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계 진해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증식과 제한영양염 분포특성

        손문호(Son, Moonho),김동선(Kim, Dong-Sun),백승호(Baek, Seung-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춘계 진해만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염 농도 및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총 23개 정점에 서 2010과 2011년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지리지형학 특성과 오염물 부하를 고려하여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 다.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해역별 영양염 제한은 해수 순환이 원활한 중앙해역인 구역 II에서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다음으 로 서남해역의 구역 III과 IV에서는 17%-83%의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마산만 인근의 반폐쇄적인 구역 I에서는 35%이하로 낮게 관찰되었다.연도별 영양염 공급원으로는 2010년에는 오·폐수 등에 의한 질소기원 영양염의 유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 였고,2011년에는 강우에 의한 담수유입에 의하여 해역의 저염분화와 더불어 질소,규소,인 계열의 영양염이 동시에 유입되 었다.특히 2010년에는 질소계열의 영양염과 규조류(Pseudo-nitzchiaspp.)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2011년에는 모든 영양염 과 규조류 (Leptocylindrusdanicus)와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결과적으로 춘계 진해만에 유입되는 질소 계열의 영양염은 규 조류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그들의 빠른 영양염 섭취(uptake)로 인하여 해역에 따라서 영양염 절대농도 뿐 만 아니라,영양염 구성성분비의 제한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We investiga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nutrients and phytoplankton dynamics during the spring season in 2010 and 2011 at 23 stations in Jinhae Bay, Korea. The bay is divided into four different zones based on pollutant source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Nutrient limitation (>80%) was significant in Zone II, which is located in central bay and is influenced by the water well mixed from outer bay. The limited nutrient was followed in Zone III and IV that was occupying between 17% and 83%. However, the low levels are being kept below 35% in Zone I,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emi-enclosed eutrophic area of Masan and Haegam bays. Based on the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alysis, the nitrogen (N) sources in 2010 were particularly dominant and it may be due to the water mixing and wastewater formed from bottom layers and sewage. In 2011, major nutrients including nitrogen, silicon and phosphorus were dominant in the bay and are supplied by the river discharge after rainfalls with low salinity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N nutrients being supplied in 2010 are correlated with pennate diatoms Pseudo-nitzchia spp. and is not related to the phytoplankton population densities in 2011.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N 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diatom, and the rapid nutrient uptakes by them are potential nutrient limitation factors in the bay.

      • KCI등재

        살조물질과 황토를 이용한 적조생물 제어에 따른 광합성 효율 및 전자전달율의 차이

        손문호(Son, Moonho),백승호(Baek, Seung-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유해 유독 적조생물의 대발생은 해양생물 건강성과 수산어족자원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대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된 Thiazolidione 유도체(TD49)와 현장에서 적조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살포되는 황토에 대한 살조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적조생물 생사판별과 관련된 자가영양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성엽록소(activity Chl. a), 광합성효율(Fv/Fm), 전자 전달율(electron transport rate, ETR)등을 평가하였다. 대상적조생물은 유해조류 3종과 비유해 조류 1종을 선택하였으며, 유해조류는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 Chattonella marina와 더불어 와편모조류 Heterocapsa circularisquama를 비교하였고, 비유해조류는 은편모조류 Rhodomonas salina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유해조류 3종 은 살조물질(TD49)에 의하여 빠른 시간에 세포가 파괴되어 우수한 살조 효과(>80%)를 보인 반면, 황토에 관해서는 살조효율 이 30%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TD49에 대한 유해조류 3종의 살조효율은 H. circularisquama> C. marina> H. akashiwo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광합성 효율 및 전자전달율 또한 극히 낮게 나타나, 광합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 었다. 반면, 유해조류 3종에 관해서 황토에 대한 광합성 효율과 전자전달율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1). 비유해종 R. salina 은 대조군에 비하여 TD49와 황토의 살조 효과, 광합성효율 및 전자전달율의 차이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TD49물질에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TD49물질은 유해적 조 생물을 선택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며, 현장 적용시 우수한 살조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반면, 황토는 적조생물 제어에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development of worldwide harmful algal blooms(HAB) is a serious problem for public health and fisheries industries. To evaluate the algicidal impact on the HAB species, algicid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and yellow clay were examined, which is focus on assess the algicidal effects and inhibition to photosynthesis of HAB species. To obtain the detailed information, we analyzed the viability of target species related to activity Chl. a, photosynthetic efficiency(Fv/Fm), and electron transport rate(ETR). Cultur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gicidal effects of three harmful species(raphidophyceae Heterosigma akashiwo, Chattonella marina, and dinophycea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and one non-harmful species (cryptophyceae Rhodomonas salina). Our experiments revealed that three HAB species were easily destroyed of the cell walls after TD49 dosing. Also, they had significantly reducing values of active Chl. a, Fv/Fm, and ETR, due to the damage of photosystem II by inter-cellular disturbance. As a result, the algicidal effect(%) for the three HABs were as follows, in the order of greatest to the least: H. circularisquama> C. marina> H. akashiwo. However, the algicidal effect for yellow clay remained to be <30% (p>0.01), implying that it may not have damaged the photosystem II. On the other hand, non-HAB R. salina was promoted at both TD49 and yellow clay treatment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D49 is a good agent for the control of HABs H. akashiwo, C. marina, and H. circularisquama, whereas the yellow clay would not be suitable for the field application based on our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춘계 진해만에서 농도 구배로 첨가한 영양염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성장반응과 군집구조의 명확한 특징

