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허응 보우의 불교사적 위상 재검토 = Re-examination of the position of Heoeung Bowoo in Buddhist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3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조선 명종대에 불교를 중흥하고자 한 승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승정(僧政) 활동과 불교 사상은 각각 이례적이고 독립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불교사적 위...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조선 명종대에 불교를 중흥하고자 한 승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승정(僧政) 활동과 불교 사상은 각각 이례적이고 독립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불교사적 위상이 제대로 평가받아 오지 못했다. 이는 일반적인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歷史像)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조선시대에 불교가 탄압 받았다는 이미지와 대비돼 보우의 활동이 단지 불교 부흥을 위한 것으로 부각된 반면, 중종대에 단절되다시피 한 불교 전통이 임진왜란 이후 부흥하였다는 불교사 인식에 따라 보우의 사상이 전·후대의 그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거의 주목 받지 못했다. 근래에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기존의 역사상에 오류가 적지 않음이 밝혀지고 있는데, 명종대의 불교정책은 문정왕후의 신앙에 따른 불교 부흥운동이었다거나 훈척세력의 파행적 정치행태였다고만 평가할 수 없으며, 15세기의 불교정책을 계승한 보수적인 정책이자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기도 했다. 선교양종 승정체제의 최고위관료이자 정권의 실력자였던 보우는 정치세력 간의 투쟁으로 희생되었고, 이는 이후 훈척세력에 대한 사림세력의 승리로 기억되었다. 그러나 보우가 주도한 명종대의 여러 불교정책들은 조선후기 불교를 여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보우는 사상적으로 선교일치와 유불일치를 지향하였다. 화엄을 중시하고, 염불을 권장하였으며, 수륙재와 같은 불교의례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사상 경향은 조선후기 불교의 성격과 상당히 유사하나, 그는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중시된 법통 계보 상의 승려가 아니었기 때문에, 법통설에 따른 불교사 인식이 강화되어 갈수록 그 역사적 입지는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고려 중기의 지눌, 조선 초의 기화 등 기존 사상 전통을 토대로 형성된 것이자, 조선 중종·명종대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부응이었다. 그의 사상 지향은 휴정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휴정의 문도를 통해 조선후기 불교계의 보편적 강학체계인 이력과정, 수행체계인 삼문수학 등으로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oeung Bowoo (虛應普雨) is well known as a Buddhist monk who tried to restore Buddhism during the era of King Meongjong in Joseon. However his Buddhist political activities were extraordinary and it has been argued that his Buddhist thought was n...

      Heoeung Bowoo (虛應普雨) is well known as a Buddhist monk who tried to restore Buddhism during the era of King Meongjong in Joseon. However his Buddhist political activities were extraordinary and it has been argued that his Buddhist thought was not related to Buddhist thoughts before and after his period. It seems that this appraisal is based on an incorrect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Joseon. However thanks to recent empirical research on Buddhism, it is possible to revalue his activities and thoughts. The Buddhist policy in the King Meongjong`s period led by Bowoo which succeeded 15th century`s Buddhist policy was not only conservative but also very realistic and practical to cope with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He, who was the highest ranked bureaucrat, was sacrificed by political struggle between huncheok (勳戚) and sarim (士林), but various Buddhist policies led by him became the basis of Buddhist polic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His thought aimed to create Seon-Kyo congruity (禪敎一致) and Yu-Bul congruity (儒彿一致), and took the views of hwaeom (華嚴), yeombul (念佛) and suryukjae (水陸齋) serious. His thoughts were formed based on existing ideologies such as that of Jinul (知訥) in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or that of Kihwa (己和)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ere a sort of response to challenges of the era in the King Jungjong`s and Myeongjong`s period. They were made more concrete by Cheongheo Hewjeong (淸虛休靜) and were succeeded by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高橋亨, "李朝佛敎" 경서원, 1974

