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풀무치의 군집형과 단독형 뇌의 인산화 차이비교 분석

        서종복,푸영,고영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단독형 풀무치에서 군집형 풀무치로의 전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단독형과군집형 풀무치의 뇌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인산화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백질의 기능과 활성은많은 부분 인산화에 의하여 조절이 된다. 그러므로, 인산화에서 차이가 나는 단백질들을 밝혀내면, 친환경적으로군집형 풀무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낟.

      • 뽕나무 하늘소(Apriona germari Hope)로부터 Beauveria 속 사상균의 분리 및 PCR 에 의한 동정

        서종복,진병래,윤형주,마영일,강석권 한국잠사학회 199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37 No.2

        To develope a microbial pesticide for the control of mulben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Beauveria spp.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ed Apriona germari larvae. The morphology of Berauveria spp. Was observed by phase contra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the Beauveria spp. Isolated from Apriona germari were identified by the rando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auveria spp., SFB-1A and SFB-3A, issolted from Apriona germari were identified with B. bassiana and B. brongniartii,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is effective for the identification of Beauveria spp.

      • 흰굳음병균(Beauveria bassiana) 포자의 대량배양을 위한 고체배지의 개발

        서종복,진병래,신상철,박호용,이범영,이창근,강석권 한국잠사학회 199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38 No.1

        To develope a solid culture media for the mass culture of Beauveria bassiana conidia, wheat bran was seleted as C source and N source. The pellet media were prepared without(P-I) and with (P-II) solidified ingredient. The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on he media type was more effective in media of pellet type that powder type. In addition, production of Beauveria bassiana conidia on the media size was more effective in media of S type(Ø 7 mm). And the yield of Beauveria bassiana conidia at 20°C cultivation on 3 weeks post inoculation was similar to that of 25°C. Above-mentioned results showed that pellet medium(P-I) was effective to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suggesting that the pellet media may be useful in the mass production of Beauveria bassiana conidia.

      • KCI등재

        삼림 토양으로부터 솔잎혹파리 감염 사상균의 분리

        서종복,진병래,신상철,이범영,이창근,강석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4 No.4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To develop a microbial pesticide for the control of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entomopathogenc fungi were isolated from 233 soil samples in the damaged region of Thecodiplosis japonenesis, and identified with Beauveria spp. 29 strains and Paecilomyces spp. 2 strains. The morphology of entomopathogenic fungi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roscope. In addition, the toxicity of entomopathogenic fungi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the toxicity of entomopathogenic fungi isolated from soil samples was determined by bioassay against Thecodiplosis japonensis larvae. The result showed that toxicity of relatively pathogenic strains, Beauveria spp. SFB-168-2 was 82.9%, suggesting that Beauveria spp. SFB-168-2 is effective entomopathogenic fungi for the control of pine gall midges.

      • 흰굳음병균(Beauveria bassiana) 단균사의 대량배양생산을 위한 액체배지 개발

        서종복,진병래,신상철,박호용,이범영,이창근,강석권 한국잠사학회 199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37 No.2

        To develope a liquid culture media for the mass culture of Beauveria bassiana blastospore, wheat bran and soybean cake were selected as a carbon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and final concentration of wheat bran nd soybean cake in liquid culture media were determined by the growth of B. bassiana blastosp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B. bassiana blastospore was effective in the rate of 3 wheat bran : soybean cake and in 5% of final concentration of the liquid culture media, suggesting that the liquid culture media using wheat bran and soybean cake are available.

      • KCI등재
      • 국내자생말벌류의 독액에 존재하는 기능성물질의 분리

        고영호,윤경재,서종복,안효민,김기경,서홍렬,이시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국립생물자원관 곤충표본실, 서울대학교 곤충표본실 및 국립농업과학원 곤충 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국내에는 말벌과에 총 5개 속의 31개 종 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말벌 속에 속하는 Vespa analis parallela Andre (좀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말벌), Vespa ducalis Smith (꼬마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Vespa simillima simillima Smith (털보말벌)의 독액을 오염 없이 분리하여 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굴된 표준 독낭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말벌 독액을 채취하였다. 그 중에 현 재까지 단백체와 발현 유전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현 유전체 분석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말벌의 독샘을 적출 한 후 전체 RNA를 추출하여 RNA seq을 실시하였다. 단백체의 분석 을 위해서는 독액을 Tandem 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대사 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MR (700mHZ)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활용성 연구를 실시 할 예정이다.

