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중종대 불교정책의 전개와 성격

        손성필 ( Seong Phil Sohn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4

        『실록』을 통해 볼 때, 중종대는 불교정책에 대한 입장차로 국왕과 신료, 왕실과 신료, 신료와 신료 간이 대립·갈등하였고, 시기에 따라 불교정책이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 시기였다. 중종 초반은 연산군 말기에 붕괴된 선교양종 승정체제가 『경국대전』 법제의 계승과 개혁에 대한 국왕·왕실과 신료 간의 대립 끝에 복구되지 못한 한편 기묘사림을 비롯한 신료들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기신재가 1516년에 폐지됨으로써, 국가체제에서 불교적 요소가 모두 제거된 시기였다. 이로써 성리학적 왕정의 기틀을 마련한 국가는 그 이념에 따라 승려와 사찰을 직접 규제하지 않은 채 국와의 교화가 백성과 이단에게 미치기를 바라는 정책을 지향하였으며, 이는 사실상 불교계에 대한 방치 또는 방임을 의미하였다. 이는 국가 관료체제의 일부로 선교양종 승정체제를 유지하고 한시적 부역에 대한 대가로 승려 자격증이자 면역 증서인도첩을 다량 발급하는 등 불교정책을 현실적으로 운용하던 15세기와는 다른 정책 지향이었다. 국가가 교화론적 불교정책을 지향하여 불교계를 직접 규제하지 않음에 따라 명산대찰을 비롯한 다수의 사찰이 계속되었다. 1530년경에 이르면 승려가 증가하였다는 조정의 현실 인식이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도첩제의 일종인 승인호패제가 다시 논의·시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실적 정책과 성리학 이념에 대한 입장차, 훈척과 사림등 정치세력 간의 대립으로 논의는 공전되었고, 결국 적절한 대책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승려와 사찰은 계속 방치 또는 방임되었다. 뒤이은 명종대 왕실과 척신세력의 선교양종 승정체제 복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추진된 것으로, 문정왕후가 천명한 선교양종 복립의 명분도 승려 증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중종대는 국가체제에서 불교제도가 제거되고 승정체제 소속 사찰에 대한 공적인 지원이 단절되었으나, 성리학 이념 지향에 따라 불교계가 방치또는 방임되면서 불교 전통이 사적 경제기반을 토대로 지속 ·계승된 시기였으며, 이 시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급증은 이를 뒷받침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종대 불교정책의 전개와 성격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볼 때,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달리 중종대가 불교정책으로 인해 불교 전통이 단절되다시피 한 시기였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조선의 불교정책이 시기에 따라 변모하였고, 각 정치세력이 그 방향을 두고 대립·갈등하기도 하였으며, 불교정책이 불교계 전반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었고, 불교 전통의 계승에 미친 영향도 제한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조선전기 불교정책과 조선후기 법통설 중심의 기존 조선시대 불교사 이해는 신중히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실증적 연구를 통한 새로운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의 모색이 불가피해 보인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period of Jungjong (中宗) was the most difficult era for Buddhism due to oppressive policies of the state, thus it has been also understood that during this period the Buddhist culture of the time discontinued, At the beginning of the rule of Jungjong the Buddhist system was removed from the official government system, But in the middle of the period the aim of the policies was that the Buddhist monks would just enlighten (敎化) by itself on Confucianism, In the late period countermeasures against increasing numbers of Buddhist monks were discussed but could not be put into place due to conflicting policy lines between the huncheok (動戚) and the sarim (士林) , Therefore Buddhism could continue to exist, maintaining about 1,600 temples, and publishing Buddhist publication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is, one can argue that Buddhist culture was not completely discontinued during Jungjo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view on this issue, Therefore the current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history in Joseon dynasty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

