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백질 흡착성을 갖는 막 크로마토그래피용 재생 셀룰로오스 기반 음이온 교환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

        서정현,이홍태,김태경,조영훈,오택근,박호식,Seo, Jeong-Hyeon,Lee, Hong-Tae,Kim, Tae-Kyung,Cho, Young-Hoon,Oh, Taek-Keun,Park, HoSik 한국막학회 2022 멤브레인 Vol.32 No.5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io industry, membrane chromatography with a high adsorption efficiency is emerging to replace the existing column chromatography used in the downstream processes of pharmaceuticals, food, etc. In this study, through the deacetylation reaction of two commercial cellulose acetate (CA) membranes with different pore sizes, the porous regenerated cellulose (RC) supports for membrane chromatography were obtained to attach the anion exchange ligands. The adsorptive membranes for anion exchange were prepared by attaching an anion exchange ligand ([3-(methacryloylamino) prop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groups on the RC supports by grafting and UV polymerization. The protein adsorption capacities of the prepared membranes were obtained through both the static binding capacity (SBC) and the dynamic adsorption capacity (DBC) measurement. As a result, the membrane chromatography with the smaller the pore size, the larger the surface area showed the highest protein adsorption capacity. Membrane chromatography which was prepared by using deacetylated commercial CA support with MAPTAC ligand (i.e., RC 0.8 + MAPTAC: 43.69 mg/ml, RC 3.0 + MAPTAC: 36.33 mg/ml) showed a higher adsorption capacity compared to commercial membrane chromatography (28.38 mg/ml).

      • KCI등재

        < 창선감의록 > 군담(軍談)의 특징과 작자의식

        서정현 ( Jeong Hyeon Seo )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창선감의록 의 군담 이 갖는 특징과 그에 반영된 작자의식을 세기 사대부의 대외관과 관련지어 살피는 데 있다 창선 의 군담이 갖는 특징은 크게 셋이다 첫째 전반적으로 병법의 이치에 의거하여 사실적 합리적으로 기술된다 둘째주인공 화진은 군자형 인물이면서도 침략자를 징치하고 국경을 안정시킨다는 대의 를 실현하기 위해 잔인한 권모술수를 용납한다셋째 친중국적 성향을 지닌 이민족 세력인 안남국이 등장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랑캐 가 아닌 귀중한 동맹 으로 인정받는다 창선 의 군담은 조성기 혹은 다른 세기 사대부 문인의 대외관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그 특징들을 통해 국가 방비를 위한 병법에 대한 깊은 관심과 조예 대외관계에서 유교 사대부로서 가져야할 도덕성에 대한 관점 이민족에 대한 인정 등의 작자의식을 읽어낼수 있다 이는 냉엄한 힘의 논리가 지배하던 세기의 국제 정세 속에서 당대의 사대부 문인들이 어떠한 대처 방안을 모색했는지를 확인하게 한다 또한 그러한 모색이 창선 이라는 한 문학 작품 내에서 형상화되는 양상을 조망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eature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the martial story of < Changseongamuirok (彰善感義錄) >, which are related with the foreign views of Sadebu(士大夫)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artial story of < Changseongamuirok > has total three features. First, it is described by the realistic and reasonable strategy and tactics. Second, the hero of < Changseongamuirok > permits the cruel scheme for the great cause, altough he is a gentleman renowned for his virtue. Third, the other ethnic country which called Annamguk(安南國) appears in < Changseongamuirok >, and it get treated as an alliance which can be trusted instead of barbarians. The martial story of < Changseongamuirok > reflects the Foreign Views of Cho-sungki(趙聖期) or another Sadebu in the 17th Joseon Dynasty, and we can rea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here that the interest and knowledge of strategy and tactics for the national defense, the morality Sadebu should hav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pprove the other ethnic countries as an alliance. By the martial story of < Changseongamuirok >, we can see that how Sade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ndle the crisis practically, when might outweighed logic dominates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we can how that writer’s consciousness is novelized in the martial story of < Changseongamuirok >.

