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작업기억용량 개인차가 문장처리 및 자가평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문장처리능력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이중언어사용과 작업기억용량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외국어 능숙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처리과제에서 말속도를 조절하여 인지적 부하량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제2언어 문장처리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며 미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장처리과제로는 개정판 토큰검사(Revised Token Test)를 사용하였으며, 세 가지의 작업기억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다. 문장처리과제의 말속도를 보통 말속도와 빠른 말속도로 구분하여 비언어적 인지 부하량을 조절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로 제시된 문장처리과제 점수를 예측하였으며, 제2언어 자가평가 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작업기억용량과 문장처리 정확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집단에 비해 문장처리과제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말속도 조절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빠른 말속도에서 두 집단 모두 문장처리과제에서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말하기, 듣기에 관한 제2언어 자가평가지수에서도 유의하였으나, 읽기 지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 능숙도(proficiency)를 넘어서 보다 근본적인 인지적 기제(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로서 문장처리능력에 관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Working memory capacity has been argued to serve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involved in various cognitive tasks. It has been of inter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processing in non-native speakers who learned English after puberty. Three different working memory measures were employe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served 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presented under the normal and fast presentation rates. Participants'second language proficiency was assessed based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when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indexes were partialled ou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the factor,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performance on second language processing. Wh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low and high working memory groups, low working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on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than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In sum,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ies of second language processing.

      • KCI등재

        Production Frequency,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for Elderly Adults

        성지은(Jee Eun Sung),모경옥(Kyeong Ok Mo),이지선(Ji Sun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명사 범주별 본보기 산출빈도,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실험 1에서는 전문가 및 보호자 75명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에 필요한 명사 범주 총 17개를 중요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실험 2에서는 노년층 45명을 대상으로 17개의 명사 범주에 대한 생성이름대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 참여하지 않은 노년층 78명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우선순위 3순위 안에 포함되는 6개 범주에서 정리된 각 항목별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한 7점 척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1에 따르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범주는 음식(요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2에서는 가장 많은 본보기 산출빈도를 보인 범주는 신체부위였다. 실험 3에서는 산출 본보기에 대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 평정척도를 표준화점수(Z-score)로 환산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의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명사 범주별 속성에 관한 노년층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normative data on the production frequency and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by semantic category for elderly individuals. Methods: A total of 198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professionals involved in dementia care and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ey ranked 17 semantic categories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timuli required for naming treatment. Forty-five normal elderly individuals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2, in which they were administered a generative naming task. Seventy-eight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3, where they rated the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each noun exemplar obtained from Experiment 2. Results: Experiment 1 revealed that ‘food (dish)’ was ranked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clothes’, ‘fruits’, and ‘body parts’. In Experiment 2, ‘body parts’ generated the highest mean of production frequency among 17 semantic categories. Results from Experiment 3 suggested that the semantic typicality was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familiarity rating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linically important and meaningful given that they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to select stimuli for the naming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한국어 어순 규범성과 문장유형이 노년층 문장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작업기억용량과의 관계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어순 규범성에 따른 문장유형이 노년층 문장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인지기제로써 작업기억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1명의 한국어 사용자 노년층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문장이해과제는 총 3가지 문장유형으로 구성하였으며(능동문-2항동사, 능동문-3항동사, 피동문), 모든 문장유형은 규범 및 비규범 어순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문장이해과제는 의미처리과정이 최소화되고 통사구조에 중점을 두어 평가할 수 있도록 색상을 활용한 픽토그램으로 과제를 구성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숫자 및 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결과(어순 규범성×문장유형), 규범성 및 문장유형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차상호작용 또한 유의하였다. 규범 어순의 경우, 피동문이 가장 낮은 정반응률을 보인 반면, 비규범 어순의 경우에는 능동문-3항동사 문장유형에서의 정반응율이 가장 낮았고, 피동문에서의 정반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장이해과제는 작업기억과제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의 경우, 한국어 어순 규범성에 따라 문장이해과제에서 수행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의 문장이해에 미칠 수 있는 한국어 특징적인 요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yntactic structure as a function of the canonicity of word-order o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for Korean-speaking normal elderly adults. Methods: A total of 51 normal elderl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entence comprehension task (SCT) consisted of three syntactic structures (active sentences with 2-place verbs, active sentences with 3-place verbs, and passive sentences) with the canonicity of word order being manipulated for each syntactic structure. A total of 36 sentences were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using a sentence-picture paradigm. Digit and word span tasks were used as working memory measures. Results: A two-way repeated ANOVA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for sentence type and the canonicity. A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performance was differentially affected by sentence type as a function of canonicity. Participants showed the worst performance on passive sentences under the canonical word order; when sentences followed the non-canonical word order, they exhibited worse performance on active sentences with 3-place verbs. The SCT was highly correlated with working memory measures. Conclusion: Even though Korean is considered a free word-order langu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nonicity of word order affects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for normal elderly adults.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further examine the critic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ge-related changes in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성지은 ( Ji Eun Sung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5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7 No.1

