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하지 않은 설교』제3권(1889)을 중심으로 살펴 본 조지 맥도날드의 신학 사상

        송동민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20세기의 중요한 기독교 변증가들 중 하나인 체스터턴과 C. S. 루이스는 자신의 신앙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끼친 인물 중 하나로 조지 맥도날드를 꼽는다. C. S. 루이스는 조지 맥도날드를 자신의 영적인 스승으로 삼고 있을 정도이다. 그렇다면, 조지 맥도날드는 어떤 인물이기에 그런 영향을 그들에게 끼칠 수 있었을까? 이 논문은 이 질문을 염두에 두고, 그의 주된 저서 중 하나인 『전하지 않은 설교』( Unspoken Sermons) 제3권에 실린 열두 편의 설교 중 여섯 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지 맥도날드의 삶과 신학 사상에 대해 탐구한다. 맥도날드가 살았던 19세기 당시의 스코틀랜드는 엄격한 칼빈주의 신학과신앙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맥도날드는 칼빈주의 기독교의 엄격성에반감을 품었고, 그 대신 19세기 당시 영국에 깊은 영향을 끼친 콜러릿지와 워즈워스의 낭만주의 신학과 문학적 세계관을 따라갔다. 이들의 낭만주의에 영향을 받은 맥도날드는 신학과 문학 모두에서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가 맥도날드의 신학을 살펴볼 때, 우리는 그의 신학 밑바닥에 깔린 그의 창조적 상상력이 그의 신학을 매우 아름다운 것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기계적인 합리성을 중시하는 계몽주의의 세계관과는 달리, 맥도날드의 세계관은 삼위일체적이고 인격적인 하나님의 존재를 그 토대로 삼고 있다. 또 그는 하나님이 지니신 사랑의 본성을 중시한다. 하나님이 참된 사랑이 시기 때문에, 우리는 기쁨과 소망을 가지고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 맥도날드는 이 우주의 본질인 하나님의 사랑에 가까이 다가가는 통로로서 어린아이처럼 순수한 마음과 시적인 상상력을 중시한다. 맥도날드는 시적인 상상력을 과학적 합리성과 구분하고, 전자를 더 높은 차원의 실재로 간주한다. 이를 통해 맥도날드는 현대 세계에서 기독교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맥도날드는 기독교 신앙이 지닌 전인격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우리는 하나님께 순종함으로써만 참으로 인간답게 존재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기독교신앙의 본질은 우리 자신의 이기적인 본성에 대하여 죽고 하나님과 이웃을 향하여 살아가는 데 있다. 그런데 맥도날드는 신약 성경에 분명히 표현된 대리적 속죄나 전가된 의의교리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인다.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그는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어린아이같이 순수한 마음의 상태를 지나치게 높이는 경향이 있다. 그는 그리스도의 대리적 속죄가 지니는 효과를 염두에 두지 않고도, 그저 우리 자신의 회개만으로 하나님의 즉각적인 용서를 받을 수 있다고 여긴다. 맥도날드는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되었다는 사실이 우리의 신앙과 삶에 지니는 근본적인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맥도날드의 신학은 성경적인 삼위일체의 교리와 창조의 교리를 충실하게 따르는 면에서 좋은 신학이다. 그리고 그는 창의적인 상상력을 사용해서 기독교 신앙을 아름답게 제시하고 전달한다. 그렇지만 속죄와 칭의 등과 같이 구원론의 핵심이 되는 교리들을 다룰 때, 그는 균형을 잃고 편견에 치우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창의적인 상상력이나 문학적 아름다움과 같이 그가 보여 주는 장점들을 잘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동시에, 그가 보여 주는 구원론의 불균형은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욱 성경적인 기독교를 유지하고 심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G. K. Chesterton and C. S. Lewis, two of the most important apologists for Christian faith in 20th century, commented that George MacDonald exerted a deep influence towards their faith and literary activities. In fact, C. S. Lewis even confessed that MacDonald was his spiritual mento throughout his life. Then, who was George MacDonald, who made such a huge influence towards them?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life and theology of George MacDonald with the purpose of answering this question by analyzing six sermons which are included in Unspoken Sermons, vol. 3, one of his major works. In 19th century Scotland, a strict kind of Calvinistic theology and faith was dominant one. However, MacDonald had an antipathy to its strictness, and instead favored the Romantic theology and worldview of Coleridge and Wordsworth who made a deep influence towards 19th century culture of England. Due to their influence, MacDonald laid stress on the place of imagination both in theology and literature. When we examine MacDonald's theology, we can find out that the creative imagination which lies at the foundation of his theology makes it so beautiful one. In opposition to the Enlightenment worldview which puts stress on mechanical rationality, MacDonald's worldview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 triune and personal God as its foundation. In MacDonald's thoughts, the essence of God's character is love. Since God is true love, we can live in this world with joy and hope. MacDonald emphasizes a childlike heart and poetic imagination as the ways to approach the love of God, which is the essence of this universe. He distinguishes poetic imagination from scientific rationality, and regards the former as a reality on a higher level. By doing so, MacDonald attempts to preserve a place for Christianity in the modern world. Moreover, MacDonald insists that Christian faith is the matter of the whole personality. According to him, the obedience towards God is the only way in which we can truly live as human beings.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lies in dying to our selfish nature and living towards God and our neighbor. However, MacDonald shows a problematic stance when he rejects the doctrines of vicarious satisfaction and imputed righteousness, both of which are clearly expressed in New Testament. Being influenced by Romanticism, he shows a tendency to elevate the worth of a childlike heart too much. MacDonald believes in effect that we can obtain God's forgiveness just on the ground of our repentance,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Christ's vicarious satisfaction. He does not realize that the imputed righteousness of Christ is so fundamentally important for our life and faith. In conclusion, George MacDonald's theology is a good one, so far as he tries honestly to follow the biblical doctrines of trinity and creation. He communicates the vision of Christian faith so beautifully by using his creative imagination. However, when he deals with the essential doctrines for our salvation, such as atonement and justification, he shows a tendency to be partial and obscurant. Therefore, while we should make efforts to learn from his creative imagination and literary gifts, we should also take care to remedy his errors concerning the doctrines of salvation so that we could preserv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biblical Christianity.