      • KCI등재

        〈옥루몽(玉樓夢)〉 군담에 나타난 징악(懲惡)의 특수성과 그 의미

        서정현(Seo, Jeong-hy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본고는 19세기 장편소설 〈옥루몽〉 속 군담에 나타나는 징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수한 양상과 문학사적 의미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옥루몽〉을 산출한 19세기 소설사의 흐름을 심도 있게 파헤치고자 한다. 군담에 등장하는 주인공 영웅과 적대자의 대결은 주인공과 적대자 양자의 대립을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선악의 대립으로 치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전쟁의 잔혹한 실상을 덮고 주인공의 행위를 영웅적 행위로 거듭나게 만들기 위함이며, 또한 화이론과 ‘충’의 논리가 주요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된다. 작중 서사에서 적대자에 대한 징치, 즉 ‘징악’은 이를 뒷받침하는 중대한 장치로 작동한다. 그런데 〈옥루몽〉에서는 군담의 이러한 경향을 따르면서도, 타 작품과 구분되는 흥미로운 특성을 보인다. 이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방 이민족 출신의 적대자인 축융왕과 탈해의 경우이다. 축융왕과 탈해는 화이론의 이치에 따라 ‘화’가 ‘이’를 교화하고 복속시키는 이치의 한계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화이론의 이상으로는 닿을 수 없는 현실적인 국제관계의 면모를 보여주거나 혹은 유교의 전통적인 가치관에 대립하는 흥미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중국 내부 출신의 적대자인 노균의 경우이다. 〈옥루몽〉에서는 노균의 이율배반적이고 복잡미묘한 심리를 긴 분량을 할애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이상과 그에 반대되는 인간 본연의 욕망 사이의 심각한 충돌을 드러낸다. 셋째, 천상계 출신의 적대자인 소보살과 청운의 경우이다. 작중에서는 두 인물의 악행을 처벌하는 징악의 과정이 거의 생략되어 있으며, 청운의 경우에는 선악 구분의 모호함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이는 그들의 출신성분인 초월계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지상계의 지배질서 혹은 선악의 구도가, 그보다 상위에 있는 천상 존재에 대해서는 구속력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옥루몽〉 군담 속 징악의 특수성은 19세기의 과도기적 성격과 연결지어 이해할 수 있다. 군담에 일반화된 화이론과 ‘충’의 관념, 나아가서는 권선징악에 기반한 선악대립 구도의 균열과 일탈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비단 〈옥루몽〉만이 아닌 다른 장편소설의 군담, 혹은 당대에 널리 성행하였던 단편 영웅군담소설의 경우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근대 이념과 질서의 모순 및 한계를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노력은, 그러나 마지막에는 그를 고수하려는 지점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jingag(懲惡; punishing evil) appearing in kundam(軍談; the military 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 〈Okrumong〉,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ts special aspect and it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this, we intend to dig deeper into the flow of the 19th century novel history that produced 〈Okrumong〉 as well as understanding individual work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antagonist in kundam tends to replac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antagonist with a simple yet clear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This is to cover up the brutal reality of war and make the protagonist"s actions reborn as heroic actions, and the theory of Hwai(華夷論) and the logic of "Chung(忠)" are used as the main criteria for judgment.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th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e antagonist, that is, ‘Jingag’, acts as a critical device to support it. However, while following this trend of kundam, 〈Okrumong〉 shows interesting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works. Thi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ses. First, it is the case of King Chuongyung(祝融王) and Talhae(脫解), who are enemies from a foreign ethnic group in the south. King Chuongyung and Talhae are important in that they directly show the limits of the principle that "hwa(華)" edifies and subjugates "i(夷)"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wai theory. It shows aspects of realistic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cannot be reached by the ideal of Hwai theory, or presents an interesting perspective that opposes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Second, it is the case of Nogyun(盧均), an antagonist from inside China. In 〈Okrumong〉, a long section is devoted to detailed descriptions of Nogyun"s antagonizing and complex psychology. This reveals a serious clash between the ideal to be pursued and the opposite of human desire. Third, it is the case of Sobosal(小菩薩) and Cheongun(靑雲), who are enemies from the heavenly realm. In the story, the process of punishment for the evil deeds of the two characters is almost omitted. And in the case of Cheongun, it even reveals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This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al world, which is their origin. The ruling order of the earthly world centered on China or the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cannot act as a binding force on the higher heavenly beings. The specificity of jingak in 〈Okrumong〉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al period trend of the 19th century. It reveals the cracks and deviations in the composition of the good and evil confrontation based on the generalized theory of Hwai and the concept of "Chung", and furthermore, on the basis of strife. This is a phenomenon that can often be found not only in <Okrumong>, but also in other novels, or in the short stories of heroic soldier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However, these efforts to recognize and overcome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pre-modern ideology and order reveal transitional limitations in that they eventually return to the point of sticking with them.

