가액 산정의 엄정한 공정성 확보 및 최소한 모자회사 또는 계열회사간 합병시 합병검사인제도의 도입, 축출합병에서 합병가액산정시 미래 합병시너지에 대하여 소수주주가 갖는 기대가치의 반영, 발행주식총수의 1/3이상 취득시 공개매수의 의무화를 통한 지배권 프리미엄의 분배, 정상기업에 대한 담보제공형 LBO가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치고 금융지원이 배당가능이익내인 경우에는 허용하는 방안, 합병형 LBO의 경우 특유한 절차를 명시하고 지배종속관계에서의 합병인 경우에는 합병검사인제도의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이사의 경영책임에 대한 경영판단원칙의 적용상 과제 - 미국 판례법과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

        송종준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7 No.4

        대법원이 수용하고 있는 경영판단원칙은 미국 판례법과는 적용요건과 증명책임의 분배 등의 면에서 상당히 엄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의 경우 경영판단원칙은 선관주의의무위반에 따른 경영책임으로부터 이사를 보호하는데 실질적으로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우리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우리 법원이 미국의 경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수준으로 경영판단원칙을 적용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사법정책적 과제라고 본다. 앞으로 경영판단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법원은 이사의 경영판단이 회사와 사적 이해충돌관계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궁극적으로는 경영판단의 절차적 측면에서 이사의 독립성이 인정되고, 아울러 전문가 집단에 의한 경영판단 내용의 객관적 검토를 거쳤다면 이를 신뢰하고 이사들이 최종적으로 결정한 경영판단내용에 대하여는 그 적정성, 합리성 여부에 대한 사법적 판단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회사의 지배구조 역시 투명한 형태로 재구성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영판단내용에 대한 법원의 개입을 완화할 경우에 경영판단원칙의 남용이 우려될 수 있지만 이사에게 그 적용요건에 대한 증명책임을 부과하게 되면 그 남용은 소송법적으로 적절히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사회의 경영권 방어조치 결정에 경영판단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법원이 지배권이나 경영권의 왜곡이라는 단순한 이유만으로 특정의 방어행위가 위법하다고 단정할 것이 아니라, 미국 판례법에서 제시된 바 있는 수정경영판단원칙의 적용요소들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방어를 위한 경영판단의 적법성을 심사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밖에 경영판단원칙은 재판규범에 해당하므로 이를 입법화하지 아니하고 법원이 사법정책적 견지에서 경영판단원칙의 취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전향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만약 입법으로 명시하는 경우에는 미국 법학원의 회사지배구조원칙이나 독일 주식법과 같이 법원의 심사대상을 경영판단절차의 합리성 여부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Korean Supreme court cases tend to apply the requirements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BJR) more strictly than the U.S. courts. This means that unlike the U.S, Korean BJR has not been substantially contributing to more actual protection of corporate directors from their personal management liability to the company. Such a result reminds us that the Supreme court needs to relax it's current stern reviewing attitude at a similar level of the U.S standards in view of judicial policy. It is desirable that the supreme court abstains from judicial review about the merits of the substance of the disinterested director's business judgments rationally made in faith for the best interests of company, as long as there is no taint of director's self-interests with the transactions and also corporate's outside professionals evaluated the reasonableness of the substance of the transactions objectively. Although abuse of the BJR would be concerned in case where the scope of court's ruling on the merits of director's duty of care is restricted as above, it could be properly controlled by imposing the burden of proof about the BJR requirements on the directors as defendants. Furthermore, in some hostile M&As, most of the Korean lower district courts have ruled the defensive tactics illegal simply because they distort the current corporate control power. But, the requirements of the modified business judgment rule,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Delaware Cases since 1985 and has been generally accepted as a legitimacy test of the control defense, should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judging the reasonableness of defenses in applying the BJR requirements. Finally, it is more promising that the courts improve the current ruling attitude in accordance with it's original purposes because it is characterized as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not a standard of conduct. But, if the BJR is to be codified in the commercial code, the court's judicial review should be limited only to the reasonablenes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uch codified examples as the ALI's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German Stock Corporation Act.

