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의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리빈 ( Ribin Seo ),에그나오디 ( Egena Ode ),모하메드알리 ( Mohammed Al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8 No.3

        산업 클러스터 육성은 국가혁신체계 개선, 지역경제발전, 국가경쟁력 제고 등에 효과적인 혁신정책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 경제체제 하에서 지리적 집적을 통한 혁신주체 간 지식확산에 기여하는 산업 클러스터의 전략적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의 핵심구성주체인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은 클러스터의 성공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클러스터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주로 입주여부에 따른 기업성과차이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클러스터의 성공요인으로서 클러스터 내 사회기반시설 확충, 인적자원 풀 조성, 지자체의 일관적 지원 등과 같은 외생요인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내생요인으로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는 클러스터 기업의 혁신과 성과창출에 기여하는 기술, 자원, 지식 및 정보의 교환과 공유를 촉진하는 주요요인이다. 클러스터 참여도를 대변하는 구성주체 간 시장적·비시장적 관계의 강도와 수준이 클러스터의 경쟁력과 기업경쟁우위 원천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러스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그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기업 내·외부에 산재된 지식의 획득, 활용 및 변환에 관한 이론적 체계인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은 클러스터 기업 간 성과차이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자원 및 규모의 한계성으로 전사적 조직학습체계의 구축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관점에서는 관련역량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수의 선행연구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지식확산효과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기업이 성과창출을 목표로 클러스터 내에서 획득가능한 지식과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적 활동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점에서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 및 기업성과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서, 산업클러스터 참여도와 조직학습역량이 높은 클러스터 중소기업일수록 기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조직학습역량은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기업성과의 영향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따라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를 시장적 관계(traded interdependences)와 비시장적 관계(untraded interdependences)로, 조직 학습역량을 흡수역량(absorptive capability)과 전환역량(transformative capability)으로 구분하고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각 하위변수에 관한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클러스터 중소기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258의 유효표본을 확보하고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시장적 관계, 비시장적 관계)와 조직학습역량(흡수역량, 전환역량)의 각 하위변수는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학습역량은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와 기업성과의 유의적 영향관계에서 조직 학습역량이 완전매개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의 지리적 집적만으로 기업성과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주체와 긴밀한 시장적 및 비시장적 관계를 형성하고 활용하기 위한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적극적 노력이 수반될때 성과창출여건이 마련됨을 시사한다. 나아가, 클러스터 참여를 통해 획득가능한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탐색, 확보 및 공유하고, 이를 전략적 기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형태로 가공 및 변환시킬 수 있는 조직학습의 구축과 적용이 선행되어야 성과창출 프로세스가 촉진되는 순차적 관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산업 클러스터 참여도를 시장적 관계와 비시장적 관계로 이원화하였고 클러스터 참여와 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조직학습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이해의 증진에 기여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함의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는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An industrial cluster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territorial agglomeration of firms, which is effective for knowledge diffusion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n economy. Accordingly,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the positive impact of industrial clusters on firm innovation or performance mainly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in innovation and performance between clustering and non-clustering firms. These works have mainly focused on figuring out exogenous factors of clusters, such as infrastructural resources, labor pools, and local endowments, originating externally. However, the success of clustering firms also depends on endogenous factors including formal economic transactions and social interactions for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members within industrial clusters. Although previous study has argued that firm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spillover of the clusters, referring to learning regions, it is unreasonable to simply assume that positioning in the clusters would lead to active knowledge exchange among cluster members. In this context, organizational leaning is regarded as an effective instrument allowing firms to acquire, exploit, and refine external knowledge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Despit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clustering firms, our understanding of which learning initiatives are needed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o take advantage of the spillover effect of industrial clusters has fallen short of practical and research demand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ossible linkages among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of clustering SMEs. Starting from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its limitations, we propose research hypotheses as two fold: (1) clustering SMEs possessing high levels of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would produce better performance in business than those who do not, and (2) clustering firms’ capability for organizational learning would play a pathway linking between their involvement in industrial cluster and performance. In a sample of 258 SMEs within industrial clusters in Korea, we tested the structured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for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for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the two constructs of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had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positive linkage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represented by absorptive and transformative capability, with firm performance was also confirmed. It was notable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mediated fully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firms’ involvement in industrial clusters and performance.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ts attem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pproach in analyzing SMEs’ industrial cluster involvement in terms of their traded and untraded interdependences. Moreover, this study expands upon the importance of enhancing organizational learning and relevant cap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lustering SMEs. Detailed implication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