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생애사건 경험이 부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의 적용

        손정연(Son, Jeong-yeon),한경혜(Han, Gyoung-hae)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가 중년기에 경험하는 생애사건이 본인이 지각하는 부부관계 및 배우자가 지각하는 부부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한국의 베이비부머 부부 1,218쌍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부부관계의 질은 부부 간 긴장과 지지의 두 측면으로 살펴보았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편이 실직이나 은퇴, 재취업 등 일자리에서 변화를 경험하면, 아내는 부부관계에서 긴장감을 높게 지각하는 반면, 남편의 경우 아내가 일자리에서 변화를 경험하더라도 부부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심각한 건강문제의 경험은, 남편과 아내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가 인식하는 부부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남편 부모의 심각한 건강문제를 경험한 아내는 부부관계에서 긴장감이 높은 반면, 남편은 아내 부모의 심각한 건강문제를 경험하더라도 부부관계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지는 않았다. (4) 베이비부머가 경험하는 생애사건이 부부 간 긴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편과 아내 상호간의 지지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베이비부머가 경험하는 생애사건이 부부 간에 적지 않은 갈등과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생애사건의 경험이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가 지각하는 부부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부부관계가 지닌 상호역동적인 특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events on marital relationships of Korean baby boomer coupl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life events on marital relationshi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18 Korean baby boomer couples born between 1955 and 1963. To analyze dyadic data,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ing (APIM) was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ves who experienced husbands’ job change such as retirement, loss of employment or reemployment perceive more marital strain than those who did not go through husbands’ job change experience. Second, health problems have negative effects on one’s own as well as the partner’s marital relationships. Third, wives whose husbands’ parents have health problems perceive more marital strain than those whose husbands’ parents have no health problems. Lastly, no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life events on the spousal support are found among Korean baby boomer couples. In sum, results show that life events function as stressors o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this process functions differently for middle aged men and women in Korea.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심리적·관계적 특성이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손정연 ( Son Jeong-yeon ),한경혜 ( Han Gyoung-h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 자원, 심리적 특성, 그리고 부부 상호간의 관계적 측면이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을 두 축으로 부부관계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 2,078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은 남성에 비해 결혼생활에 불만족하고 위기경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성은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 그리고 여성은 배우자가 비취업 상태여서 혼자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 불만족스럽지만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3) 남녀 모두에게 있어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격과 심리특성은 만족스럽고 안정된 결혼생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이었다. (4) 부부 사이의 빈번하고 원활한 대화는 베이비부머 남녀의 부부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5) 부부 간의 갈등 상황에서 남성은 서로가 말다툼이나 폭력적인 행동으로 대처할 때, 그리고 여성은 서로 간에 소통이 되지 않을 때, 불만족스럽고 불안정한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을 결합하여 보다 다양한 부부관계의 모습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동시에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four types of marriage based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resources,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traits on each type of marriage. Four types of marriage are characterized as satisfied-stable, dissatisfied-stable, satisfied-unstable, and dissatisfied-unstable. We surveyed 2,078 respondents born between 1955 and 1963.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marital relationships and more likely to have given a serious thought about divorce than men. Secon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Third, stable psychological state is an important factor for a satisfied and stable marriage for both men and women. Fourth, frequent communi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both men and women. Lastly, negative communication styles such as arguing or violent behavior have nega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men. Whereas for women,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with spouse have nega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resources,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traits, and each type of marriage display some gender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 KCI등재

        노년기 여성의 결혼지위와 건강에 관한 종단 연구

        손정연(Son, Jeong-yeon),한경혜(Han, Gyoung-ha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여성의 결혼지위가 신체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관련성이 연령 및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달라지는가에 대해 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046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차년도 사이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뿐만 아니라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 비해서도 만성질환을 많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같은 무배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신체 건강 결과에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지속적 무배우 노인과 지속적 유배우 노인의 건강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1, 2차년도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보다 우울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련성이 65~74세의 젊은 노인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1, 2차년도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 노인은, 유배우 노인뿐만 아니라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 비해서도 만성질환을 더 많이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련성이 자녀만남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결혼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동거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결혼지위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변수의 성격이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여성 노인의 결혼지위와 건강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인 검증을 시도하였고, 특히 결혼지위를 구분하는 기준과 연령 및 부모-자녀관계의 역할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sing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this study examines how continuity and change of marital status is associated with health over time among older wom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KLoSA data set has two waves of interviews, and for this study, 2046 women aged 65 and over were selected. To analyz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tween continuously married older women and continuously single older women. However,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physical health than continuously married and continuously single older wome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age of older women.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mental health than continuously married elders when older women were younger. Third, contact with children moderated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physical health. Older women who had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showed lower physical health than continuously single and continuously married older women when older women had less contact with their children. The findings imply after the loss of marital role, older women"s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health.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fferent pathways through which marital status is associated with health for 3 different groups of older women, being continuously single, being continuously married, and making transition from being married to being single.

      • KCI등재
      • KCI등재

        다속성-다측정방법(MTMM: multitrait-multimethod)을 이용한 인사평가영역의 일관성과 상관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연양(Yeon-Ang Jeong),일상(Il-sang S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2

          한국기업에서 이용되는 인사평가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업적평가, 능력평가, 태도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 평가영역에 대한 개념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인사평가영역의 일관성과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사평가의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직군별로 다속성-다측정(MTMM: multitrait-multimethod)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한국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사평가의 패턴을 실증적으로 분석/확인 할 수 있었다. 그동안 관행처럼 여겨져 왔던 평가영역설정과 평가영역관리에 대해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직군별로 평가영역의 일관성과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업적/능력/태도평가를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직무성과측정을 할 수 있는 직군(사무직, 영업직)과 능력평가와 태도평가 결과를 인사전반에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직군(생산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인사담당자들의 평가영역설정 및 평가제도운영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평가관리에 대한 연구는 설문을 통한 만족도 개념의 접근 보다는 실질적인 평가자료를 통한 분석과 평가자의 평가결과에 대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인사평가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체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경영학의 특성상 기업경영에 적용가능하지 못하다면 연구의 의의는 퇴색되기 때문이다.   The dimensions to measure job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are generally composed of 3 parts such as objective result, job competency, and job attitude. However, there are neither empirical nor conceptual researches on job performance dimensions in Korea, even though a number of companies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 dimension establishment. Based o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consistency and relationship of job performance dimensions in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consistency and relationship based on job family,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used MTMM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of Campbell & Fiske (1959).<BR>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BR>  First,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to use real data rather than the empirica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job performance dimensions in Korea. Although the failure to gather large samples decreases the adaptability of this research on HRM in companies, this research help HR manage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unique pattern of performance appraisal, stimulating new expanded researches.<BR>  Second,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must be differentiated by job family because job family influences the consistency and relationship of job performance dimension. Using the three dimensions, some job families (managerial and sales) can better measure job performance, but it must be careful to reflect the rated result of job competency and attitude on other job families (production workers).<BR>  Third, this research used real data for validity approach by MTMM analysis. We found that the construct validity of performance dimensions is low.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various validity analyses are needed to improve fairness in th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in Korean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