      • KCI등재

        證券集團訴訟의 發生要因分析과 法的 對應課題

        송종준 한국경영법률학회 2008 經營法律 Vol.18 No.2

        The Securities Class Action Act took effect on January 1 2007 to all of the listed companies, which was firstly effective on January 1 2005 only to the large scaled listed companies above 2,000 billion won in assets. The Act was modelled after the US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95.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Act is to prevent the damaged investors from abusing the class action. Nevertheless the class action can be easily arranged and taken under the current Act. The limitation of bringing a suit to three times within recent 3 years might not be enough to prevent from abusing the suit, as long as legal litigation causes are fulfilled. In suing damages by the reason of false or misleading disclosure in filling document, prospectus, or auditing report, the plaintiff has only to show that there have been only the illegal disclosure and the damages. In other words the plaintiff does not have to make evidence that he actually relied on the untrue disclosure. This is almost same in insider trading and manipulative actions. This paper suggests two kinds of legal responses to prevent abusing a suit. First is concerned with corporate management strategies. All of the listed companies have to structure the internal control systems, special litigation committee and in-house legal counsel as well as enhancement of the corporate disclosure systems not to be the target of the class actions. Second is related to legislative concerns. A limitation is to be placed on the maximum of compensation to be given to the lawyers in charge of the actions, and the power to place a limit should be given to the judge. The proportionate liability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measuring the damages caused by misrepresentation in filing document, prospectus and auditing reports. The current out-of pocket measure system should be reasonably modified for measuring the actual damages in misrepresentation cases. Moreover as long as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f company had been effectively operated in relation to compliance, due care should be presumed to be already exercised, which means that the plaintiff have to prove that the defendant is in breach of duty of care, and the defendant(s) is(are) immune from the liability of damages. Lastly, in the perspectives of judicial policy the court should review the litigation requirements of the class action strictly and show the greater role in balancing the protection of corporate management and investors.

      • KCI등재후보

        企業引受契約상 去來保護條項의 有效性 - 미국 판례의 태도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종준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4

        The deal protection clauses are referred to as a series of inserted clauses, like covenants concerning no-shop, lock-up, and break-up fees, to protect the original corpo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agreement from the third party’s bidding contest. Recently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clauses have been increasingly disputed and judicial general standards for testing the validity have been formulated especially in Delaware courts. The standards are classified as two approaches in the perspectives of contract law and corporate law. In determining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clauses, the doctrine of liquidated damages and unconscionability has been applied under the contract law, and business judgement rule, entire fairness test, Unocal and Revlon test, shareholder coercion standard and bidder preclusion standard have been done under the corporate law. Each standard depends on the facts and circumstances in the M&A agreement. In this paper the facts and courts decision of some leading cases are introduced somewhat in detail, which might be useful to negotiating the M&A agreement practices and to understanding the legal theories on the individual deal protection clause. And the general standards are based on the most of the precedents including the leading cases. In conclusion, although the American standards are not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w, some of which might be implicativ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deal protection clauses can not disregard the director’s fiduciary duty to the company, which is composed of duty of care and duty of loyalty under corporate law, because the clauses have only contractual binding forces to the contracting parties not corporate board of directors. Moreover public policies and the invalidating doctrine of excessively unfair contract as a general normative ruling under the private law are able to be applied to the clauses. Especially it is very impressive that traditional Unocal and Revlon test applied to the context of defending hostile M&A are already used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deal protection devices. 기업인수계약상 거래보호조항(deal protection clauses)이라 함은 경합하는 제3의 인수자로부터 우호적 인수자와의 거래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수계약에 삽입하는 우선협상의무(no-shop), 경쟁인수의 제한(lock-up), 위약금의 지급(break-up fee)에 관한 조항 등과 같은 일련의 규정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거래보호조항의 법적 효력에 관한 판례가 증가하고 있고 그 판단을 위한 일반원칙이 형성되 어 왔다.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판단에는 계약법상으로 손해배상액의 예정이론(liquidated damages)과 비양심성 법리(doctrine of unconscionability)가 적용되며, 회사법상으로는 경영판단원칙(business judgement rule), 완전공정성 기준(entire fairness test), Unocal 기준과 Revlon 기준, 주주강압기준(shareholder coercion standard), 경쟁인수자배제기준(bidder preclusion standard)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래보호조항의 효력을 결정하기 위한 일반기준을 정리하기에 앞서 거래보호조항의 개별 유형에 대한 지도적인 미국 판결례를 중심으로 그 사실관계와 판결요지를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여 기업인수계약실무는 물론 법리 분석의 이해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거래보호조항의 유효성 판단을 위한 일반기준은 개별적인 판결례를 포함하여 미국의 다양한 판례에서 제시된 법이론을 종합하여 체계화하였다. 미국의 판례법에서 형성된 법리가 우리나라의 계약법이나 회사법의 정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법의 해석에도 시사하는 점이 있다고 본다.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기업인수계약 당사자 간에 합의한 거래보호조항은 계약법적 효력에 그치므로 회사법상 이사가 기업인수와 관련하여 회사에 대하여 지는 선관주의의무와 충실의무에 반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이다. 그 밖에도 사법의 일반원칙으로서 거래보호조항의 효력 정도에 따라 신의칙, 불공정행위의 무효원칙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호적 인수계약에 포함되는 거래보호조항이 제3자의 경쟁적 인수를 배제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적대적 기업인수 방어의 적법성에 관한 일반기준으로서 Unocal 기준과 Revlon 기준이 적용된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상법상 워런트 도입을 위한 입법 모델 연구 -Equity Warrant를 중심으로-