        손성필(Sohn Seong phil)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지눌 사상의 계승 및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한 연구 방법, 둘째, 저술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 방법, 셋째, 서적 전승 양상을 통한 연구 방법이다. 이 세 가지 연구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택하느냐에 따라 조선시대 지눌 사상의 계승과 영향에 대한 평가는 달라진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해 연구할 경우, 조선후기 불교계가 임제태고법통설을 수용하여 조선전기 불교사를 그 법통에 따라 재구성하였으므로, 고려말 임제 법통 수용 이전의 전통인 지눌 사상은 계승되기 어려웠다고 파악될 수밖에 없다. 반면, 둘째와 셋째의 저술 내용이나 서적 전승의 분석을 통한 방법을 통해 볼 때 지눌 사상의 영향력은 상당하였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조선초기의 기화, 조선중기의 휴정의 저술에 나타나는, 간화선을 중시하면서도 돈오점수와 선교겸수를 지향하는 사상 경향은 지눌의 사상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16세기는 불교서적 간행이 급증하면서 비로소 불서의 간행량 분석을 통해 불교계 사상 경향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된 시기이다. 간행 서적을 통해 불교 사상의 전승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시기인데, 이 시기에 지눌이 저술하거나 중시한 서적이 다량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간행 불서 및 관련 기록의 분석을 통해 볼 때, 고려중기 이래 주요 사상 전통으로 전승돼 오던 지눌의 사상은 16세기 초 지엄에 의해 수용돼 강학체계 형성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 강학체계는 16세기 후반 휴정과 선수 등의 영향력 아래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 이 강학체계는 휴정과 선수의 문도들에 의해 이력과정으로 확립되어 보편적으로 수용돼 갔고, 조선후기 불교계의 특징적인 사상 체계로서 전승되었다. 이러한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고려 중기의 불교 사상가인 지눌의 사상이 조선초·중기에 면면히 전승되어 조선후기 불교를 태동시키는 토대가 되었고, 조선후기 불교는 다시 근현대 한국 불교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불교사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15·16세기 불교정책에 따른 사상 전통의 단절, 임제 법통을 통한 명맥의 유지,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계 부흥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조선시대 불교계가 기존의 사상 전통을 능동적으로 계승하면서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상 전통을 창출하고 있었음을 실증하는 사례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 그러므로 법통 중심의 불교사 인식에서 벗어나 사상 전승의 구체적 양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으로써 조선시대 및 한국 불교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ree methods to understand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The first method examines human succession relations, the second written content, and the third aspects of publications transmission. The assessment of the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is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of these three methods is use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mpact of Jinul’s thought was not great in the Joseon period, because most existing research uses the first method. During the middle of Joseon period the number of Buddhist publications increased rapidly. This enables to study how Buddhist thought chang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 large amount of publications was issued, which was written or considered as important by Jinu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uccession of different thoughts related to Jinul’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of the Joseon period, the policy for Buddhism was changed and the Buddhist community was re-organised. It can be argued that this re-organization to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period actively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thought of the Koryeo period.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regards Buddhist thought of Koryeo as discontinu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Buddhist publications and records in the mid-Joseon period, it can be argued that the thought of Jinul, which was the major thought since the mid-Koryeo period, was adapted by Ji-eom in the early 16th century, which was then spreaded by Hyu-jeong and Seon-su in the late 16th century. After the 17th century it was established as the course of I-ryeok by followers of Hyu-jeong and Seon-su and spreaded further. As a result, the thought of Jinul succeeded as a specific Buddhist ideology in the late Jeseon period. This shows that Jinul’s thought from the mid Koryeo continuously sprea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became the basis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the meaning of modern Buddhism, because the Buddhism from the late Joseon period contributed to establish modern Buddhism.

      • KCI등재

        16 17세기 ‘사집(四集)’ 불서의 판본 계통과 불교계 재편

        손성필 ( Sohn Seong Phil ),전효진 ( Jeon Hyo Jin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58

