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미국 지리 교과서의 기저 사상과 주요 담론: 환경, 인종 그리고 문명

        서태열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4

        When the United States as newly established nation tried transformation and reformation of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in early modern era, modern geography textbooks performed the role of container and agency as diffusing major modern thoughts and discourses. Especially geography textbooks played major and active role in reflecting contemporary social and national demand in American education and nation building. In the early 19th century, geography textbook provided the stadial theory of social development which has sequential progression, and the useful and systematic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race and society. In the late 19th century, geography performed the role of diffuser and major resources for providing new knowledge and perspectives about society, nation and world, and introduced evolutionary ideas of Darwinism as new interpreting tools for natural and human world in textbooks. The focus of the environmentalism in geography textbook was mainl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al phenomena and human phenomena based on environmental determinism which was reinforced by introduction of the evolutionism in late 19th century. The theory o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which consist of stages from savage to barbarous, half-civilized, civilized was introduced from early 19th century, was used to seek social, national direction for development. The theory on the race has provided importa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eties and nations around the world, and made a system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ivilization and the chracteristics of each continents, and contributed to the racial viewpoint of White superiority. 근대 초기에 성립된 국가인 미국이 정치와 사회, 경제와 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혁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지리 교과서는 당대의 중요한 사상 및 담론 들을 반영하고 전파하는 장치이자 시대적인 요구들을 담아내는 용기로서 역할을 하였다. 19세기 초반에 지리 교과서는 환경, 인종, 문명, 사회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 및 지식들을 제공하였고, 사회가 연속적인 발달의 단계를 따라 진보한다는 아이디어인 문명사회발달단계론을 널리 보급하였다. 19세기 후반에는 다윈의 진화론적 사고를 받아들여 교과서에 도입하는 등 사회, 국가,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지식을 공급하는 중요한 원천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지리 교과서의 중요한 내용을 구성하였던 환경론은 주로 환경결정론에 입각하여 사회 및 인문현상을 설명하였는데, 19세기 말 진화론의 등장으로 환경결정론적 설명체계는 더욱 공고하게 되었다. 문명론은 19세기 초반부터 지리 교과서에 도입되어 핵심적인 교과 내용이 되었고, 야만에서 미개, 반문명 그리고 문명으로 이르는 인류 사회의 진화 경로를 제시하여 사회적, 국가적 발전방향의 모색에 중요한 비젼을 제시하였다. 인종론은 인종과 대륙, 그리고 문명수준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하나의 체계를 만들어, 세계의 각 지역의 사회, 국가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틀이 되었고, 백인우월주의적인 관점을 유지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 지리교육과정에서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논의

        서태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1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지리교육과정을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에 의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하나의 체계로 보는 관점이 요구되고 있고, 개별 구성요소의 변화양상과 그 본질적 성격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지리교육 및 지리교육과정의‘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내용의 핵심적 요소인 ‘지식’의 본질과 성격에 대한 보다 깊이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지리교육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지식은 명제적 지리지식과, 지리적 실행 및 절차와 관련되는 수행적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 방법적 지리지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학문적 지혜와 사고방식을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방법적 지식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개인적 지식의 확장성과 구체성에 초점을 두는 개인적 지식 내지 암묵적 지식도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지리교육내용으로서 방법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에 주목함으로써 지식기반사회에서 새롭게 재정립되고 있는 교육 내용으로서 연계망적 지식,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지식과 능력을 획득할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식의 본질, 성격, 형태에 대해 성찰을 통하여 지리적 사고와 탐구가 의미있게 지리교육에 반영될 수 있고, 지리교육은 교육적 의미를 더하게 된다. Recent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demands systematic perspectives on geography curriculum as a operative system with several interacting components. And more deep speculation into the nature and forms of knowledge as key content in geography education and geography curriculum is needed. Geographical knowledge in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declarative geographical knowledge and procedural geographical knowledge which includes practice, procedure and performance in geography. As attentions must be paid to procedural knowledge to utilize academic wisdom and thinking ways in geography, as to personal and tacit knowledge to expand knowledge and to gain concrete knowledge. Considering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personal knowledge as important components in contents in geographical education, the possibility to achieve networking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be getting high. Through this recognition, geographical education will be more educational, and geographical thinking and geographical inquiry will be interwoven meaningfully together.