      2 황인규, "懶庵普雨와 조선 불교계의 고승" 보조사상 (24) : 201 ~ 246, 2005

      3 이병욱, "허응당 보우의 사상 구조" 韓國禪學(한국선학) (12) : 95 ~ 124, 2005

      4 보우사상연구회, "허응당 보우대사 연구" 불사리탑, 1993

      5 정혜정, "허응당 보우(虛應堂普雨)의 ‘일정론(一正論)’과 그 사상적 의의" 동양철학 23 (23) : 1 ~ 22, 2005

      6 "한국불교문화종합시스템" 동국대학교,

      7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8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

      9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1 高橋亨, "李朝佛敎" 경서원, 1974

      2 황인규, "懶庵普雨와 조선 불교계의 고승" 보조사상 (24) : 201 ~ 246, 2005

      3 이병욱, "허응당 보우의 사상 구조" 韓國禪學(한국선학) (12) : 95 ~ 124, 2005

      4 보우사상연구회, "허응당 보우대사 연구" 불사리탑, 1993

      5 정혜정, "허응당 보우(虛應堂普雨)의 ‘일정론(一正論)’과 그 사상적 의의" 동양철학 23 (23) : 1 ~ 22, 2005

      6 "한국불교문화종합시스템" 동국대학교,

      7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8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

      9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11 김돈,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9

      12 강덕우, "조선중기 불교계의 동향: 明宗代의 佛敎施策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56), 1994

      13 김범, "조선전기의 왕권과 정국운영 : 성종·연산군·중종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4 손성필, "조선시대 승려 賤人身分說의 재검토 -高橋亨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40) : 51 ~ 81, 2013

      15 황선화, "조선시대 명종조의 불교중흥정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대, 1975

      16 손성필, "조선 중종대 불교정책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상사학 (44) : 39 ~ 81, 2013

      17 김성우, "조선 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2001

      18 박영기, "순교자 보우선사" 한길사, 2000

      19 박영기, "미래불교의 향방: 목정배박사화갑기념논총" 1997

      20 강호선, "고려말 나옹혜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1 지관, "韓國高僧碑文總集: 朝鮮朝·近現代"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22 "韓國文集叢刊" 한국고전번역원,

      23 "韓國佛敎全書" 동국대출판부,

      24 강석근, "虛應堂 普雨의 一正論과 不二的 世界觀" 불교어문논집 (5), 2000

      25 한태식, "虛應堂 普雨禪師의 淨土觀" 한국불교학 (56) : 93 ~ 132, 2010

      26 한태식, "虛應堂 普雨禪師의 『勸念要錄』 연구" 한국불교학 (53) : 99 ~ 135, 2009

      27 朴映基, "虛應堂 普雨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28 "朝鮮王朝實錄 佛敎史料集"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9 김돈, "朝鮮前期 君臣權力關係硏究" 서울대출판부, 1997

      30 정만조, "朝鮮中期 政治史 연구에 대한 재검토" 한국학논총 25 : 89 ~ 111, 2003

      31 김우기, "朝鮮中期 戚臣政治硏究" 집문당, 2001

      32 최이돈, "朝鮮中期 士林政治構造硏究" 일조각, 1994

      33 홍사성, "朝鮮中期 佛敎中興運動攷" 동국사상 (10·11), 1978

      34 허준, "朝鮮 明宗代의 國政運營觀" 한국사상사학 (38) : 89 ~ 130, 2011

      35 조계종교육원, "曹溪宗史: 고중세편" 조계종출판사, 2004

      36 한춘순, "明宗代 勳戚政治 硏究" 혜안, 2006

      37 황인규, "懶庵普雨의 생애와 불교계 문도" 동국사학 (40), 2004

      38 박해당, "己和의 佛敎思想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9 박해당, "己和의 三敎論" 태동고전연구 (12), 1995

      40 신법인, "休靜의 捨敎入禪觀 : 禪家龜鑑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7), 1982

      41 박해당, "『현정론』과 『유석질의론』의 삼교론" 불교학연구 (10) : 173 ~ 202, 2005

      42 손성필, "17세기 전반 高僧碑 건립과 조선 불교계" 한국사연구 (156) : 145 ~ 190, 2012

      43 손성필,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와 그 서지사적 의의" 서지학연구 (54) : 359 ~ 379, 2013

      44 손성필, "16․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