        16, 17세기에 간행된 ‘사집’ 불서의 판본 계통, 연화질의 간행 참여자, 새로 발견된 기록 등을 통해 볼 때, 16세기 불교계에는 사집에 해당하는 불교서적인 『도서』, 『절요』, 『서장』, 『선요』의 강학을 중시하는 현상이 나타나 확산되었으며, 17세기 전반인 1630년경에 이르러 ‘사집’, ‘사교’, ‘대교’ 중심의 강학체계인 ‘이력’이 성립하여 불교계에 점차 확산되었다. 16세기 전반에 사집 불서를 처음으로 함께 간행한 사찰은 벽송지엄의 문도가 주석한 지리산 신흥사였으며, 17세기에 간행된 사집 불서는 대부분 16세기 후반에 청허 휴정의 문도에 의해 신흥사에서 간행된 판본의 계열이었다. 사집 불서의 강학을 중시한 벽송-부용-청허ㆍ부휴계 문도는 16세기에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갔으나, 16세기 불교계에는 그들 이외에도 보우, 일웅, 의상, 천칙 등과 같은 유력한 승인층이 존재했다. 그런데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전반에 이르러 불교계는 청허계와 부휴계 문도를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그 가장 유력한 문도 중의한 명인 편양 언기의 영향력 아래 1630년경 삭녕 용복사에서 이력에 해당하는 불서가 체계적으로 간행되었고, 이로써 조선후기 불교계의 강학체계인 이력이 성립한 것으로 보인다. 이력의 성립과 확산은 그 자체로 조선 불교계가 재편되는 과정이자 결과였던 것이다. 이처럼 16ㆍ17세기 사집 불서의 판본 계통에는 불교계의 사집 강학 중시, 이력의 성립과 확산 양상뿐만 아니라, 16세기에 벽송-부용-청허ㆍ부휴계 문도가 점차 성장하여 17세기에 불교계가 그들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양상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16세기 불교계의 실상, 17세기 불교계의 재편, 임진왜란이 불교계에 미친 영향, 조선 사회와 불교계의 상관관계 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The system of Fourfold Collection, ‘Sajip’ printed in wood releas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ir publishers and literary records indicate a lot of emphasis placed on the pursuit of studying Buddhist books, which correspond to Sajip in the 16th century. In early 17th century, the system of pursuing study called ‘Yiryeok’ with focus on ‘Sajip’, ‘Sagyo’, and ‘Daegyo’ was established and disseminated throughout the Buddhist. It was Sinheungsa Temple in Mt. Jirisan occupied by a group of disciples of Byeoksong Jieom that published the Buddhist books of Sajip for the first time, and the majority of Sajip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was a series of woodblock-printed books published in Sinheungsa Temple by the disciples of Cheongheo Hyujeong. The disciples of Byeoksong-Buyong-Cheongheo and Buhyu sects expanded their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and the Buddhism was reshuffled and reorganized in early 17th century by the disciples of Cheongeo and Buhyu sects. The disciples who followed Byeoksong- Buyong-Cheongheo and Buhyu who emphasized the pursuit of studying Buddhism books systematically published the Buddhist books at Saknyeong Yongboksa in around 1628 that correspond to Yiryeok under the leadership of Pyeonyang Eongi,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isciples, which is apparently how the Yiryeok, the system of pursuing study in Buddhism wa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Sajip published in wood block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demonstrates not only th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m at the time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study,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Yiryeok but also the further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of Buddhism led by the disciples of Byeoksong- Buyong-Cheongheo and Buhyu sect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 KCI등재