      • KCI등재후보

        현대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한글제목

        송동민 ( Dong Min S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2 기독교철학 Vol.14 No.-

        In the early 20th century, Benjamin Warfield criticized Abraham Kuyper`s theology as being irrational. He thought that Kuyper ignored the role of apologetics which is to defend Christianity by rational proofs. In a similar context, Fuller and Gardiner also argued that Kuyper`s thought does not make a clear knowldge of God possible, and that what can we gain from his thought is mere blind faith,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Kuyper`s theological epistemology has a clear rationality, and that a sure knowledge of God can be established in his theology, According to Kuyper, to have knowledge of something is to perceive it clearly. The subject of knowledge is human beings, and its object is the entire universe. In order to gain knowledge of universe, we depend on perception and reasoning. The starting point of knowledge is our self-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is connected to the outer world by the function of faith. According to him, our scientific activity is the process of finding out God`s thought embodied in this universe. Since God created this universe as an organic whole, we should investigate the universe with our organic thoughts. As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consciousnesses of the people who were regenerated by the work of Holy Spirit and the people who were not, Kuyper insist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sciences. Kuyper also defines theology as the revealed knowledge of the mystery of the Threefold Being of God. He divides theology into two kinds: the knowledge of God itself and the scientific activity to obtain that knowledge. Since we cannot comprehend God by our own capacity, the knowledge of God should be given to us by his revelation. As a scientific activity, theology has a logical character as other disciplines do. However, while other disciplines depend on human observations and reasonings, theology essentially relies on God`s revelation. Theological investigations can be rightly pursued only by the people who were regenerated by the Holy Spirit. As the result of the regeneration, human beings become able to do true theology using the reason rightly. Since the knowledge of God depends on his revelation, Kuyper does not regards the apologetic efforts to establish truthfulness of Christianity on the basis of reason as praiseworthy, He believes that if we do not presuppose the revealed truth, we cannot attain the truth by human reason alone. However, he recognizes the fact that theology as a science should be pursued by logical thinking and reasonings. He insists that Christian scholars should richly demonstrate the truths of Christianity by using the gifts of reasoning given to them. In this way, Kuyper maintains a well-balanced perspective on the matter of faith and reason, and his theology exhibits a sound rationality.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 :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의 윤리 사상에 관한 한 탐구 -『참된 미덕의 본질』과 『순진한 기독교』를 중심으로-

