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연구」 40년 동안의 창업생태계 연구 동향 고찰 및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리빈 ( Ribin Seo ),최경철 ( Kyung Cheol Choi ),변영조 ( Youngjo Byu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4

        본 논문은 한국중소기업학회 40년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창업생태계 연구 동향을 조명하고, 생산적 창업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생태투입·산출요인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방향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소기업연구’의 창업생태계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행연구는 생산적 창업생태계 조성과 다양한 생태투입요인에 대한 관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생태투입요인과 기업가정신으로 대변되는 생태산출요인 간 인과성을 검증하려는 실증연구에 필요한 측정모형 및 변수개발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는 실무·정책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여 창업생태계 성공요건을 규명하는 사례연구의 불균형적 발전은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효과적 실무·정책적 대안을 제안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국가·지역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혁신동력으로써 생산적 창업생태계의 조성과 효율적 운영이 중요한 오늘날, 향후 실증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생태요인 측정모형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투입→산출→결과→성과]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생태투입·산출요인을 중심으로 창업생태계 측정 모형을 개념화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태투입요인(재정적·지식·제도적·사회적 자본)을 체계화하고, 생태산출요인은 설립, 혁신 및 성과기준 기업가정신으로 개념화하여 측정 가능한 변수로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실증연구에서 생태투입·산출요인 측정 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하고, 각 데이터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창업생태계 측정지표는 생태요인 간 인과성을 검증하려는 후속 연구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Shedding new light on the research trend on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the 40-year history of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 potential measurement framework of ecological inputs and outputs in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that promotes entrepreneurship at geographical and spatial le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the journal, we found that prior studies emphasized the managerial importance of various ecological factors on the premise of possible causalities between the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empirical research to verify the premised causality has been underexplored yet. This literature gap may lead to unbalanced development of conceptual and case studies that identify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ntrepreneurial ecosystems based on experiential facts, thereby hindering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or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reating and operating productive entrepreneurial ecosystems as an innovation engine that drives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develop the measurement framework for ecological factors that can be used in future empirical research. Hereupon, we apply a conceptual model of 'input-output-outcome-impact' to categorize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s identified in prior studies. Based on the model. We operationalize ecological input factors as the financial, intellectual, institutional, and social capitals, and ecological output factors as the establishment-based, innovation-based, and performance-based entrepreneurship. Also, we propose several longitudinal databases that future empirical research can use in analyzing the potential causality between the ecological input and output factors. The proposed framework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which focuses on measuring ecological input and output factors, has a high application value for future research that analyzes the causality.

      • KCI등재

        공동내집단 정체성 재범주화 개입을 통한 NIH(Not-Invented-Here) 신드롬 해소 전략

        서리빈(Ribin Seo) 한국전략경영학회 2021 전략경영연구 Vol.24 No.2

        잠재적 활용 가치가 높은 외부지식을 평가절하 하는 NIH 신드롬(Not-Invented-Here syndrome)은 기업의 혁신 잠재력과 성과 창출력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에 관한 심리적 기제는 표면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입 방식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인 차원에서 외부지식의 흡수·활용을 저해하는 NIH 신드롬의 심리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해소하는 개입 방식을 설계하고 효과성을 실증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사회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NIH 신드롬을 개인의 조직 동일시에 의한 내집단 편향의 결과로 가정했다. 그리고 ① 내·외집단을 포괄하는 상위집단으로 집단경계 지각을 확대하는 공동내집단 정체성 재범주화(common in-group identity recategorization, CIR) 개입과 ② 이와 함께 개인의 내집단 정체성을 인정하는 이중정체성 재범주화(dual-identity recategorization, DIR) 개입이 내집단 편향을 해소하여 외부지식에 대한 직원의 부정적 태도를 개선하는데 유효할 것으로 가정했다.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기술집약적 벤처기업 3개 사의 직원 185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로 가설을 검증했다. 설계한 개입 방식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내·외부지식 원천이 조작된 미공표 혁신 제안서에 대한 평가점수 차이로 NIH 편향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직원의 조직 동일시에 의한 내집단 편향이 NIH 신드롬의 원인임을 확인했다. 현상의 원인인 내집단 편향을 해소하기 위한 개입 방식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CIR 개입은 NIH 편향 감소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DIR 개입의 유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단순 재범주화 개입을 통해 공동내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외부지식에 대한 직원의 태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업의 전략적 혁신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udies report that the NIH (Not-Invented-Here) syndrome, which causes individuals" devaluation of external knowledge with high potential values, can limit firms" potential for innovation and performance. However,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syndrome have been discussed superficially whil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resolve the syndrome has been underexplored in the literature. Against these lacunae, this study based on the social identity theory aims to investigate a psychological cause of NIH syndrome and analyze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designed to resolve the bias. For this, we assumed that individuals with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ould present higher NIH bias due to their strong in-group bias. Using the common in-group identity model, we designed two interventions that would be effective in resolving the NIH bias: the recategorization intervention to recategorize individuals" perceived group boundaries into a superordinate group that embraces their in-groups and out-groups―that is, common in-group identity―and the dual identity-recategorization intervention to establish both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ommon in-group identity of individuals through recategorization. Our hypotheses were tested in a sample of 185 employees in three technology-intensive ventures competing in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To analyze the interventions" effectiveness for resolving the potential NIH bias of employees, we manipulate the knowledge sources (internally generated vs. externally generated) of unpublished innovation proposals drawn from the firms" idea pools. The results reveal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etermines the NIH bias of employees. The recategorization intervention leads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valuation of externally-generated knowledge, indicating its effectiveness for resolving the NIH bias. However, the dual identity-recategorization intervention is ineffective in resolving the bia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mployees" attitude toward external knowledge can be rectified efficiently through recategorization interventions to enhance their common in-group identity.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의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리빈 ( Ribin Seo ),에그나오디 ( Egena Ode ),모하메드알리 ( Mohammed Al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8 No.3