        16세기 송광사의 불서간행과 불교계 동향

        손성필(Sohn Seong phil) 보조사상연구원 2016 보조사상 Vol.45 No.-

        The 16th century is known as the period of Buddhism abolished by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dark age of Buddhist activities. But the latest research has found that the 16th century was the period of confusion and conflict in terms of the routes of policies on Buddhism. In the reign of Jungjong and Seonjo known as the period of suppression on Buddhism, seungjeong system -seongyoyangjong - was abolished while reformative policies on Buddhism was pursued, so the Buddhist sector were neglected and abandoned with no official support or control. The Buddhist sector were maintained through the royal family’s secret support and private economic grounds, and the Buddhist temples 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prevalently nationwid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amine through detailed case study what the Buddhist sector actually were like in the 16th century and how the history of Buddhism developed in Joseon. Songgwangsa is a Buddhist temple affiliated to seongyoyangjong, the seungjeong system in the 15th century. It is a Buddhist templ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entral Buddhist circles to maintain constant influence and tradition of thought. From the 16th century, seungjeong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of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 ment and Buddhist circles was disconnected. In that situation, the Buddhist sector both maintained and secured private economic grounds in each of the Buddhist temples and transmitted the tradition of thought selectively. This can be observed with the phenomenon that in the early 16th century, the publishing of Buddhist scriptures increased enormously. Songgwangsa published Incheonanmok in 1529 and Jonggyeongchwalyo, Simyobeopmun, and Daehyebogakseonsaseo in 1531. The publishing of Buddhist scriptures proves that Songgwangsa was sound also in the early 16th century thanks to consistent economic grounds, and also, the trends of publishing imply that it transmitted the tradition of thought diversely. It is one of the noticeable cases that Jingak Hyesim published Jonggyeongchwalyo in that period at Songgwangsa which was published in Suseonsa in 1213. In the late 16th century, the reign of Seonjo, Buddhist temples’ publishing of Buddhist scriptures increased tremendously nationwide once again, and this was so in Songgwangsa. In 1574, Suryukmuchapye ongdeungjaeuichwalyo and Cheonjimyeongyangsuryukjaeuichanyo were published, and in 1577, Chobalsimjagyeongmun, Mongsanhwasang beopeoyakrok were published, and in 1590, Gobonghwasangseonyo was published. Particularly, the three types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in 1577 were all Korean annotation, and it seems that they were published with the clear purpose of monk training and study. The publishing of Buddhist scriptures for training and study was a universal trend of Buddhist circles in the late 16th century, but in several Buddhist temples, the publishing of Seonwonjejeonjipdoseo and Beopjipbyeolhaengrokjeolyobyeongipsagi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eign of Seonjo, the 1570’s to 80’s, but in Songgwangsa, these two Buddhist scriptures were not published. These two Buddhist scriptures were the core subjects of iryeok-gwajeong in late Joseon, and along with the increased influence of Cheongheo Hyujeong and Buhyu Seonsu, the publishing became prevalent from the late 16th century, and in Songgwangsa, the two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in 1608 after Japanese Invasion. This implies that Songgwangsa was a Buddhist temple which was not influenced directly by Hyujeong and Seonsu in the late 16th century, but in the early 17th century,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Buhyu lineage, it came to be the head temple of Buhyu lineage gradually. 16세기는 국가에 의한 폐불기이자 불교계의 암흑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래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16세기는 불교정책 노선의 혼선기이자 갈등기였다. 특히 불교 탄압기로 알려져온 중종대와 선조대에는 국가가 선교양종의 승정체제를 폐지한채 교화론적 불교정책을 지향함으로써 국가의 공식적인 지원이나 통제 없이 불교계가 방치 · 방임되었는데, 실제로 불교계는 왕실의 은밀한 지원과 사적 경제 기반을 통해 유지되었고, 전국의 사찰에서 불서의 간행이 크게 증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16세기 불교계의 실상과 조 선시대 불교사의 전개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송광사는 15세기에 국가 승정체제인 선교양종의 선종에 소속된 사찰이었다. 중앙 불교계와 긴밀한 관계의 사찰로서 일정한 사세와 사상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16세기에 이르러 선교양종의 승정체제가 폐지됨으로써 국가와 불교계의 공식적인 관계가 최초로 단절된 상황에서, 각 사찰들은 저마다 시납전, 사전, 시주 등의 사적 경제 기반을 유지 · 확보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사상 전통을 선별적으로 계승해 가고 있었다. 이는 16세기 전반에 불서 간행이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한 현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송광사는 1529년에『인천안목』, 1531년에『종경촬요』, 『청량화상답순종심요법문』, 『대혜보각선사서』 등을 간행하였다. 이러한 불서의 간행은 송광사가 일정한 경제기반을 통해 16세기 전반에도 건재했다는 점에 대한 방증인 한편, 그 간행 경향을 통해 볼 때 기존의 사상 전통을 일정하게 계승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진각 혜심이 1213년 수선사에서 간행한 종경촬요 를 이 시기에 송광사에서 간행한 사실은 특히 주목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후반의 선조대에 전국 사찰의 불서 간행은 다시 한번 크게 증가하는데, 이는 송광사 또한 마찬가지였다. 1574년에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등을, 1577년에 『초발심자경문』, 『몽산화상법어약록』 등을, 1590년에 『고봉화상선요』를 간행하였다. 특히 1577년에 간행된 불서는 모두 언해본이었는데, 승려 교육과 강학이라는 뚜렷한 목적하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 강학용 불서 간행은 16세기 후반 불교계의 보편적 경향이었으나, 선조 연간인 1570~80년에 여러 사찰에서 『선원제전집도서』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간행이 크게 증가한 반면 송광사에서는 이 두 불서가 간행되지 않았다. 이 두 불서는 조선후기 이력과정의 핵심 교과로서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16세기 후반부터 그 간행이 확산되었는데, 송광사에서는 임진왜란 이후인 1608년에 이르러서야 두 불서가 간행되었다. 이로써 볼 때 송광사는 16세기 후반에 청허 휴정과 부휴 선수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사찰이었으나, 17세기 초 부휴계 문도가 진출함에 따라 점차 부휴계 문파의 본산이 되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16세기 이후의 불교계는 그 불서 간행 양상을 통해 사상 경향 및 재편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므로, 추후 『몽산화상법어약록』, 『선원제전집도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등의 간행 양상, 17세기 전반 송광사의 불서 간행 양상 등을 면밀히 검토한다면 이 시기 불교계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진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허응 보우의 불교사적 위상 재검토

