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무역협회통보』를 통해본 중일전쟁시기 조선의 對中貿易

        송규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3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by analyzing the China-related items recorded in the Chosun Trade Association Reports. Not only did the Chinese tariff rates drop after the Japanese imperialists administered the Chinese customs, but the goods used by the Japanese army were not subject to customs duties. Therefore, this change created favorable conditions for Chosun’s export to China. In April 1941,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established the Chosun-East Asia Trade Co., Ltd. to manage the trade-related affairs in a unified manner. In addition,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established an exporters association to coordinate the export-related affairs in the Yen Bloc and open new markets. A huge union was also established as a centrally controlled organization of traders from all over China. The Chosun Trade Association sent an official to the occupied area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situation in detail and adopted measures to promote exports, such as hosting trade fairs.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also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transportation capacities in the occupied areas of China by expanding the transportation routes and unifying the transportation systems. As a result of efforts made by Japanese imperialist institutions to promote the stable distribution of war logistics, trade between Chosun and China had remarkably increas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it was the Japanese who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trade between Chosun and China and the Chosun businessmen who wanted t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could not overcome ethnic discrimination 이 글은 조선무역협회에서 간행한 『조선무역협회통보』에 수록된 중국관련 항목을 분석하여 중일전쟁시기의 조중무역을 분석한 것이다. 일제가 중국해관을 접수한 이후 중국관세율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일본군에게 필요한 물자는 관세를 적용받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조중무역은 유리한 여건을 갖게 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41년 4월에 ‘조선동아무역주식회사’를 설립하여 무역관계사업을 통일적으로 관리하고자 했다. 또한 엔블록 수출을 조정하고 판로개척, 거래알선을 위해 수출조합도 창립했으며 중국 각지에서 무역업자의 중앙통제기구로 거대조합을 만들었다. 조선무역협회는 점령지역에 파견원을 보내 현지 경제사정을 자세하고 조사하고 견본시 개최 등 수출진흥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조선총독부도 항로를 증설하고 교통체계를 단일화하여 전시수송력을 증강하기 위해 노력했다. 전시물자를 안정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일제의 각 기관에서 노력한 결과 중일전쟁시기 조중무역은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조중무역을 주도한 것은 일본인이었고 일본인에게 협력하고자 했던 조선인 자본가도 일제의 민족차별을 극복할 수는 없었다

      • KCI등재후보

        일제하 식민지자본주의와 조선무역―식민지적 미곡무역구조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사학회 2002 한국사학보 Vol.- No.12

        The process of Colonial Rice Trade Structure had passed through four stages. The rice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Colonial Rice Trade Structure had occupied more than 50% of the whole export, and most of it was exported to Japan. But the rate of the rice export was just about 10% of gross rice production. It was not so much higher rate and more rapid increase in price index than that in quantity index. During establishment period of Colonial Rice Trade Structure Japanese Imperialists had trie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rough the plan for multiplication of rice production. The plan turned out to be a failure but the export rate of rice had occupied almost 50% of gross production of rice. Rice trade still occupied more than 50% of the whole export and almost all of it was exported to Japan. Particular attention could be paid that the steep increase of quantit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hunger export'. As Colonial Rice Trade Structure faced transition period, Japan government exercised strict control over rice import from the colony. At last the multiplication plan for rice production stopped. But they still tried to make rice goods. The ratio of export rice per gross rice production was keeping an invariable ratio. Rice occupied over 40% of the whole export. But hulled millet became less imported that the situation of food supply was much worsened. Colonial Rice Trade Structure reached the period of collapsing The export rate of rice per gross rice production had decreased steeply. The quantity of rice export was reduced much more than the price index. That means the role of Korea as the rice supply base was shaken to its foundation. However rice offering became reinforced and the decrease of food consumption drove Korea into starvation.

      • 일제식민통치 초기 대전의 발전과 도시화과정에 관한 연구

        송규진 대전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2001 지역발전연구 Vol.8 No.-

