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현감각: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송원진 ( Won Jin Song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뉴미디어 예술을 경험할 때 인간의 신체와 정신, 뉴미디어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험을 ‘체현감각(Embodied Sense)’이라 부를 수 있음을 제안하고, 동시대 뉴미디어 예술작품들을 사례로 분석하여 체현감각의 이해를 구체화 한다.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인지 언어학자인 조지 레이코프(George P. Lakoff)는 인간의 감각이 단순히 물리적 신체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주장했고,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언(Marshall McLuhan) 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의 감각이 확장됨을 주장했다. 이러한 인간의 감각과 미디어에 관한 두 가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뉴미디어 예술에서 인간의 신체, 이성, 미디어를 구분하는 것보다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고, 이를 체현감각으로 부르고자 한다. 또한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서 이러한 체현감각의 특성을 ‘행위자와 환경의 구조적 결합(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사회·문화적 맥락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정보·가상세계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의 세 가지로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동시대의 뉴미디어 예술작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뉴미디어 예술작품에서 신체를 통한 감상이 물리적인 반응이라는 우려를 넘어 기존의 감각과는 다른 체현감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이고, 다양한 현상을 포함하며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예술에서 상호작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적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about a new term of ‘Embodied Sense.`` It is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can be experienced when new media ar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body, spirit and new media. By analyzing of some cases of new media art works of contemporary, it will be concretized. Phenomenological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and George P. Lakoff, cognitive linguist claimed that human senses are not simply created by the physical body. Also, philosopher of communication theory, Marshall McLuhan argued human have already extended their senses and nerves by the various media. Based on those theories, I argue that we’d better to focus on various phenomena of human senses by interac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new media art than dividing to human body, spirit and technology. The character of Embodied Sense in new media art works would be divided three parts; 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 I analyze these cases of contemporary new media art works. This study shows the appreciation through body is not physical reaction but the approaching to embodied sense differentiated as standard one. Moreover, this will provide new analytic frame of interaction that contains variety of phenomena.

      • KCI등재

        텔레마틱 인터페이스의 예술적 변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송원진 ( Won Jin Song ),윤준성 ( Jun Sung Yoon ),김인섭 ( In Seob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4

        본 논문은, 디지털 기술들의 긴밀한 간섭에 위치한 새로운 매체들이 물리적 거리 극복의 갈망을 현실 세계에서 지각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 이로 인해 생겨난 새로운 관계망적 가능성을 실질적인 예술작품을 통하여 논구하고자 한다. 빌렘 플루서(Vil?m Flusser)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담론형 매체에서 대화형 매체로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 고찰을 위해, 본 논문은, 텔레마틱스 (Telematics)라는 물리적 거리 극복의 열망을 기반으로,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매체이용이라는 표면적 변화와 내적으로 일어난 감상자의 역할 구조 변화를 관계하여 논구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구조의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매체는 ‘텔레마틱 인터페이스 (Telematic Interface)``라고 부를 것이며, 이것은 현재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뉴미디어, 컴퓨터미디어, 인터넷 등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텔레마틱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작품들의 고찰과 분석은 공간적, 시간적 거리에 대한 논의와 그로 인한 새로운 관계망에 대한 실증을 제공할 것이다. New media(Digital technology to interfere with it) can be perceived the desire that overcomes the physical distance in the real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 possibilities arising therefrom networks through works of art. Vil?m Flusser argues that the discourse of media changes structurally into the interactive media In the medium of human communication. I will discuss that the use of media art, new media, with the change in the surface area caused by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nge and the role of viewers. These roles led to structural changes that the new media will be called as ``telematic interface``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interchangeably for the new media, computer media, the Internet, such as comprehensive means and designations of the purpose. Telematic interface that is based on the study and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of the artwork, will provide proofs for the consequent discussion on the new networks.