        손성필 ( Seong Phil Sohn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6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조선 명종대에 불교를 중흥하고자 한 승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승정(僧政) 활동과 불교 사상은 각각 이례적이고 독립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불교사적 위상이 제대로 평가받아 오지 못했다. 이는 일반적인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歷史像)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조선시대에 불교가 탄압 받았다는 이미지와 대비돼 보우의 활동이 단지 불교 부흥을 위한 것으로 부각된 반면, 중종대에 단절되다시피 한 불교 전통이 임진왜란 이후 부흥하였다는 불교사 인식에 따라 보우의 사상이 전·후대의 그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거의 주목 받지 못했다. 근래에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기존의 역사상에 오류가 적지 않음이 밝혀지고 있는데, 명종대의 불교정책은 문정왕후의 신앙에 따른 불교 부흥운동이었다거나 훈척세력의 파행적 정치행태였다고만 평가할 수 없으며, 15세기의 불교정책을 계승한 보수적인 정책이자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기도 했다. 선교양종 승정체제의 최고위관료이자 정권의 실력자였던 보우는 정치세력 간의 투쟁으로 희생되었고, 이는 이후 훈척세력에 대한 사림세력의 승리로 기억되었다. 그러나 보우가 주도한 명종대의 여러 불교정책들은 조선후기 불교를 여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보우는 사상적으로 선교일치와 유불일치를 지향하였다. 화엄을 중시하고, 염불을 권장하였으며, 수륙재와 같은 불교의례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사상 경향은 조선후기 불교의 성격과 상당히 유사하나, 그는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중시된 법통 계보 상의 승려가 아니었기 때문에, 법통설에 따른 불교사 인식이 강화되어 갈수록 그 역사적 입지는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고려 중기의 지눌, 조선 초의 기화 등 기존 사상 전통을 토대로 형성된 것이자, 조선 중종·명종대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부응이었다. 그의 사상 지향은 휴정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휴정의 문도를 통해 조선후기 불교계의 보편적 강학체계인 이력과정, 수행체계인 삼문수학 등으로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Heoeung Bowoo (虛應普雨) is well known as a Buddhist monk who tried to restore Buddhism during the era of King Meongjong in Joseon. However his Buddhist political activities were extraordinary and it has been argued that his Buddhist thought was not related to Buddhist thoughts before and after his period. It seems that this appraisal is based on an incorrect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Joseon. However thanks to recent empirical research on Buddhism, it is possible to revalue his activities and thoughts. The Buddhist policy in the King Meongjong`s period led by Bowoo which succeeded 15th century`s Buddhist policy was not only conservative but also very realistic and practical to cope with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He, who was the highest ranked bureaucrat, was sacrificed by political struggle between huncheok (勳戚) and sarim (士林), but various Buddhist policies led by him became the basis of Buddhist polic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thought aimed to create Seon-Kyo congruity (禪敎一致) and Yu-Bul congruity (儒彿一致), and took the views of hwaeom (華嚴), yeombul (念佛) and suryukjae (水陸齋) serious. His thoughts were formed based on existing ideologies such as that of Jinul (知訥) in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or that of Kihwa (己和)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ere a sort of response to challenges of the era in the King Jungjong`s and Myeongjong`s period. They were made more concrete by Cheongheo Hewjeong (淸虛休靜) and were succeeded by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 KCI등재