        송동민 ( Dong Min S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6 No.-

        기독교 사상가로서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는 둘 다 기독교적인 윤리에 깊은 관심을 보였을 뿐 아니라, 영국적 사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에드워즈는 청교도적 칼빈주의의 후예인 반면, C. S. 루이스는 성공회에 속한 평신도로서 좀 더 중세적인 인간관을 드러내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와 C. S. 루이스의 주저 Mere Christianity를 중심으로, 두 사상가의 기독교 윤리관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논의해 보았다.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에서는 몇 가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다. ‘참된 미덕’, ‘2차적 아름다움’, ‘자기애’, ‘자연적 양심’, ‘자연적 본능’ 등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참된 미덕’은 곧 존재 전반을 향한 자애( )에서 나타난다. ‘존재전반’은 곧 기독교의 하나님을 뜻하며, 기독교의 하나님을 향한 참된사랑은 1차적인 도덕적 아름다움이 된다. ‘2차적 아름다움’은 자연세계 전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물들의 조화와 일치 속에서 나타난다. 단순한 의미에서 ‘자기애’( )는 ‘자신의 행복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사람이 다른 존재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할 때, 그것은 부정적인 의미의 ‘자기애’가 된다. 또 ‘자연적양심’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자신이 대우받기를 원하는 대로 타인을 대우하는 성향, (2) 모든 미덕과 악에 대해 그에 합당한 몫을 주고자 하는 성향이다. ‘자연적 본능’은 특정 대상에 대해 자연 법칙에 따라 특정한 반응을 보이게끔 하는 성향이다. C. S. 루이스의 Mere Christianity에서 우선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자연법의 실재이다. 루이스는 기독교의 하나님이 인간 본성 속에 항구적인 도덕법을 심어 놓으셨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하나님이 처음 창조하신 상태에서 타락했으며, 그 결과 지속적으로 그 도덕법을 깨뜨리며 산다. 오직 그리스도와의 바른 관계 속에 들어갈 때에만 우리는 하나님과 화목할 수 있으며, 도덕법을 지킬 수 있다. 그리고 루이스는 윤리를 세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부분이다. 둘째는 개인적인 것으로서, 인격 내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는 종교적인 것으로서, 인간 삶의 의미 전체와 관련되는 것이며 창조주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난다. 그런데 루이스는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우리가 정말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믿어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에드워즈와 루이스는 기독교 윤리와 일반 윤리가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데에 동의한다. 하지만 그들은 기독교 윤리에서 자연과 은혜의 관계에 대해 다른 생각을 지니고 있다. 에드워즈는 칼빈주의자로서 자연적 도덕성과 기독교적인참된 미덕을 날카롭게 구별한다. 이에 반해 루이스는 중세적인 자연법 사상을 따르면서 신자와 불신자 모두가 동일한 도덕적 능력을 지닌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강조하는 반면, 루이스는 좀더 인간에게 초점을 맞추는 성향을 보인다. 이를통해 루이스는 기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이 기독교에 다가갈 수 있는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하지만,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한편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본질을 잘 보여 주지만, 그의 사상은 불신자들이 이해하고 따르기가 다소 어려운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As Christian thinkers, Jonathan Edwards and C.S. Lewi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they both had deep interest in Christian ethics,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British thought. However, they shows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while Edwards was an heir of puritan Calvinism, C.S. Lewis was a layman who belonged to the Anglican church and demonstrated a more medieval view of humanit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thical thoughts-focusing upon Edwards`s dissertation The Nature of True Virtue and C.S. Lewis`s book Mere Christianity. In The Nature of True Virtue, Edwards advances his argument by focusing upon several important concepts: ``true virtue,` ``secondary beauty,`` ``self-love,`` ``natural conscience,`` and ``natural instincts.`` According to Edwards, ``true virtue`` is demonstrated by a benevolence toward the being in general. This ``being in general`` means God of Christianity, and a true love towards God of Christianity becomes a primary moral beauty. ``Secondary beauty`` exists in the whole natural world, and demonstrates itself in the harmonies and agreements between various objects. In a simple sense, ``self-love`` means ``loving one``s own happiness.`` However, when a person does not respect others`` well-being and pursues his own interest only, it becomes a ``self-love`` in a negative sense. ``Natural conscience`` is consisted of two things: (1) a disposition which tends to deal with other persons just as a person oneself wants to be dealt with, and (2) a disposition which wants to give its proper due to every acts of virtue and evil. ``Natual instincts`` are the dispositions which make us show particular reactions toward particular objects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n Mere Christianity, what becomes clear at first is the reality of natural law. Lewis insists that God of Christianity planted a permanent moral law within human nature. Human beings fell down from the original state of creation. As a result, they continuously break the law. Only when they enter into the right relationship with Christ, they can be reconciled with God and keep the moral law. Lewis divides ethics into three areas. First one is the social area, in which the ethics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Second one is the individual area, and here ethics is related to the matter how can we sustain the inner-personal balance. Third one is the religious area, in which ethics deals with the whole meaning of human lives and demonstrates its ess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our Creator. While Lew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thics, he clearly asserts that in order to be justified before God, we should put our trust in Christ. Edwards and Lewis agree on the fact that Christian ethics and non-Christian ethics show an essential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they have different idea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grace in Christian ethics. As a firm Calvinist, Edwards sharply distinguishes between natural morality and a true virtue in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s, Lewis tends to follow the medieval thought of natural law and regards both believers and non-believers as having the same moral capacities. Also, while Edwards puts stress upon the God-centered character of Christian ethics, Lewis shows a more human-focused point of view. As a result, Lewis succeeds to gain a wide sympathy of unbelievers, but fails to demonstrate the God-centered essence of Christian ethics more clearly. Conversely, while Edwards communicates the nature of Christian ethics properly, his ideas are expressed in a way somewhat difficult for unbelievers to understand and accept.