        손문호(Son, Moonho),백승호(Baek, Seung-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는 진해만에서 2010년 부영양화해역(St.1)과 빈영양화해역(St.22)에서, 2011년에는 부영양화해역(St.1, St.5), 중영양화해역(St.19), 빈영양화해역(St.22) 등 해역의 특성이 다른 정점에서 영양염농도구배(Nitrate: 0, 1, 5, 10, 20, 50, 100 μM; Phosphate: 0, 0.1, 0.5, 1, 2, 5, 10 μM)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 및 군집구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2010 년 St.1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첨가군에서는 농도구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성장의 차이를 보였으나(One-way ANOVA:P<0.01), St.22에서는 영염첨농도구배에 따른 영양염첨가효과가 명확하지 않았다. 2010년 St. 1의 질산염 첨가군에서 와편모조류 Heterocapsa triquetra가 우점하였고, 인산염 실험군에서는 규조류 Pseudo-nitzchia spp.가 각각 우점하였다 진해만 중앙의 빈 영양수계 St. 22에서는 질산염농도가 10 μM 전 후에서 Chaetoceros spp.가, 20 μM에서 Thalassiosira spp.가, >50 μM 에서 Pseudo-nitzchia spp. 가 각각 우점하였고, 인산염 첨가시 2 μM 이하에서는 Cylindrotheca spp.로, 5 μM 이상에서는 Pseudo-nitzchia spp.로 우점하였다. 2011년에는 4해역 모두 영양염농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명확한 차이를 보였 다(One-way ANOVA:P<0.01). 하지만, 정점1, 5, 19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2일 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정점 22에서는 실험 6일후부터 반응하였고, 이는 낮은 영양염농도에 적응된 생물군에 갑작스럽게 영양염이 공급되어도 성장 지연 현상이 일어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은 정점1의 낮은 영양염농도에서는 Eucampia spp., Chaetoceros spp.가 높게, 높은 영양염농도에서는 Skeletonema spp.와 Thalassiosira spp.로 나타났다. St. 5에서는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였고, St.19에서는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반면, St. 22에서 는 Thalassiosira spp.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영양염특성이 다른 해역에서 추가적으로 첨가한 영양염은 영양염 농도구배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및 종조성을 차이를 보였고, 이는 각각의 해역의 특성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우점종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라고 판단된다. In order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ccording to the available nutrients, we added nitrate (0, 1, 5, 10, 20, 50, 100 μM) and phosphate (0, 0.1, 0.5, 1, 2, 5, 10 μM) to field samples in a eutrophic site (St. 1) and an oligotrophic site (St. 22) in 2010 as well as a eutrophic site (St. 1, 5), a mesotrophic site (St. 19), and an oligotrophic site (St. 22) in 2011 at Jinhae Bay, Korea. The phytoplankton growth in the areas with additional nitrates and phosphates on St. 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One-way ANOVA:P<0.01). The dominant species at St. 1 in 2010 were Heterocapsa triquetra and Pseudo-nitzchia spp., to which nitrate and phosphate were added,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at St. 22 in 2010 differed between treatment conditions as follows: nitrate treatment Chaetoceros spp. (≤ 10 μM), Thalassiosira spp. (20 μM), and Pseudo-nitzchia spp.(≥ 50 μM) for nitrate treatment; Cylindrotheca spp. (2 μM) and Pseudo-nitzchia spp. (5 μM) for phosphate treatment. Phytoplankton growth in 2011 according to the added nutri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reatment concentrations (One-way ANOVA: P<0.01). Moreover, the beginning of exponential growth in phytoplanktons was different between the eutro-mesotrophic sites (St. 1, 5, and 19) and the oligotrophic sites (St. 22) on day 2 and day 6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phytoplankton growth in the low nutrient condition may be retarded. The dominant species at St. 1 were Eucampia spp. and Chaetoceros spp. in the low nutrient treatment compared to Skeletonema spp., and Thalassiosira spp in the high nutrient treatment. The dominant species at St. 5 and St. 19 were mostly Skeletonema spp. and Chaetoceros spp. However, the dominant species at St. 22 was Thalassiosira sp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hytoplankton growth and composition were different in areas with different nutrient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additional nutrients. Therefore, the nutrients additional algal assay could be indirectly explained why the biomass and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Jinhae Bay has shown spatial differences.