      • KCI등재

        『소현성록』의 유·불 대립에 나타난 조선조여성신앙의 현실과 그 의미

        서정현 ( Jeong Hyeon Se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3 어문론총 Vol.58 No.-

        본고에서는 『소현성록』 한 작품에 나타난 유·불 대립의 양상 및 그를 통해 드러나는 여성신앙 문제를 중심으로 한 당대의 불교 관련 현실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그런데 4장에서 언급하였듯이 이 작품 이외에도 여성의 불교신앙 문제에 주목하거나 혹은 그와 관련한 단초들을 제시하는 <사씨남정기>, <유씨삼대 록>, <여와전> 등의 작품들이 있으며, 이들은 『소현성록』과 마찬가지로 주로17·8세기의 규방공간을 중심으로 향유되고 있다. 그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여와전>과 <유씨삼대록>에서는 여성 스스로 불교를 배척하려는 움직임을,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에서는 역으로 상층 사대부 남성 작자의 서술을 통해 여성들의 불교 숭상이 자연스러운 생활의 일부임을 드러낸다. 이는 『소현성록』에서는 불교에 대한 옹호의 입장을 개진하되 찬·반 양측의 입장을 균형적으로 반영한 것과는 일정한 차이를 노정하면서, 또한 상호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심화된 영역으로 나아갈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이에 관해서는 추후의 과제로 미룬다.

      • KCI등재

        다면적 주제의식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본 <호질(虎叱)>의 작자 문제

        서정현 ( Jeong Hyeon Se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at why Park Ji-won described the details of <Ho-jil(虎叱)>``s inclusion inexplicitly which has caused the controversy about the original writer of this novel, and how it interrelates with <Ho-jil>``s multifaceted thematic consciousness. By this study, it will make <Ho-jil>``s research works more deeply and solve the controversy about the writer. by examing <Ho-jil>``s ``Jeonji`` and ``Huji``, three people doubt a writer of this novel; unnamed Chinese enraged by the 18th China``s situation, Park Ji-won who copied and modified <Ho-jil>, Sim Yu-bung, the a storekeeper, who had possessed <Ho-jil>. This ambiguity is a intended result by Park Ji-won, rather than just some kind of mistake. Then what is Park Ji-won``s intention? In many preceding researches, it``s estimated at the way to aboid criticism and attacking from the conservative literary world and Confucianists of the day, or to increase reader``s intrest in <Ho-jil>. But these explanation are not enough. On July 27 in 「 Gwan-nae-jeong-sa」, one day before July 28 which includes <Ho-jil>, Park Ji-won described some stories about ``Chun-chu-dae-eui``, and borrowed other people``s voice instead of himself so that the meaning of stories are reinforced. We can understand the controversy about the original writer of <Ho-jil> in the same vein. Indeed, three people who doubt a writer of <Ho-jil> and this novel``s three multifaceted themas can be connceted one-by-one each, and then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Ho-jil> is reinforced. This is the same situation with many preceding researches has connected <Ho-jil>``s main thema and it``s original writher. However, Sim Yu-bung, the third person who can be a writer of <Ho-jil>, has not received attention. So this study proved that Sim Yu-bung can be a original writer of <Ho-jil> sufficiently. In conclusion, Park Ji-won intend that <Ho-jil>``s thematic consciousness become multifaceted, so he described the details of <Ho-jil>``s inclusion inexplicitly and made the controversy about the original writer of this novel. Therefore, the study in the future about <Ho-jil>``s writer and main thema should being Park Ji-won who record this novel intended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of <Ho-j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