        일제는 조선이 근대로 이행하여 가는 시점에 조선왕조를 멸망시킴으로써 자생적인 근대화 과정의 맥을 끊고 그들의 의도에 따른 근대화정책을 실시했다. 종래의 일제하 조선에 관한 연구는 일제에 의해 한국이 강점되는 경위와 식민통치의 실상을 고찰한 것, 이에 저항하는 조선인들에 관한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런 연구경향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국가에서 볼 수 있는 지극히 당연한 것이었으 며 식민잔재청산을 위해서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하지만 일제식민통치하에서도 조선 사회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부인할 수 없다. 조선인들의 의 식, 생활, 기타 모든 면에서 커다란 변화가 생겼는데 변화의 양상은 농촌에서보다도 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근래에 이르러 일제식민통치하의 도시화과정과 도시사회 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제식민통치하에서 조선지역의 도시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조선인들의 의식과 생활상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 어졌다(손정목, 1996, 『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연구 』 , 일지사;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연구』, 일지사) . 대전은 일제의 토지지배와 산업 2자본의 침투가 어느 지역보다도 심했고 또한 역 설적으로 이러한 일제의 침략과 더불어 급속하게 성장한 신홍도시였다. 이미 알고 있 는 것처럼 대전의 도시화는 경부선철도의 건설로 인하여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또 한 호남선 분기점이 대전지역으로 결정으로써 대전은 철도교통의 중심지가 되었고 도 시화의 초기에 이미 중요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런 까닭에 대전은 식민지도시사를 연구하는 데에 적절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일제식민통치하 대전의 도시발전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제하의 대전지역에 대한 연구는 주로 민족해방운동 을 다루는 과정에서 그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다 루 어지고 있을 뿐이다 2)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현재 대전지역에서 논의되는 여러 가지 도시발전문제의 방안 을 위한 역사학적 접근을 기대할 수 없다. 일제식민통치하의 식민지도시가 형성되는 과정 속에 내포된 수많은 문제들은 내용이나 성격에서 어 느 정도 차이가 있다 하더라 도 앞으로 대전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올 어느 정도 예견케 한다. 따라서 일제식민통치하 대전의 도시화과정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올 제대로 파악하고 그 대 안을 분석하는 작업은 지금 또 앞으로 대전의 발전과정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걸림 돌을 미리 알고 해결하는데 약간의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일제하 대전의 기초기반시설이 정비되는 1910년대 를 중심으로 당시 대전이 어떤 변화를 겪었으며 대전이라 는 신홍도시를 건설하는 과 정에서 어떤 문제가 중요하 게 거론되고 있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Railways, while an important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they were used as a tool allowing for the exploitation of shipbuilding resource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sought to resolve food and fuel crises through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especially by extracting coal, exploiting the forest, and exporting seafood. The construction of the Hamgyeong Line greatly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In particular, it promoted exchange between Joseon, inland Manchuria, and Siberia when it was connected to the Gilhoe Line, which was completed afterward. Najin, Unggi, and Cheongjin each contended to be the last stop on the Gilhoe Line, and Najin was eventually selected as the last port. Although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ad unofficially decided on Cheongjin as the last port, following lobbying from Cheongjin regional officials, Najin, a place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and Kwantung Army had already envisioned as a military fortress, was ultimately selected as the last port,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an externally supplanted authority. With Najin selected as the last port, the economies of Najin, Unggi, and Cheongjin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Najin evolved into a transfer port, with urban planning unfolding smoothly. Cheongjin, although it failed to host the line construction, also continued regional development by demanding and obtaining other opportunitie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owever, Unggi stagnated, despite its hope to develop along with Najin. This shows how the railways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local economies. 철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하여 근대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조선자원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총독부는 함경도 지방의 산업개발, 그 가운데 특히 석탄과 삼림을 개발하고 해산물을 반출함으로써 연료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함경선 부설은 함경도지역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함경선은 이후 완공한 吉會線과 연결하여 조선과 만주내륙 및 시베리아 간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길회선 종단항을 유치하기 위해 나진·웅기·청진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일제는 종단항을 나진으로 결정했다.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총독부가 초기에는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청진을 종단항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했음에도 결국 남만주철도주식회사와 관동군이 처음부터 군사요새지로 구상했던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된 것은 외삽적 권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되면서 나진·웅기·청진 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나진은 시가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종단항에 걸맞은 탄토항으로 크게 발전했다. 청진도 종단항 경쟁에서는 패배했지만 생존을 위해 총독부에 또 다른 기회를 요구하고 그것을 받아냄으로써 계속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웅기는 나진과 경계를 이루어 동반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정체적인 상태에 머물렀다. 이것이 철도가 지역사회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한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제말(1937~1945) 통제경제정책과 실행과정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송규진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During the wars against China and USA, Japanese Imperialism implemented the controlled economic policy. The Japanese government reformed its organizations and convened countless conventions and meetings, through which to regulate prices and distribution. Firstly, it attempted to put war supplies under control and then crack down on the practices of cornering and hoarding.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persuaded economic organizations to collaborate on the price control polices. However, all these efforts failed, resulting in skyrocketing prices of staple commodities and the prevailed unrest of the people. Other efforts, such as ‘the rule of marking selling price,’ ‘designation of official price-control items,’ and ‘cost accounting systems,’ also turned out unsuccessful. Prices at black markets soared, and the price control ordinances did not work. Distribution controls also did not bring out the anticipated outcome. As they stimulated the import of war supplies as well as restricting the import of civilian goods, Japanese authorities also attempted to regulate the distributions, which were normally managed y distributing traders, so as to maintain official prices. As the war prolonged, the government extended the distribution regulating system to the general public. Food ration was the most crucial issue. Due to the shortage of food, discriminative distribution was practiced against the Korean. During the Pacific War, the regulation on the necessities was further strengthened. Under the severe distribution control and discriminative ration policy, the Korean suffered far more than before, and the public sentiment was far more disturbed. To set policies to control the economy, Japanese administrations realigned prosecution system and police organizations as well as newly invented economy police. Urging the traders for collaboration, they enforced the system of ‘the united efforts of officials and people’ and then reformed it into a quasi-military system. The enlargement of the regulations entailed the strict governmental control over economy and society, which encountered strong oppositions. The government organized various collective events, but they hardly facilitated the economy control policy. Due to the acute shortage of food and living goods, the number of economic crime constantly increased. What is intriguing is the role of the violators of economic rules. Although they can be by no means considered as the fighter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t cannot be also denied that in such a serious economic situation their violations consequentially expedited the collapse of the regime as well as the alienation of the colonial people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to a certain degree. 일제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면서 통제경제정책를 실시했다. 물가와 배급을 통제하기 위해 제도를 정비하고 각종 회의와 홍보에 열을 올렸다. 먼저 군수물자에 대한 물가를 통제했고,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법령을 제정하여 매점매석을 집중 단속했다. 또 경제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협력도 유도했다. 그런데 물가는 급등하고 민심불안이 가중되었다. 공정가격제를 실시했으나 오히려 가격인상만 부추겼으며 보다 강력한 통제를 위한 법령을 제정하고 계속 갱신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물가단속을 위한 가격표시제 의무화, 공정가격 지정품목 확대, 원가계산제 시행 등과 아울러 민간인 중심의 위원회를 구성하여 물가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으나 ‘암가격’으로 물가는 폭등하고 물가통제는 실패하고 말았다. 배급통제 역시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군수물자 수입을 장려하고 민수물자 수입을 제한하는 한편 공정가격 유지를 위해 배급업자를 대상으로 배급통제를 실시했는데 업자들의 반발에 부딪쳤다. 전쟁이 확대하자 일반인에게도 배급통제를 적용했다. 특히 식량배급이 가장 큰 문제였다. 배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본인과 조선인에게 차등배급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물가통제령을 공포하고 생필품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수세에 몰리자 모든 생필품에 대한 철저한 배급통제를 실시했으며 민족차별적 배급으로 조선인의 생활고는 심화됨으로써 민심은 흉흉해졌다. 통제경제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경찰기구를 정비하고 경제경찰을 신설했으며 검찰기구도 정비했다. 그러나 단속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업자를 통한 자치적 통제를 유도했는데 정실에 따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관민합작’을 강화하고 군대식으로 개편했다. 이 모든 제도와 기구의 정비에도 불구하고 단속기구 확대와 함께 무리한 단속이 잇따르자 강한 반발에 부딪쳤다. 각종 회의와 행사를 통한 홍보 역시 통제경제정책 실행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관료가 주축이 된 간담회가 제 역할을 못하자 관민경제 간담회를 통해 경제인과 함께 여러 가지 문제를 협의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여러 정책적 방안과 홍보에도 불구하고 물자부족과 심각한 식량난으로 인해 ‘경제범죄’는 끊임없이 발생했다. 경제사범을 일제에 투쟁하는 투사로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일제 통치체제의 균열에 일정부분 기여했으며 조선인이 일제에 등을 돌리게 한 요인이 되었다.