      • 국내자생말벌류의 독액에 존재하는 기능성물질의 분리

        고영호,윤경재,서종복,안효민,김기경,서홍렬,이시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국립생물자원관 곤충표본실, 서울대학교 곤충표본실 및 국립농업과학원 곤충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국내에는 말벌과에 총 5개 속의 31개 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말벌 속에 속하는 Vespa analis parallela Andre (좀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말벌), Vespa ducalis Smith (꼬마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Vespa simillima simillima Smith (털보말벌)의 독액을 오염 없이 분리하여 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굴된 표준 독낭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말벌 독액을 채취하였다. 그 중에 현재까지 단백체와 발현 유전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현 유전체 분석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말벌의 독샘을 적출한 후 전체 RNA를 추출하여 RNA seq을 실시하였다. 단백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독액을 Tandem 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대사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MR (700mHZ)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활용성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 한국자생 쌍살벌속 벌들의 독선과 독액 기능성 분석 연구

        고영호,윤경재,김경문,김아영,푸엉,서종복,방우영,김창무,여주홍,이시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국내에는 말벌과에 속하는 5개의 속에 총 32개 종이 분포하고 있다. 말벌속(Genus Vespa)에는 총 10개의 종이 전국적으로 분포를 하고 있는데, 최근에 문제된 외래침입 해충인 등검은 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 Buysson)이 이에 속한다. 본 연구팀은 국내 자생 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과 좀말벌(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Venomics분석을 수행하여, 말벌들의 독선 발현 유전체와 독액에 존재하는 단백체와 대사체에 대한 분석을 완료하였다. 뱀허물쌍살벌속(Genus Parapolybia)에 속하는 큰뱀허물 쌍살벌(Parapolybia indica Saussure)과 뱀허물쌍살벌(Parapolybia varia Fabricius)은 국내자생 종이고, 쌍살벌속(Genus Polistes)에는 왕바다리(Polistes rothneyi koreanus Vecht) 와 별쌍살벌(Polistes snelleni Saussure)을 포함하여 총 10종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에서 왕다바리와 별쌍살벌에 대한 독선 발현유전체와 단백체분석과 대사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Venomics연구의 결과는 쌍살벌속에 속하는 종들의 독선특이 발현 유전체와 독액에 존재는 단백체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유전자원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NIBR201512205)으로 수행되었음)

      • KCI등재

        Solid Phase Microextraction 및 Purge & Trap을 이용한 생물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GC/MS 분석비교

        안윤경,서종복,홍종기,Ahn, Yun-Gyong,Seo, Jong-Bok,Hong, Jongki 한국분석과학회 2001 분석과학 Vol.14 No.5

        생물시료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n-butylbenzene과 1,2-dibromo-3-chloropropane (DBCP)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00{\mu}m$ polydimethyl siloxane (PDMS) fiber를 사용하여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 (SPME) 및 purge & trap 방법에 의해 추출 및 비교하였다. SPME에 의한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85.8%, DBCP의 경우 92.4%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15{\mu}g/kg$, $0.05{\mu}g/kg$로 나타났다. 반면, purge & trap의 경우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115.2%, DBCP의 경우는 80.9%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04{\mu}g/kg$ 및 $0.70{\mu}g/kg$로 나타나 두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 규제하는 검출한계측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The analysis of n-butylbenzene and 1,2-dibromo-3-chloropropane (DBCP)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iota sample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mode. The target compounds, n-butylbenzene and DBCP, in biota samples were extracted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with $100{\mu}m$ polydimethyl siloxane (PDMS) fiber and purge & trap method. The extraction recoveries of these compounds obtained by SPME was 85.8% for n-butylbenzene and 92.4% for DBCP, respectively. Each value of method detection limit were $0.15{\mu}g/kg$ and $0.05{\mu}g/kg$, respectively. While in the case of purge & trap method, the extraction recovery was 115.2% for n-butylbenzene, 80.9% for DBCP and method detection limit were $0.04{\mu}g/kg$ and $0.70{\mu}g/kg$, respectively. The extraction yields and detection limits of these compounds obtained by purge & trap were equivalent to those by SP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