      • KCI등재

        사회과 지리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서태열,심광택,이간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3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contents of geography teacher's proficiency in evaluation of students achievements, to establish their the performance standard. Generally standards for teacher's proficiency in evaluation of students's achievements could be suggested as five categories: the ability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evaluation, the ability to utilize evaluation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ability to develop and utilize assessments devic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sound evaluation, and the ability to draw out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understand how to use it. However, it has several problems such that it only suggest the nominal and overlapping items and it lacks the hierarchy and systemic structure. In the light of procedural sequence and the subject of geography, these standards could be re-suggested as follow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general principle of evaluation,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subject of geography, the ability to select and develop evaluation devices suited to geography contents, the ability to implement evaluation of geography learning in classroom,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on evaluation. The geography teacher as social studies teacher should implement evaluation which reflect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subject of geography and integrat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to motivate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평가에 있어서 사회과 지리교사에게 필요한 평가전문성의 내용과 이를 바탕으로 지리교사가 평가를 행할 수 있는 수행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교사의 학생 평가전문성 기준으로서 평가하고자 하는 특성에 대한 이해능력,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활용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및 활용능력, 건전한 평가의 질에 대한 이해능력, 평가결과의 산출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능력 등 5가지를 제시하지만, 이러한 기준은 교육평가에 요구되는 당위성만을 열거할 뿐이어서 상호 중첩되고, 무엇보다도 이들 기준들은 체계성 혹은 위계성이 부재하여 개념모형으로서는 가치가 있으나, 실천을 위한 절차모형으로서는 문제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지리평가가 구현되는 절차적 계열성을 중심으로 다시 재구성하면, 평가원리 일반에 관한 이해, 지리 내용영역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 내용영역에 적합한 다양한 평가도구 선정 및 개발, 교실현장의 지리학습 평가실무능력, 평가정보의 활용능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회과 지리교사는 지리교과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반영하는 평가를 함으로써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학습자에게 동기유발이 되도록 평가의 과정과 교수-학습의 과정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길준의 「서유견문(西遊見聞)」에 수록된 세계지리 내용에 대한 고찰

        서태열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3

        This study tried to examine roles and characteristics, meaning of contents and it’s structure of Seoyu-gyeonmun (「西遊見聞」) by Yu Kil-Chun (兪吉濬, 1856-1914), particularly focusing on contents of geography. Yu started to open the viewpoint and vision on the world society through Haegug-dogi (「海國圖志」) guided by Park Khu-Su, and tried to suggest the road-map of enlightenment and illumination in Korea through his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Yu learned ideas of enlightenment through Fukujawa Yukichi (福澤諭吉), and Social Darwinism through Edward S. Morse. Yu positioned geographic knowledge at the starting point and concluding part of his book Seoyu-gyeonmun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Korea an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World, and to expand the horizon and viewpoint on the world. 구한말 개화운동의 선구자인 유길준(兪吉濬, 1856-1914)은 한국 최초로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하고 귀국한 후, 자신의 개화사상을 담은 「서유견문(西遊見聞)」을 연금(軟禁) 생활 중에 집필하였다. 유길준은 박규수(朴珪壽)에게서 받은 지리 서적인 「해국도지(海國圖志)」 등을 통해 세계적 흐름을 보는 눈을 넓히기 시작하여, 유학중 일본에서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문명론과 미국에서 에드워드 모스(Edward S. Morse)의 사회진화론을 배워 조선의 개혁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고, 그 방향에 따라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그의 지리적 관심과 세계문명의 대한 관심은 일생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그가 쓴 대표적인 개화와 계몽을 위한 서적인 「서유견문」의 시작과 끝에는 세계에 대한 지리 지식이 위치하고 있었다. 「서유견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방면에 걸친 조선의 개화와 개혁의 전망을 제시하였는데, 처음과 끝에 포진한 세계지리 내용은 자연세계에서 시작하여 국가와 사회로 관심을 옮긴 다음 세계적 관점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자 장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