        송종준 한국증권법학회 2010 증권법연구 Vol.11 No.3

        It would be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quity warrant can not be issued by the issuing company of the underlying securities under the Korea Commercial Act and so called the Capital Market Act. The equity, defined as an option for the holders of the securities or the right to subscribe the new shares or to purchase the company's own stocks, has some functions of raising the capital, enlarging the investment instrument and defending against the hostile corporate acquisitions. This paper suggests a legislative model for implementing the equity warrant in the Korea Commercial Act, which has long been issued, listed and traded on the open market in the countries having highly developed capital market as in the England, America, Japan and France. In this model, the warrant system in the French Commercial Code is referred to as an useful legislative example, because it is quite similar to the Korean legislative regime for the company's capital raising. And some provisions relating to the Japanese warrant under its Company Act are analysed in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s. The two countries' legislative models are reasonably moderated and introduced in harmonization with the current capital raising system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Korea Commercial Act. This paper recommends a variety of suggestions in detail for the future legislation, which cover with the definition of the equity warrant, appropriate procedural requirements for its issuing, transferring and listing, rules for the exercise of the option, and disclosure requirements including its registering, etc. Lastly, some similar overlapping provisions relating to the stock option, convertible bonds and bonds with stock purchase warrant under the current Commercial Act including some rules for the defensive warrant so called poison pill under the bill Act, are fundamentally reorganized. 현행 상법과 자본시장법에 의하면 주식인수형 워런트(equity warrant)를 발행할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식인수형 워런트는 기초증권 발행회사의 신주를 인수하거나 자기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워런트를 뜻하며, 이것은 자본조달기능, 투자목적 및 적대적 기업인수에 대한 방어수단으로서 활용될 가치가 있는 새로운 유가증권이다. 이 논문에서는 자본시장이 발달한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 널리 발행되어 유통되고 있는 주식인수형 워런트의 상법상 도입을 위한 입법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입법 모델에서는 상법과 회사의 자본조달체계가 유사한 프랑스 상법의 입법틀을 참고하고 일본 회사법상 신주예약권제도에 관한 관련 규정들을 비교법적으로 분석하여 상법의 체계와 이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입법 모델에서는 주식인수형 워런트를 신주인수선택권이라는 용어로 통일하고 이에 대한 정의 규정을 두며, 신주인수선택권의 도입방식, 발행, 유통, 행사 및 공시와 관리 등으로 구분하여 입법에서 담아야 할 기본틀과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