      • KCI등재

        불확정적 행위자와의 네트워크: 뉴미디어 예술에서 자연의 함의

        송원진 ( Won Jin S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최근 뉴미디어 예술 작품에서 구름, 곤충, 바람 등의 자연적 요소들이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종종 목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입이 나타나는 여러 작품을 사례로 분석하여 불확정적 행위자와의 네트워크라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뉴미디어 예술을 정보미학 관점에서의 예술사의 한 맥락으로 설명한다. 이를 통해 ‘미학과 정보의 관계’와 ‘고전미학에서 현대미학으로 변화’가 밀접하게 관계됨을 알 수 있다. 고전미학은 절대적 자연을 재현하는 것이었다면 현대미학은 예술 작품도 자연의 불확정성(uncertainty)을 획득하는 특징이 있다. 뉴미디어 예술은 미학요소로불확정성을 창조하기도 하고, 생성 예술(generative art)은 스스로 생성 가능한 자율적 체계를 창조하기도 한다. 인간과비인간 사이에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주목하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을 바탕으로 최근 뉴미디어 예술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자연적 요소가 인간, 기술과 더불어 불확정적 행위자로써의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뉴미디어 예술에서 보다 확장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미학과 사회적 관점, 과학적 가치 등이 섬세하게 얽혀있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러한 뉴미디어 예술에서 새로운 실험과 연계들이 과학적 가치와 사회적 역할, 문화 예술적 변형이 각기 다른 영역이 아니라는 학제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음 알 수 있다. In recent new media art works, natural factors such as clouds, insects, and wind can be seen actively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rtwork. This study interprets such intervention as the structure of a new expended network. First, it explains new media art which includes natural elements and phenomena as a context of art history at the informa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s and information’ and ‘the change from classic aesthetics to modern aesthetics’ are closely related. If classic aesthetics was the representation of absolute nature, then modern aesthetics has the characteristic of acquiring uncertainty of nature in its art works. With the appearance of uncertainty and practical examples as abstract art and happening in modern aesthetics, the meaning of uncertainty in new media art is given reconsideration. New media art is also creating uncertainty as an aesthetic element. Generative art has also created a self-created as an autonomous system. Also, natural factors which are actively intervening in recent new media art are interacting with human and technology as uncertain agents based on actor-network theory(ANT) which gives attention to networks formed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nd they are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ore expanded networks in new media art. In this study, it proves that aesthetics, social point of view, such as the scientific value has been intertwined delicate by connecting the role of nature in new media art and ANT. In this paper, a new experiment of these new media art is meaningful in order to prove that the enclosing interdisciplinary value there is no area in which scientific value and social role, deformation of culture and art is different.

      • 최중증장애인을 위한 식사보조로봇의 입력장치

        송원경(Won-Kyung Song),권기범(Kibum Kwon),송원진(Won-Jin Song),안광옥(Kwang-Ok An),김종배(Jongbae Kim)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에서는 상지의 움직임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하여 끈적이는 밥을 포함한 한식 대응이 가능한 식사보조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식사보조로봇으로 중증장애인도 본인의 의지를 바탕으로 먹고 싶은 음식을 먹고 싶을 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증장애인의 사용자 테스트에 의하면 식사보조로봇의 입력장치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버튼형 입력장치와 조이스틱형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식사보조로봇과 연결하여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중증 장애인이 편리하게 식사하기에 용이한 조이스틱 중심의 입력장치의 주요 인자를 도출하였다.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s developing a self-feeding robot that handles Korean food including sticky ric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f upper limbs. Self-feeding robot supports users to eat the chosen food when they want it. In accordance with usability tests of the self-feeding robot, the input device is one of important parts. We analyze pros and cons of input device using buttons and joysticks. We extract core factors of comfortable joystick-typed input device

      • 최중증 장애인을 위한 식사보조로봇의 사용성 테스트

        김예일(Yale Kim),송원경(Won-Kyung Song),송원진(Won-Jin Song),김종배(Jongbae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에서는 상지의 움직임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하여 끈적이는 밥을 포함한 한식 대응이 가능한 식사보조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사보조로봇의 사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용화된 식사보조로봇과 자체 개발된 식사보조로봇(1,2차 버전)에 대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식사보조로봇에 대한 외관의 선호도, 수행도 및 만족도 평가는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상용화된 식사보조로봇은 현재 개발된 일본 Secom 사의 'MySpoon'을 선정하였다 각각 식사보조로봇을 분석 평가한 결과, 외관의 선호도 평가는 MySpoon이 높은 반면에, 수행도와 만족도 평가는 자체 개발된 식사보조로봇(2차 버전)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재활연구소가 개발한 식사보조로봇이 향상되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인 중증장애인에게 받은 피드백을 통해 식사보조로봇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N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is developing a self-feeding robot(KRNC) that handles Korean food including sticky r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upper limbs. In this paper, the usability of user is analyzed between commercialized self-feeding system and developed self-feeding robots(KRNC) for the confirmation of usability. Questionnaire survey for 8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is investiga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of appear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bout a self-feeding robot. The 'MySpoon (SECOM, Inc., Japan)' was selected in order to compare with developed self-feeding robot (first and second version) as a commercialized product. In the result of usability test, My Spoon is ranked first in the average score of appearance. However, KRNC self-feeding robot version 2 is ranked first in the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 are improving the usability of KNRC self-feeding robots on the basis of users'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