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존적으로 치료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

        안진환,서희수,Ahn, Jin-Hwan,Seo,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동반 손상이 없는 급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2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초기 진찰과 추시 관찰시 이학적 검사, KT-2000TM 관절검사(arthrometer) 및 후방십자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를 관찰하기 위한 MRI 촬영을 시행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e와 대퇴 사두근 근력 정도, 수상 전 운동 능력으로의 복귀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초기 진찰시와 추시 관찰시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보존적 치료를 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평균 추시 기간은 22.7개월이었다. 결과: 초기 진찰시 이학적 검사에서 관찰된 후방 불안정성은 Grade I이 14례, Grade II가 6례, Grade III가 1례였으며, 추시는 Grade I이 18예, Grade II가 3예였다. KT-2000TM 관절검사는 초기 진찰시 건측과 평균 5.7 mm($3{\sim}12\;mm$)의 차이에서 추시에서는 평균 2.7 mm($0{\sim}7\;mm$)의 차이를 보였고, MRI 촬영을 통한 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는 48.1%에서 69.7%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대퇴 사두근 근력은 평균Good등급이었고, 평균 IKDC knee score는 A등급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급성기 초기에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natural history of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9 and October 2006, w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results of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The subjects consisted of 21 patients. At initial and follow up visits physical examination, $KT-2000^{TM}$ arthrometer and MRI were performed to assess improvement on the knee stability and continuity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ing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ere also checked in all population. Comparing the results of initial and follow up examinations we assessed the natural history of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2.7 months. Results: The posterior drawer test showed 14 cases of Grade I, 6 cases of Grade II and 1 case of Grade III progressing 18 cases of Grade I and 3 cases of Grade II. The mean difference of 5.7mm by $KT-2000^{TM}$ arthrometer was changed Into 2.7mm and the continuity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itially checked by 48.1% on MRI increased to 69.7%. The mean quadriceps muscle strength was grade 'Good' and mean IKDC knee score was nearly grade 'A'.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may get good clinical outcomes on clinical situation and MRI.

      • 생흡수성 핀을 이용한 소아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 - 수술 술기 -

        이수찬,양일순,서희수,Lee, Su-Chan,Yang, Il-Soon,Seo,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목적: 성장판이 남아 있는 청소년기 환자에서 발생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핀을이용한 간단한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외측 및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진단적 관절경 검사를 시행 후, 손상부를 잘 관찰하기 위하여 미세 골절파편과 응고된 혈액을 제거한다. 탐침을 이용하여 골절편을 정복한 상태에서 1.1 mm K-강선을 관절의 전상부에서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임시로 골절편을 고정한다. 드릴 가이드를 관절 내로 삽입 후, poly-p-dioxanone로 만들어진 40 mm 길이의 생흡수성 핀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삽입하여 골절편을 완전히 고정한다. 수술 후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장하지 석고 고정을 4주간 시행하여 술 후 슬관절의 완전 신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론: 전방십자인대에 의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을 생흡수성 핀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으로 고정하는 술기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골절 치유와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Purpose: We describe a new and simple technique for arthroscopic fixation of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avulsion fracture using bioabsorbable pins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Operative Technique: Diagnostic knee arthroscopy is performed using anterolateral and anteromedial portals. Fracture debris and blood clot are debrided to expose the injured site well. The fragment is reduced with the probe and fixed temporarily with a 1.1-mm diameter K-wire that is inserted percutaneously from the anterosuperior aspect of the knee joint. The drill guide is introduced into the joint and the fragment is secured by bioabsorbable, poly-p-dioxanone 1.3-mm pins inserted from different angles. The pins are 40 mm in length. The knee is placed in a long leg cast in extension for 4 weeks to assure that full extension is obtained. Conclusion: Arthroscopic fixation of an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avulsion fracture using bioabsorbable pins is not a technically demanding, suitable method that ensures fracture healing and restores the stability of the joint.