      • KCI등재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오염도 평가

        주재식(Jae Sik Ju),손문호(Moonho Son),조현서(Hyeon-Seo Cho),김평중(Pyoung-Joo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시화호 표층퇴적물 중 지구화학적 특성과 미량금속의 오염도 평가를 위해 입도, 강열감량(I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미량금속(As, Pb, Cd, Cu, Cr, Zn, Ni, Mn, Hg, Fe, Li)을 분석 하였다.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는 2.94~6.35Ø 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퇴적상은 전반적으로 sandy silt(sZ)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표층퇴적물의 성상은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농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5). 특히, 표층퇴적물 중 As, Pb, Cd, Cu, Cr, Zn, Fe, Hg은 평균입도와 상관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IL(Ignition Loss)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이들 원소의 농도가 입도와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화호의 표층퇴적물 관리에 있어서 미량금속의 유입 뿐 만 아니라 유기물의 유입을 병행하여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염도 평가에 있어서 표층퇴적물 중 미량금속 함량의 농축계수와 농집지수는 대부분 약간 오염된 상태를 나타낸 가운데, As의 경우 농축계수와 농집지수 가 오염된 상태를 보였다. 이는 특정 중금속에 의한 농축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울러 비교적 공단지역 및 배수갑문에 근접한 지역은 오염도가 높은 반면, 시화호 중앙부분은 오염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지역적 편차를 고려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시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ollution level of the surface sediment of Sihwa Lake by assessing it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and organic matter. In the surface sediment of Sihwa lake, the mean grain size was between 2.94 and 6.35 Ø and the main type of sediment was sandy silt. The concentrations of As, Co, Cr, Ni, V and Li among the metal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 were correlated with the mean crust concentration (p<0.05). Based on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metals (Cd, Cu, Pb and Zn) and organic matter (Ignition Loss), the concentrations of these metal elements seem to be controlled by the organic matter dilution effect. The trace metal pollution level, determined by applying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environmental standard and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howed the pollution level of As to be either close to or in excess of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at almost all levels. The enrichment factor and geoaccumulation index of As showed that there was an incremental increase of pollution by elements other than V, Cr, Co, Fe, Al and Mn. Moreover, the nearby industrial area and dike were more polluted than the other areas, so the surface sediments in Sihwa lake should be monitor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geological variations.

      • KCI등재

        적조 해수의 광학 및 수질변수 관측자료 분석

        고수윤,백승일,임태홍,전기성,정유진,김필립,이민영,손문호,김예진,김원국,Koh, Sooyoon,Baek, Seungil,Lim, Taehong,Jeon, Gi-Seong,Jeong, Yujin,Kim, Phillip,Lee, Min-young,Son, Moonho,Kim, Yejin,Kim, Wonkook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적조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성현상으로써, 해양생태 및 양식업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현상이다. 다양한 광학원격센서를 이용한 적조탐지 연구가 수행되어왔지만, 기개발된 적조 탐지 알고리즘들은 수심이 얕고, 부유퇴적물이 많은 연안해역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적조 해수의 광학적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원격탐사반사도 및 수중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박현장조사를 통하여 적조해수의 광학변수(원격탐사반사도)와 수질변수(Chl-a<sub>(Spec)</sub>, 총부유물농도, a<sub>ph</sub>, a<sub>d</sub>, 종 동정, Chl-a<sub>(HPLC)</sub>)를 취득하고 광학변수와 수질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메조디니움과 코클로디니움 두가지 적조 종 및 엽록소농도에 따른 원격탐사반사도와 식물성플랑크톤 흡광계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원격탐사반사도의 특정 파장대를 이용한 적조 엽록소농도의 추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조의 엽록소농도와 식물성플랑크톤 흡광계수는 결정계수 0.9의 상관도를 나타냈으며, RE<sub>diff</sub>를 이용한 기법이 B-G ratio를 이용한 기법보다 적조농도를 더욱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