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물수지방법과 에디공분산방법에 의한 실제증발산 추정량의 비교 : 설마천,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철상(Yoo, Chulsang),송성욱(Song, Sunguk),이문석(Lee, Munseok),김소은(Kim, Soeu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방법에 근거한 실제증발산량과 에디공분산방법으로 관측된 실제증발산량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대상 지역은 에디공분산방법으로 실제증발산량의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이한 지역 특성을 갖는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수문기상 자료는 2010년부터 2018년 사이의 10분 단위 강수량, 유출고, 실제증발산량으로 수집된 모든 자료는 연단위로 합산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단위의 분석에서 에디공분산방법으로 관측된 실제증발산량과 물수지방법에 근거한 실제증발산량이 상당히 유사한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월단위 손실량과 실제증발산량의 차이는 연중 변동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단위에서는 유사한 값을 갖게 된다는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월단위 손실량과 실제증발산량의 차이는 월평균기온이나 월강수일수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중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여름철 우기에 다가갈수록 그 변동성이 아주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두 자료 사이의 차이가 분명 존재하기는 하지만 연단위에서는 두 자료 사이의 유사성이 상당하여 유역을 대표하는 실제증발산량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estimated using the water balance and eddy-covariance methods were compared. Two different basins, i.e., the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basins, were selected, and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was observed using the eddy-covariance method. The rainfall, runoff depth,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between 2010 and 2018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ily evapotranspiration data and 10-minute rainfall and runoff data were then accumulated to analyze the annua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unt obtained using the eddy-covariance method was somewhat close to that using the water balance method. This result is interesting, as the monthly vari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was hi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monthly evapotranspiration and the total loss was not influenced by monthly temperature and rainfall. This tendency was the same throughout the year, but the variation increased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In conclusion, both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estimated using the water balance and eddy-covariance methods can be used as representative annual values for the basin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ata sets.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의 장기 수문순환 평가

        김소은(Soeun Kim),유철상(Chulsang Yoo),이문석(Munseok Lee),송성욱(Sunguk Song)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의 장기 수문순환을 비교하였다. 이 두 유역은 특히토지이용에서 다른 특성을 보인다. 두 유역은 강우, 유출 자료뿐만 아니라 에디공분산방법으로 측정한 실제증발산량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강수량, 유출고, 실제증발산량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총 9개년 자료이다. 구조방정식모형의 구조는 기존 수문지식과 자료들 사이의 상관분석을 기반으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세 개의구조방정식모형을 순차적으로 적용해 가며 그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공교롭게도 적용된 모형에 따라 두 유역의 수문순환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도, 상이한 것으로도 판단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강수-증발산 사이의 되먹임 과정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두 유역이 상이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농지(논)의 비율이 40% 이상인 청미천 유역에서는 강우와 증발산 사이의 되먹임 과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s the long-term hydrological cycles of the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basin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se two basins are found different especially in their land-use pattern. Both basins hav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measured by the eddy-covariance method as well as the rainfall and runoff data. The length of the data considered in this study is nine years from 2010 to 2018. The structure of the SEM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data as well as the general knowledge on the hydrological cycle. As a result, a total of three SEMs are applied sequentially to analyze their fittings. As irony would have it, two basins are found to be similar in the application of one SEM, but different in the application of another.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feedback process betwee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wo basins are found to be very different. That is, the feedback process betwee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Cheongmicheon basin where the portion of agricultural area (i.e., paddy) is more than 40%.

      • KCI등재

        조선시대 영웅소설과 슈퍼히어로

        송성욱 ( Song¸ Sung-uk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49 No.-

        이 논문에서는 서양 슈퍼히어로 이야기의 원조이자 상징인 일련의 <슈퍼맨〉시리즈를 중심에 놓고, <어벤저스〉등 다른 작품을 보조 적으로 활용하여 우리 영웅소설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영웅소설 중에서는 초기 영웅소설인 <홍길동전〉, 중간 단계인 <소대성전〉, 전성기 작품인 <유충렬전〉을 주요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영웅 소설의 천상과 지상, 슈퍼히어로의 외계와 지구라는 공간 설정의 문제를 비교하였다. 영웅소설은 애초에 수직적 관계로 인식되었던 천상과 지상을 수평적으로 형상화하려고 한다면, 슈퍼히어로 이야기에서는 원래 수평적으로 인식되었던 외계와 지구를 수직적으로 형상화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캐릭터 설정 문제에서는 슈퍼히어로 논의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타자화’의 개념과 영웅소설의 주요 의미망 중의 하나인 가문성의 측면에서 따져 보았다. 슈퍼히어로는 한결같이 타자화를 경험한다는 점에서 홍길동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였지만, 슈퍼히어로의 타자화는 이중적 자아의 갈등과 중첩되어 있다는 점에서 홍길동과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화를 해결하는 방식에서는 홍길동보다는 오히려 타자화 경험이 거의 없는 소대성에 더 가까운 일면을 보였다. 그리고 캐릭터와 공간 설정의 문제를 동시에 따져 보면 슈퍼히어로는 존재 방식의 측면에서는 이원적 구조를 지니는 〈유충렬전〉보다는〈홍길동전〉에 더 가깝고, 공간 설정에서는 <소대성전〉이나 <유충렬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일원론 개념을 이원론적으로 풀어낸 것이 슈퍼히어로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겠다. 가족성의 측면에서는, 슈퍼히어로 이야기에서 가족성은 어디까지나 아버지라는 개체와 아들이라는 개체의 개별적 인연으로만 그 의미가 국한되었다. 이 모습은 적강한 존재이지만 현생에서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혈연 관계를 유지하는 영웅소설과는 확실히 다른 양상이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compare modern Western superhero stories with Joseon-era hero novel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ero novels as Korean superhero stories, as well as to explore new ways to educate classical novels. This article focused on a series of Superman series, the origin and symbol of Westem superhero stories, and used other works such as Avengers> to compare and analyze our hero novels. Among the hero novels, early hero novels such as Hong Gil-dongjeon, mid-stage "Sodae Seongjeon" and heyday "Yoo Chung-ryeoljeon" were selected as the main subjects of comparison.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aspect of the term "worldview" mentioned in the superhero story, and compared it with the hero novel according to this concept. In particular, the superhero story focused on the story of Superman, the founder and symbolic character of the story. The story, which became famous in 1978 for the movie Superman, has continued to seek changes in the narrative structure for more than 40 years until recently, and the worldview has expanded accordingl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story has shown an interesting aspect that is quite similar but fundamentally different compared to our hero novels. In other words, "Superman" and hero novels have a very similar composition, but the existence of red-river motifs, the existence of direct-bom motifs, and family nature can be seen as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entire work. This was also the reason why the hero novel's main character could not be named as a superhero. We also discussed that our hero novels have a good chance of becoming Korean superhero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