      •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와 비판

        송동민 ( Dong Min Song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이 글의 목적은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사상을 이해하고 기독교적으로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가다머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해석학자로서, 후설과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그의 주저 『진리와 방법』 을 통해 사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는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의 영향을 받은 낭만주의적 전통의 해석학을 벗어나서, 하이데거의 사상을 좇아 해석학의 존재론적인 전환을 시도하였다. `영향사적 의식`, `지평 융합` 등의 개념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 그리고 우리 자신의 이해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자인 가다머의 해체주의적인 사상을 극복하고 전통과 공동체, 텍스트의 통일성을 존중했다는 점에서 유익한 사상가이다. 또한 그는 대화와 이해를 중시하였고, 실천적인덕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해체되어 가는 사회 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데도 유익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는 이 과학지상주의 시대에 과학만으로 규명되지 않는 더 본질적인 진리가 존재한다는것을 해석학적으로 잘 규명해 내었다. 그러나 그는 언어의 존재성을 지나치게 확장시켰으며, 이성의 객관적인 비판 기능을 약화시켰고, 윤리적인 잣대를 분명하게 설정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그는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아 역사와 전통의 위상을 지나치게 절대화시킴으로써, 그 너머에 계시는 초월적인 주권자 하나님을 온전하게 인정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했다.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Hans George Gadamer and appreciating his though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Gadam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 in hermeneutics in 20th century. His major work Truth and Method, which was influenced by Husserl and Heidegger, had a huge effect on 20th century thoughts. He departed from the Romantic tradition of Schleiermacher and Dilthey, and attempted an ontological shift of hermeneutics as he follows Heidegger`s thought. He tried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hermeneut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present by using his own terms `the historically effected consciousness` and `fusion of horizons`. He was right in preserving the value of tradition, community, and the unity of a text against the deconstructive thought of Jacque Derrida, who is a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 He also regarded conversation and understanding as important, and he laid a stress on practical virtue. In this way, he can contribute well to reunite the social community which is being split today. He explained that there exist more fundamental truths which cannot be found out by scientific methods. However, he made the being of language too much important, and weakened the objective ability of human reasoning. He could not establish the ethical standards clearly. Most of all, as he elevated the position of history and tradition to such an absolute authority by the influence of Heidegger, he made a big mistake of ignoring the transcendent sovereign God, who is above all these things.

      • 비주기 메시지의 스케쥴링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TTCAN 스케쥴링 알고리즘

        송동민(Dongmin Song),유민수(Minsoo Ryu)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Time-Triggered Controller Area Network is widely accepted as a viable solution for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in-vehicle communications. However, although TTCAN has been designed to support both periodic and sporadic real-time messages,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providing deterministic real-time guarantees for periodic messages while barely addressing the performance issue of sporadic message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 (n²) scheduling algorithm that can minimize the maximum duration of exclusive windows occupied by periodic messages, thereby minimizing the worst-case scheduling delays experienced by sporadic messages.

      • 실시간성 향상을 위한 TTCAN 메시지 스케줄링 최적화 방법

        송동민(Dongmin Song),유민수(Minsoo Ryu)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8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8 No.2

        Event-Triggered Protocol인 Controller Area Network(CAN)은 비트 중재(Bitwise Arbitration)하에서 불필요한 버스 액세스를 위한 중재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지연시간이 메시지의 전송 시간 데드라인을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Time-Triggered CAN은 jitter에 의한 지연시간을 줄이고, 데드라인은 보장한다. 현재까지 TTCAN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케줄링 방식들은 주기 메시지 영역인 exclusive window 내에서의 메시지 스케줄링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따라서 Event-Triggered message에 대한 응답성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grouping algorithm을 통해 메시지 저리의 응답성을 향상시켜 시스템 전체적인 실시간성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