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최근 10년 연구경향과 향후 과제

        한경혜(Han Gyounghae),차승은(Cha Seung Eun),민주홍(Min Joohong)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is study reviews advances in research made during the last decade in studies of aging families in Korea. Specifically, we provide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directions and empirical findings of 87 research articles focused on aging famil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between 2008 and 2017. Topics and issues covered include: (a) diversity in family structures and households, (b) intergenerational relations, (c) intimate relations, and (d) family problems in later life. We found that while research applying theories and employing advanced methodologies has increased, embracing more diverse theories and ensur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 from multi-reporters within families will enhance future research in aging and families. The authors conclude that mor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in the field of family studies and gerontology in Korea.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8년 3호~2017년 4호) 한국노년학회지에 실린 가족분야 논문을 분석하여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주요 경향과 성과 및 제한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총 8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노년기 가족연구에 활용된 주요 이론 및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주요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주제별 고찰은 노년기 거주유형과 노인가구, 세대관계, 노년기 부부관계, 그리고 노년기 가족문제의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종합하면, 지난 10년간 노년학의 가족분야 연구는 이론과 방법론 적용에서 진보를 이루어 왔으나, 향후 보다 다양한 이론의 적용이나 다수의 가족원으로부터 수집된 대규모 종단자료의 확보와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급격한 인구고령화와 광범위한 가족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노인과 가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천적 가족노년학 연구가 확장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

        한경혜(Han Gyoung-hae),손정연(Son Jeong-yeo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보호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시범사업지역에서 장기요양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족 중에서, 배우자를 돌보는 남성 151명,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양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양동 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담 및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젠더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먼저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젠더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고, 다음은 남녀를 따로 구분하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 부양부담 수준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있었다. (2)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부양부담을 예측하는 요인과 부양경험의 보상을 예측하는 요인에 있어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이 관찰되었다. (3) 특히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보상 간 관련성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긍정적 부양경험을 설명하는 기제가 젠더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가 인식하는 부양부담 및 보상의 의미와 관련요인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motives for caregiving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have on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for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321 spouse caregivers(151 men and 170 women) who were providing care for impaired elder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pouse caregiving experience. Second, results show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not only have unique predictors but also share some similar predictors. Third, the effect of caregiving motive an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on perceived reward of caregiving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urther.

      • KCI등재

        도시지역 50, 60대 예비노인의 문화자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련(Kyung Ryun Park)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문화자본 관련 요인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도시 지역(서울, 광주, 청주, 전주)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자본은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친숙도, 활동, 정보, 관심의 네 영역을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문화자본 수준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자본 수준에서 항목 간 차이를 보여,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이 '정보'나 '활동', '친숙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이 성장기에 부모로부터 획득한 상속문화자본 수준과 비교해볼 때,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자본의 관련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 모두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성별과 취업상태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도 문화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기 후반기의 문화자본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상속된 문화자본과 개인의 인적자본, 그리고 현재의 사회자본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본과 개인의 상황 특성이라는 생애과정상의 다양한 시간적 축에 걸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결과물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and related factors of pre-elderly people residing in urban areas.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ects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their par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networks on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Four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were assessed.: familiarity, activity, information, and interest to cultural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13 people, residing in four cities(Seoul, Gwangju, Jeonju, and Chungju), aged from 50 to 69 in 200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Main results were the following: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pre-elderly was relatively low in general, yet there exist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fic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respon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parents. Inherited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size of formal network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urrent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These findings imply that cultural capital is a life-long outcome affected by various situations over the life course.

      • KCI등재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경혜 ( Gyoung Hae Han ),주지현 ( Ji Hyun Joo ),정다겸 ( Da Gyoem J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

        본 연구는 한국 조손가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적 관점과 시각을 도입한 연구가 없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생애과정 관점(Life Course Perspective)에 기초하여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경험과 현실 적응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조손가족 조부모 13명과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조손가족 조부모들은 젊은 시절부터 저소득, 저학력, 열악한 주거 및 지역사회 환경, 신체·심리적 자원의 부족 등 다차원적인 소외로 사회의 주류적 흐름에 동참하지 못했다. 부모세대가 경험한 이러한 사회적 배제는 자녀세대에게 이어져서, 자녀세대의 라이프코스 선택과 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자녀세대는 대부분 사회적 규범에 어긋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을 형성하였고, 경제적 불안정성이 가족의 불안정성과 중첩되자 양육책임을 부모에게 전가하면서 조손가족이 형성되었다. 조부모는 손자녀 전담양육 이후 그러잖아도 열악했던 삶의 조건과 양상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조손가족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배제가 축적된 결과물이자, 강화되는 시작점인 것을 알 수 있다. 조부모들은 조손가족이 사회적 시각에서 볼 때, `정상적` 가족의 범주에 들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손자녀를 위한 안전망 역할을 다하여 세대를 가로지르며 이어진 사회적 배제의 고리를 끊고자 나름대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손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 양상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들 가족을 위한 정책적 개입은 다차원적인 보장체계 마련을 통해 사회적 배제가 심화·대물림 되는 것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가족을 인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grandparenting and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poor custodial grandparents based on the life-course perspective, examine their strategy with a qualitative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3 custodial grandparents living in Seou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stodial grandparent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since their early days, and social exclusion of parents is passed down to the child generation. Second, family formation of children`s generation was based on a non-normative process and there were quite a few teenage pregnancies. As a consequence, their families were unstable from the beginning and broke down easily. Third, custodial grandparents showed various ways of adjusting to their situation and tried hard to prevent their grandchildren from inheriting their children`s unsuccessful live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한경혜(Gyoung-Hae Han),이서연(Seo-youn L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고령화와 가족 구조의 변화로 노인 부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 부양은 '돌봄' 외에도 '결혼 생활의 연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성인 자녀를 비롯한 기타 가족 부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험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편과 아내가 처한 맥락이 상이하므로 이들의 성별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에 초점을 맞추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수발 실태와 복지욕구」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증, X²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부담의 하위 항목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이 각각 발견되었다. 부양 동기의 경우, 부인을 돌보는 남성의 부양 부담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을 돌보는 여성부양자에게서는 부양 동기와 부양 부담과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남성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부양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경제적 부담을 느낄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피부양자의 ADL 수준은 남녀 모두의 신체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에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Family caregiving to the elder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in recent Korea. Among various kinds of family caregivers, spouse caregivers particularly constitute a special group, generally characterized by continuous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care recipients at many levels and by special commitments and responsibilities associated with the marriage bond. And the number of spouse caregiv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Moreover, since a conjugal relation is consisted of husband and wife, their caregiving experiences and caregiving burden may vary by gender. Thu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giving experience, especially caregiv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We analysed 「2001 Survey of Care-g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data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usband was likely to feel more burden when he started caregiving because of few alternatives. For wife caregivers, the less awareness of social support they had, the more possibility of economic burden they felt. With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necessity of hav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research and policy making for caregivers.

      • KCI등재

        성인자녀의 세대가 지원교환 유형과 결정요인

        한경혜(Han Gyounghae),한민아(Han Min-A) 한국가족학회 2004 가족과 문화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 fold: 1) to explore empirical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of adult children in Korea, and 2)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xchange patterns. Data from 1,106 men and women ages 30-59 with at least one living parent were analyzed. Support exchange patterns were classified based on level and direction of support flow and include reciprocal, children-receiving, children-supporting, and no exchang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predominant pattern of economic support is children-supporting, while emotional support is mainly reciprocal and instrumental support has a no-exchange pattern.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of children and health status of parents were related to support exchange patterns. More reciprocal inter-generational exchange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high economic status of children, and better health of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