        산업 클러스터 육성은 국가혁신체계 개선, 지역경제발전, 국가경쟁력 제고 등에 효과적인 혁신정책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 경제체제 하에서 지리적 집적을 통한 혁신주체 간 지식확산에 기여하는 산업 클러스터의 전략적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의 핵심구성주체인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은 클러스터의 성공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클러스터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주로 입주여부에 따른 기업성과차이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클러스터의 성공요인으로서 클러스터 내 사회기반시설 확충, 인적자원 풀 조성, 지자체의 일관적 지원 등과 같은 외생요인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내생요인으로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는 클러스터 기업의 혁신과 성과창출에 기여하는 기술, 자원, 지식 및 정보의 교환과 공유를 촉진하는 주요요인이다. 클러스터 참여도를 대변하는 구성주체 간 시장적·비시장적 관계의 강도와 수준이 클러스터의 경쟁력과 기업경쟁우위 원천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러스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그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기업 내·외부에 산재된 지식의 획득, 활용 및 변환에 관한 이론적 체계인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은 클러스터 기업 간 성과차이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자원 및 규모의 한계성으로 전사적 조직학습체계의 구축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관점에서는 관련역량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수의 선행연구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지식확산효과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기업이 성과창출을 목표로 클러스터 내에서 획득가능한 지식과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적 활동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점에서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 및 기업성과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서, 산업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역량이 높은 클러스터 중소기업일수록 기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조직학습역량은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기업성과의 영향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따라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를 시장적 관계(traded interdependences)와 비시장적 관계(untraded interdependences)로, 조직 학습역량을 흡수역량(absorptive capability)과 전환역량(transformative capability)으로 구분하고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각 하위변수에 관한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클러스터 중소기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258의 유효표본을 확보하고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시장적 관계, 비시장적 관계)와 조직학습역량(흡수역량, 전환역량)의 각 하위변수는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학습역량은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기업성과의 유의적 영향관계에서 조직 학습역량이 완전매개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의 지리적 집적만으로 기업성과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주체와 긴밀한 시장적 및 비시장적 관계를 형성하고 활용하기 위한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적극적 노력이 수반될때 성과창출여건이 마련됨을 시사한다. 나아가, 클러스터 참여를 통해 획득가능한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탐색, 확보 및 공유하고, 이를 전략적 기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형태로 가공 및 변환시킬 수 있는 조직학습의 구축과 적용이 선행되어야 성과창출 프로세스가 촉진되는 순차적 관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를 시장적 관계와 비시장적 관계로 이원화하였고 클러스터 참여와 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조직학습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이해의 증진에 기여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함의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는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An industrial cluster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territorial agglomeration of firms, which is effective for knowledge diffusion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n economy. Accordingly,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the positive impact of industrial clusters on firm innovation or performance mainly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in innovation and performance between clustering and non-clustering firms. These works have mainly focused on figuring out exogenous factors of clusters, such as infrastructural resources, labor pools, and local endowments, originating externally. However, the success of clustering firms also depends on endogenous factors including formal economic transactions and social interactions for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members within industrial clusters. Although previous study has argued that firm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spillover of the clusters, referring to learning regions, it is unreasonable to simply assume that positioning in the clusters would lead to active knowledge exchange among cluster members. In this context, organizational leaning is regarded as an effective instrument allowing firms to acquire, exploit, and refine external knowledge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Despit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clustering firms, our understanding of which learning initiatives are needed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o take advantage of the spillover effect of industrial clusters has fallen short of practical and research demand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ossible linkages among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Starting from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its limitations, we propose research hypotheses as two fold: (1) clustering SMEs possessing high levels of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would produce better performance in business than those who do not, and (2) clustering firms’ capability for organizational learning would play a pathway linking between their involvement in industrial cluster and performance. In a sample of 258 SMEs within industrial clusters in Korea, we tested the structured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for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for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the two constructs of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had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positive linkage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represented by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with firm performance was also confirmed. It was notable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mediated fully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firms’ involvement in industrial clusters and performance.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ts attem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pproach in analyzing SMEs’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in terms of their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Moreover, this study expands upon the importance of enhancing organizational learning and relevant cap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lustering SMEs. Detailed implication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 KCI등재