      •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 동반된 회전근 개 병변

        유재철,안진환,김재훈,장문종,서희수,설은진,Yoo, Jae-Chul,Ahn, Jin-Hwan,Kim, Jae-Hoon,Chang, Moon-Jong,Seo, Hee-Soo,Sul, Eun-Ji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및 초음파 (ultrasonography, USG)를 이용해 평가해 보았으며, 검사 소견에 있어서 MRA 및 USG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한 연속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작위로 나누어 MRA 혹은 USG를 시행하였으며,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서 극상근을 중심으로 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여섯 예(MRA 4, USG 2, 8%)에서 극상근에 소규모(1cm 이하)의 전층 파열을 보였으며 극상근의 부분 파열은 21예(MRA 12, USG 9, 26%)에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극상근의 건 병증(tendinopathy)이 15예(MRA 7, USG 8, 19%)에서 관찰되어, 총 42예(53%)에서 극상근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다(MRA 23, 68% USG 19, 41%). 견갑하근의 부분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9예(MRA 6, USG 3, 11%)로 관찰되었다. 두 군간 극상근 병변의 동반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한 MRA 또는 USG검사 상, 약 반 수(53%)의 환자들에서 극상근의 병변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USG군 보다 MRA군에서 다소 높은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MRA가 USG보다 해상도가 더 뛰어 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with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or ultrasonography (USG), and to see any differences in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December 2005, 80 consecutive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with either MRA or USG.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amination. Evaluation were focused on any combined rotator cuff pathologies especially supraspinatus tendon. Results: Small (less than 1 cm) full-thickness SSP tendon tear were seen in 6 patients (MRA 4, USG 2, 8%) and partial-thickness SSP tendon tears in 21 (MRA 12, USG 9, 26%). In addition, supraspinatus tendinopathy were seen in 15 patients (MRA 7, USG 8, 19%). Overall, various SSP pathologies were reported in 42 patients (53%) of the study objects (MRA 23, 68% and USG 19, 41%). Subscapularis tendon partial tears were reported in 9 patients (MRA 6, USG 3, 1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findings between MRA and USG in detecting rotator cuff pathologies (p>0.5). Conclusion: Nearly one half of the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showed various supraspinatus tendon pathology in MRA or USG. Although MRA group showed slight higher percentage of associated rotator cuff pathology than USG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better resolution capacity of MRA than USG.

      • 관절경적 Inside-Out 반월상 연골 봉합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의 운명 - 1예 보고 -

        안진환,이동훈,장문종,서희수,Ahn, Jin-Hwan,Lee, Dong-Hoon,Chang, Moon-Jong,Seo,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1

        반월상 연골 봉합술 시 여러 종류의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술자에 따라 비흡수성 봉합사가 흡수성 봉합사에 비해 안정된 고정력을 제공한다고 하여 비흡수성 봉합사를 선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봉합사가 봉합부위에 지속적으로 남아있을 경우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Inside-Out 반월상 연골 봉합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가 반월상 연골 실질부를 관통하여 후내측 관절막 밖으로 밀려나온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Either absorbable or nonabsorbable sutures can be used in meniscal repair. Some surgeons prefer nonabsorbable sutures because they believe that nonabsorbable sutures improve meniscal healing as compared with absorbable sutures. But, permanent existence of sutures in the lesion could make problems. We report a case of Inside-Out meniscus repair that nonabsorbable sutures came out of the joint capsule tearing the substance of the meniscus.

      • KCI등재후보

        대퇴 전자부 골절에 있어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의 치료 비교

        문영완 ( Young Wan Moon ),서희수 ( Hee Soo Seo ),은상수 ( Sang Soo Eun ),임승재 ( Seung Jae Lim ),박윤수 ( Youn Soo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2

        목적: 대퇴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대퇴 전자부 골절로 수술을 받은 77예 (감마정 35예, 근위 대퇴정 4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출혈량, 수술 시간, 안정 정복 및 내반 고정 여부 등 술기상의 차이 및 골유합 기간, 지연 나사의 대퇴 골두 관통, 나사의 골두내 고정 위치, 골절부 정복의 안정성 여부 등을 비교하였다. 임상적으로는 술 전,후 활동 능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감마정이 근위 대퇴정보다 짧았고 지연 나사의 골두내 고정 위치도 감마정이 유의하게 골두 중심부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변수들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지연 나사의 대퇴 골두 관통은 감마정은 없었고 근위 대퇴정은 2예가 관찰되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감마정은 8예의 지연 나사 근위부 이동이, 근위 대퇴정은 총 6예의 근위부 나사 외측 전위가 관찰되었다.결론: 좁은 대퇴 경부에 두 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근위 대퇴정과는 달리 골질이 좋은 골두 중앙에 한 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감마정은 통계적 의의는 없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인 대퇴 골두 관통을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수술 시간이 짧아 감마정이 근위 대퇴정보다 대퇴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fracture fixation with using Gamma nails and Proximal Femoral Nails (PFN) for treat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5, we reviewed 77 patients who suffered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35 cases of Gamma nails and 42 cases of PFNs). We evaluated the intraoperative blood loss, the operation time, the presence of stable reduction and the varus reduction rate, the union time, cutting-out, the screw head position, the status of the fracture reduction and the complications. The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 in the patients` ambulatory ability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with using Gamma nails was shorter and the screw with using Gamma nails was located more centrally than that with using PFNs. The other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Cutting-out was not noted with Gamma nails, but 2 cases of cutting out were noted with using PFNs. 8 cases of proximal migration were noted with Gamma nails and 6 cases of lateral protrusion of the proximal pin were noted with using PFNs. Conclusion: The Gamma nail for which a single lag screw was inserted centrally had no case of cutting-out, which was in contrast to using PFNs for which two lag screws were used,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o this, the shorter operative time makes Gamma nails more appropriate for the operative treatment of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