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사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중재가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모경옥(Kyeong Ok Mo),성지은(Jee Eun Sung),정지향(Jee Hyang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환자 6명을 대상으로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semantic feature analysis, SFA)중재가 중재 및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 기타 이름대기, 표준화된 언어 및 인지검사 과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3명은 높은 친숙도 중재 후 낮은 친숙도 중재를 실시하였고, 나머지는 낮은 친숙도 중재를 먼저 실시하였다. SFA 중재는 1) 32개 이름대기 실시(16개: 중재 명사, 16개: 비중재 명사), 2) 범주 나누기, 3) 의미자질 선택, 4) 예/아니요 질문, 5) 이름대기로 실시하였다. 결과: 중재 명사와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 정반응률은 증가하였으나, 중재 명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낮은 친숙도 중재 후 높은 친숙도 를 실시한 집단의 정반응률은 높았으나, 증가폭은 높은 친숙도 중재 후 낮은 친숙도를 실시한 집단이 높았다. 생성이름대기 평균 점수와 언어ㆍ인지 평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K-MMSE 사후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SFA 중재가 DAT의 이름대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재 명사에만 국한된 결과이며 비중재 명사로의 일반화는 제한적이다.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나, 이름대기 향상에 적합한 친숙도 중재 순서는 '고→저'인 것으로 보인다. 생성이름대기와 언어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은 DAT가 퇴행성 질환으로 인지능력은 감퇴되지만, 친숙도에 따른 SFA 중재를 실시한 명사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and generalization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treatment using a familiarity of nouns scale with individuals who have early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Methods: Six individuals with early DAT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individuals with DAT were treated with low familiarity items first then moved to high, whereas the other three began with high familiarity items first. The SFA treatment protocol consisted of 5 stages: 1) confrontation naming of 32 stimuli (16-treated, 16-untreated), 2) category sorting, 3) semantic feature selection, 4) yes/no questions, and 5) nam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reated items after SFA treatment; There were limited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eated items and other naming tasks. In terms of noun familiarity, the High-to-Low group seemed to have greater benefits than the Low-to-High group. Conclusion: Individuals with DA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naming performance on treated items after SFA treatment using a familiarity of nouns scale. However, the treatment effects were not generalized to untreated noun exemplars and other linguistic-cognitive tasks. Furthermore, they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erformance on the K-MMSE, indicating that their disease had progressed. Despite their clear progress with DA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y showed treatment effects on the treated ite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more diverse approaches to language treatments for individual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

      • KCI등재

        Production Frequency,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for Elderly Adults

        성지은(Jee Eun Sung),모경옥(Kyeong Ok Mo),이지선(Ji Sun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명사 범주별 본보기 산출빈도,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실험 1에서는 전문가 및 보호자 75명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중재에 필요한 명사 범주 총 17개를 중요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실험 2에서는 노년층 45명을 대상으로 17개의 명사 범주에 대한 생성이름대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 참여하지 않은 노년층 78명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우선순위 3순위 안에 포함되는 6개 범주에서 정리된 각 항목별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에 대한 7점 척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1에 따르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범주는 음식(요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2에서는 가장 많은 본보기 산출빈도를 보인 범주는 신체부위였다. 실험 3에서는 산출 본보기에 대한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 평정척도를 표준화점수(Z-score)로 환산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전형성 및 친숙도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군의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명사 범주별 속성에 관한 노년층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normative data on the production frequency and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noun exemplars by semantic category for elderly individuals. Methods: A total of 198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professionals involved in dementia care and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ey ranked 17 semantic categories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stimuli required for naming treatment. Forty-five normal elderly individuals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2, in which they were administered a generative naming task. Seventy-eight NEIs participated in Experiment 3, where they rated the semantic typicality and familiarity of each noun exemplar obtained from Experiment 2. Results: Experiment 1 revealed that ‘food (dish)’ was ranked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clothes’, ‘fruits’, and ‘body parts’. In Experiment 2, ‘body parts’ generated the highest mean of production frequency among 17 semantic categories. Results from Experiment 3 suggested that the semantic typicality was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familiarity rating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linically important and meaningful given that they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to select stimuli for the naming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