        서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으로 나누었다. 작업치료 수행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옷입기는 여러 단계로 나뉘며 노인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여 보조도구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노화에 대한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결론: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말언어장애군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 측정을 위한 지시하기과제 개발 예비 연구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언어처리과정과 관련된 언어-인지적 근본기제로서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단기 및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평가 과제는 제한적이다. 무엇보다도 구어산출 과정에 문제가 있는 장애군의 경우 구어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따라말하기와 같은 과제로 단기 및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는 것은 이에 관한 결과가 교락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를 다양화하고 구어산출이 아닌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여 개발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말언어장애군의 기억기제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단기 및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예비연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숫자폭 과제(숫자 바로 및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지시하기과제로 변형하였으며 단어폭 지시하기(단어 바로 및 거꾸로 지시하기)과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알파벳폭 및 빼기-2 과제를 한국어로 수정-보완하여 지시하기과제로 개발하였다. 총 55명의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새롭게 개발된 과제들의 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재검사 신뢰도의 과제 별 피어슨 상관계수 범위는 .43~ .77이었으나, 두 개 이상의 과제를 조합하여 복합과제점수를 사용할 경우 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65~.86으로 향상되었다. 숫자폭 과제의 경우 기존의 따라말하기과제와 지시하기과제 간의 공인타당도 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49~ .63으로 같은 자극물이지만 산출 양상에 따라 총분산의 25%~40% 가량만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및 작업기억 과제 별 구인타당도를 살펴보면, 단기기억과제인 숫자 및 단어 바로 지시하기과제는 .7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네 가지 작업기억 지시하기과제의 주성분분석 결과에 따르면 하나의 요인이 총분산의 6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별 문항 내적일치도는 .72~ .73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합 과제를 사용하였을 때 신뢰도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신뢰도 계수 및 주성분분석 결과 또한 영어권 연구와 유사하였다. 향후 연령층을 다양화하여 연령이 과제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산출 양상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deficiencies in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individuals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developed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and/or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that do not require verbal output and thus can be used to assess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in special populations with verbal-output deficits. The specific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test-retest reliability,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item consistency in newly developed pointing span measures. Methods: Digit forward and back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developed by adapting the most commonly used digit forward/backward recall tasks to pointing measures. An alphabet pointing span task and a subtract-2 pointing span measure were developed as working memory tasks. Fifty-five normal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performed all of the tasks. Resul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revealed that the rang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43~0.77. However, test-retest reliabilities increased up to 0.86 when a composite measure was used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fferent tasks. Concurrent validity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inting version of the digit span measures shared only 25~40% of the total variance with the standardized measure of the digit span-recall. As short-term memory measures, digit and word forward pointing span measures were highly correlated (r=0.79).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66% of the total variance for four different working memory pointing task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Waters and Caplan (2003), reporting composite measure increased stabilities and reliabilities for the working memory measures and all of the working memory tasks loaded onto a single facto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ge and output-modality on these tasks.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생성이름대기 능력과 작업기억용량과의 관계

        성지은(Jeeeun Sung),최현미(Hyonmi Choi)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clustering and switching abilities in generative naming of persons with aphasia. Methods: Fourteen healthy adults and 12 persons with aphasia were administered the semantic fluency tasks (animal, market) and the phonemic fluency tasks (‘ㄱ’, ‘ㅇ’, ‘ㅅ’). Digit Forward (DF) and Word Forward (WF) pointing tasks were administered as short-term memory (STM) tasks, while Digit Backward (DB) and Word Backward (WB) pointing tasks served as working memory (WM) tasks. The number of correctly generated words, mean cluster size, the number of clustering, and the number of switching served as dependent measures. Results: For the semantic fluency task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number of clustering, the number of switching, and the number of correctly generated words. For the phonemic fluency tasks,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correctly generated words, mean cluster size, the number of clustering and the number of switching. WM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generated words, mean cluster size, the number of clustering and the number of switching in phonemic fluency for normal controls. In persons with aphasia, W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correctly generated words and the number of clustering in semantic fluency, and with the number of correctly generated words, mean cluster size, the number of clustering and the number of switching in the phonemic fluency. Conclus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sons with aphasia have deficits in searching for generation strategies which is important in generating words independent of semantic systems and phonological processes. The qualitative analyses including clustering and switching components in generative word naming tasks is useful to provide the additionally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cognitive aspects of generating words in persons with aph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