      • KCI등재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After agreeing to compile a joint history textbook to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Germany and France succeeded in simultaneously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6. Germany and Poland also agreed on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8. In the case of Germany and Poland, it was the result of steady and tireless efforts spanning about 80 years after the two countries started “historical dialogue” and 36 years after they reached an agreement on a range of recommendations in 1972. Given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 it would seem much less likely for an “historical dialogue” to be implemented, sustained, and expanded among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an in Europe. This is because Japan’s civic groups have strong local networks, while weak on the national level; Korean civic groups are financially weak in maintain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ose of China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seeking a shared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have become much more activ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hare various opinions, discuss specific issues, and jointly publish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or between Korea and Japan, though on the private level, carries significance, a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grew intense. Given the cases of Europe, a joint history book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ne among Korea, Japan, and China can be published, if the “historical dialogues” are conducted patiently an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hoped that this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Northeast Asia. 독일과 프랑스는 ‘역사 갈등’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공동역사교과서를 편찬하기로 합의한 뒤 마침내 2006년에 양국에서 동시에 출간했다. 독일과 폴란드도 2008년에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기로 합의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경우 ‘역사대화’를 시도한 지 80여 년, 1972년에 권고안에 합의한 지 36년이라는 오랜 시기에 걸쳐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였다. 한중일 3국간 ‘역사대화’의 진전은 현실을 고려할 때 실행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확장과 심화 가능성이 유럽에 비해 매우 낮다. 일본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네트워크가 강한 반면 전국네트워크는 큰 취약점이 있고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재정이 탄탄하지 못해 국제교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중국공산당의 통제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해보면 ‘역사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의 역사인식과 화해를 모색하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교류가 훨씬 활발해졌다. 대화를 통해 역사와 관련된 여러 의견을 교환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역사교재를 공유하거나 공동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북아의 ‘역사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록 민간차원이긴 하지만 한중일 간, 한일 간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의미는 적지 않다. 유럽사례를 볼 때 ‘역사대화’를 통해 인내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역사대화’를 진행한다면 결국 동북아에서도 한일 간, 더 나가 한중일 간 공동역사교과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의 ‘역사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