        『북새기략』의 편찬 경위와 편찬자 문제

        손성필(Sohn, Seong-phil)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북새기략』은 조선후기 북방 지역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술로, 함경북도 지역, 두만강 너머의 만주 지역, 백두산 지역 등에 대한 조선 사회의 커진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북새기략』은 1843년 인행된 전사자본 『이계집』에 수록돼 있어 홍양호의 저술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필사본과 전사자본 『이계집』의 편찬 경위, 『북새기략』의 편찬 방식 등을 분석해 보면, 『북새기략』은 홍양호 생전에 편찬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북새기략』은 홍양호가 저술한 『삭방풍토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동국여지승람』, 『청일통지』 등의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정보를 추가하고 재편하는 방식으로 편찬되었는데, 이에 따라 상충하는 정보가 혼재할 뿐 아니라, 홍양호 사후 편찬된 『만기요람』의 내용이 그대로 발췌돼 있기 때문이다. 홍양호 사후 『북새기략』을 편찬한 것은 그의 손자 홍경모로 보인다. 홍경모는 홍양호의 명실상부한 계승자로서 시종일관 홍양호 문집 편찬과 간행의 주체였고, 지식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그의 특징적 저술 경향이 『북새기략』의 편찬 방식에 확연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북새기략』은 홍양호가 1777년 경흥부사로 부임해 현지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삭방풍토기』의 내용을, 그의 손자인 홍경모가 여러 문헌을 참조해 보완하고 재편함으로써, 『만기요람』이 편찬된 1808년 이후, 전사자본 『이계집』이 인행된 1843년 이전에 편찬한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따른다면 『북새기략』은 재평가가 불가피하며, 독해와 연구를 하는 데에도 주의를 요한다. 조선전기의 지리 정보를 조선후기의 지리 정보로, 청나라 측의 지리정보를 조선 측의 지리 정보로, 이종휘나 홍경모의 인식을 홍양호의 인식으로 오해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Buksae-kiryak has been highly appraised as a work which systematically collecte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northern border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been known that it was written by Hong Yang-ho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owever, if we analyse the bibliography and the content of the book it seems difficult to argue that it has been written during his lifetime. The most important evidence is that Buksae-kiryak includes excerptions from Mangi-yoram, which was published after his death. Considering all the evidence, Buksae-kiryak was completed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y Hong Kyeong-mo, a grandson of Hong Yang-ho who added and rearranged information from other documents to Sakbangpungtogi, which was written by Hong Yang-ho. According to our unders tanding how and by whom it was compiled, th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Buksae-kiryak will be changed.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손성필(SOHN, Seong-phil)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조선시대 불교는 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였고 연구도 부진하였다. 이는 근대기에 형성된 조선시대 불교의 부정적 역사상, 교학 발달사 중심의 불교학 연구경향, 단선적 사회발전론에 치우친 역사학 연구 경향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사실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는 이전 시대에 비해 양적으로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나 그간 이다양한 자료들이 연구에 활용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 연구돼 왔으며, 각 자료의 성격을 고려한 체계적 분석과 종합적 해석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관찬편년사서, 법전, 호적, 양안, 의궤, 지리지, 문집, 일기, 필기, 불교저술, 간행불전, 승려문집, 고승비, 사찰사적, 사찰문서 등의 주요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논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에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되 그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해야 함을 논한 한편, 자료의 종류와 성격에 대한 이러한 개관적인 분석만으로도 다카하시의 여러 담론을 비롯한 기존의 조선시대 불교사 인식이 신중히 재검토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불교는 국가의 전면적인 제재를 받았다고도, 사회적으로 무력했다고도, 사상 전통이 단절되었다고도 보기 어려웠다. 불교정책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고, 불교계는 조선 사회의 일부로서 사회 변화에 대응하였으며, 기존 불교 전통을 능동적으로 계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다양한 자료를 통한 실증적 연구와 균형 있는 시각을 통해 새로운 조선시대 불교의 역사상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한편, 기존의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이 근대기에 형성된 배경과 양상에 대한 연구도 심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불교 사상의 전개 뿐 아니라 불교와 사회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amount of Buddhist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is much greater than in any previous period. However, studies on these materials have thus far not made much progress. Instead, the historical view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for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y such authors as Takahashi, has continued to predominate. In this paper, Buddhist historical materi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those written by the government and the literati (the sajok), and those written by the Buddhist community and monastic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are catalogued: for example, official chronological historiographies, legal codes, household registers, geographical gazetteers, literary collections and diaries of the literati, Buddhist writings and published scriptures, literary collections of monastics, memorial steles for the renowned monks, temple documents, and so on. I conclude that it is hard to maintain the view that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was suppressed in a consistent manner, powerless in society, and discontinued in tradition. Therefore, Takahashi's argu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needs to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