        벤처기업의 R&D협력에서 사회적 자본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리빈(Ribin Se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인 벤처기업이 외부주체와 수행하는 R&D협력에서 협력성과 강화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고찰하고, 각 요인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협력성과는 R&D협력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기업의 경쟁우위에 기여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기술경쟁력과, 해당 기술을 상업적으로 활용하여 달성한 기업성과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R&D협력을 수행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18개 표본기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D협력에서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은 협력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형성에 기여하며,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과 협력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기업가적 지향성-협력성과]의 R&D협력성과 창출구조가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가 내포한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는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In the last decades, technology-oriented small firms, i.e. venture businesses, have been increasingly engaged in R&D collaborations with external parties as strategic mea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Despite ample evidence on the benefit of such collaborations for the firms,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examining whether and how the firms’ social interactions with cooperating partners and their managerial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that benefit. Drawing on the theories of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study is to remedy this gap.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referring to a sum of the value and potential resources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s of collectives, provides an integrated view of social factors among cooperating partners, e.g. strong ties, network stability, trust, reciprocity, shared vision and value. It categorizes these factors into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ory captures firms’ managerial characteristics as a combination of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is addresses firms’ managerial process to utilize and combin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or wealth creation and opportunity realiz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roles social capital among cooperating R&D partner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he collaborating firms play for coll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n R&D collaborations. In terms of the collective performance, this study adopts two indicator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refers to the contribution of a technology developed by a cooperative R&D project to competitive advantage of a firm while business performance is defined as the financial and economic outcome of a collaboration. Using a sample of 218 Korean ventures engaging in R&D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arties, the author finds the significant effects of social capital (i.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n both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Further,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among R&D partners, the more likely it is to foster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firm-level. Most importantly,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firm-level is an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performance. Beyond these novel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R&D collaborati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nd policy are deeply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혼합조직으로서의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추구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지훈 ( Ji-hoon Park ),서리빈 ( Ribin Seo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1 中小企業硏究 Vol.43 No.3

        조직이론을 포함한 경영관리 및 기업가정신 연구 영역의 연구자들은 혼합조직으로서 사회적 기업이 갖는 특성을 가정하여 사회적 기업의 행태 및 성과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관련 연구들이 가정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이중가치, 즉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추구 특성에 관한 근원적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조직이론 및 경영관리 문헌에 기반하여 혼합조직으로서의 사회적 기업이 갖는 이중가치 추구 특성을 일반 영리기업, 비영리조직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한국의 사회적 기업과 영리기업, 비영리조직을 대상으로 조사된 ‘사회적 가치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들 세 유형의 조직이 가지고 있는 ‘이중가치 추구 지향성’과 ‘이중가치 실현을 위한 조직운영’의 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이중가치 통합 지향’은 세 유형의 조직 중 사회적 기업이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가치 실현을 위한 조직운영’과 관련하여서는 세 유형의 조직 중 사회적 기업이 가장 균형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존 관련 연구들이 가정했던 사회적 기업의 조직 혼합성을 영리기업, 비영리조직과 비교하여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cholars have researched social enterprises as hybrid organizations. However,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uniqueness of social enterprises as hybrids is limited, especially comparing thei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traditional types of organization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social enterprises with traditional for-profit and not-for-profit organizations in the aspect of their organizational hybridity by using the data of the Social Valu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ienta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pursuing dual values is weaker than the other two types of organizations. Meanwhil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tent to which an organization operates for realizing dual values is strongest in social enterprises among the three types of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add to the understanding of social enterprises’ organizational hybridity 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tudies.

      • KCI등재

        산업클러스터 내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학습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신우 ( Shin-woo Kim ),서리빈 ( Ribin Seo ),윤현덕 ( Heon-deok Yoon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6 지식경영연구 Vol.17 No.3

        Although the success of industrial clusters largely depends on whether clustering firms can achieve economic performance,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on investigating factors and conditions contributing to the performance enhancement for cluste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long this vein, we adopt the theories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s those success factors for clustering SMEs. This study thus aims at examining what effect social capital accru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actors within clusters has on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and what role organizational learning plays in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firm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operationalized the variables and their measures to develop questionnaire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on literatures. As a sample of 227 clustering SMEs, ou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represented by network, trust, and norm, has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We also found that clustering firms presenting high organizational learning, represented by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placing less value on organizational learning. Furthermor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firm performance is mediated partially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These findings imply not only that the territorial agglomeration of industrial cluster does not guarantee the performance creation of clustering SMEs but that they need to develop social capital among various actors within clusters, facilitating their knowledge diffusion. In order to absorb and mobilize the sha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strategic resources, the firms should improve their capabilit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learning. These expand our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clustering firms. Differentiating from major studies addressing benefits and advantages of industrial cluster, this stud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firm-internal business process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dvancement. Strateg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