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영화의 정치적 담론에 대한 메타 담론(上): 랑시에르의 예술의 세 가지 체제를 중심으로

        서대정 한국미학예술학회 2022 美學·藝術學硏究 Vol.66 No.-

        1920년대 중·후반부터 영화 담론은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담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30년, 나운규의 <아리랑> 후편상영을 계기로 카프와 통속영화제작집단 사이에 논쟁이 격화된다. 미학의 정치를 주장한 카프 진영은 영화가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는 대신 민중을 교육하는데 기여하고 이를 통해 에토스를 형성하는 일에 복무해야한다는 랑시에르적 의미의 윤리적 예술체제에 사로잡혀 있었다. 일제는 1930년대 후반 전쟁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총 전시체제의 필요성을 역설하기 위하여 영화신체제가 태동시켰다. 사회주의의 이상에 복무하려던 문필가들이 펜의 방향을 일제가 축조한 영화적 에토스로 전환하는 데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일제 패망 후 들어선 미군정기 시절, 친일의 굴레를 벗어나고 민주주의 국가 수립을 위해 가장 필요했던 것은 반민족이란 테제를 타파할 민족영화담론이었다. 그러나 ‘민족’이 향하는 방향이 프롤레탈리아인지 아니면 집합적인 의미의 ‘민중’인지에 따라 운동의 방향성이 달랐지만 민족영화 담론 역시 근본적으로 윤리적 예술체제 하에서 영화를 인식하면서 일제강점기를 답습하고 있었다. 1950-1960년대는 국가가 주도한 명랑 담론과 코리안 리얼리즘 담론이 영화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리얼리즘 담론이 가져온 부정적 현실 인식을 희석할 강력한 수단으로 부각된 명랑은 국민감정을 탈색하여 좋은 것과 이상적인 것의 틀 안에 밀어 넣기 위해 고안된 낭만화 된 채 파시즘적 욕망과 특별한 호응관계를 형성했다 The two opposite trends of politicization of aesthetics that dominated Japanese colonial era, namely, the discourse of enlightenment by KAPF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an ethical system. This cinema discourse, which pass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till vali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when the Japanese Empire was defeated. The “politicization of aesthetics” from Rancière’s perspective was trapped in a clear slogan and failed to advance to “the representative regime of art” After the Korean War, KAPF’s political voice was completely erased and realism discourse took over. The discourse of realism in the late 1950s, which was based on Italian neo-realism, which left a great mark in world film history, was introduced in Korea’s special situation. This is because summoning the spirit of KAPF in a divided country is bound to be socially and politically sanctioned. In addition, the state justified censorship and oppression while sticking to the paradigm of the ethical regime of art, armed with the slogan of “Myung-Rang” and soundness, used by the Japanese. Before the 1970s, the main purpose of Korean cinema discourse was to emphasize the ethos of art emphasized by the ethical regime of art.

      • KCI등재후보

        VR 개념의 리매핑

        서대정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19 디지털영상학술지 Vol.16 No.2

        Currently, VR is recognized as a new medium that will realize the long-cherished dream of mankind. Industry and government do not hide rosy expectations for VR. VR, however, is developing slower than we think, and maybe it will follow the fate of 3D as it is. People argue that VR may be the last version of the cinema as it expands its reach. But VR creates ethical and artistic problems that we don't even think about. VR's 360° screen gives the audience unlimited freedom, but this freedom, on the one hand, breaks up the grammar of the cinema. Early attention to VR's maximized immersion, the documentary quickly introduced the new medium with the aim of dismantling "biased empathy," but on the other hand, we are also in a new ethical dilemma as we ignore it altogether due to the fatigue of the immersion. Then, at this point, we will have to ponder the identity of the new media called VR. The way VR and cinema go will certainly be different. VR's final destination is holograms, and the game will fully absorb VR's strengths. We tried to match VR in some way with the cinema. And tangible results began to show.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more. Because VR breaks down all the basic properties of the cinema: time-based, common observation, frames, montage, and screen. Thus, VR and cinema will evolve into completely different media.

      • KCI등재
      • KCI등재

        1970-80년대 (위)합작 무협영화 다시 읽기

        서대정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2 아시아영화연구 Vol.15 No.2

        The Korean-Hong Kong’ Cooperative film production was almost the only area outside the Cinematic Field that could deflect the political gaze of films and audiences as objects of discipline. In these films,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tatelessness and non-placeness, representative warriors of China and Japan compet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oryeo Dynasty. At this time, the final stage of the showdown is also Taejongdae in Busa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for Korean and Chinese martial artists to cooperate against Japanese oppression. In that circumstance, you can also imagine the scenery of the 1970s when karate and taekwondo compete with Chinese as the main characterswe On the other hand, famous actors in Hong Kong speak Korean openly and discuss the spirit of Chinese martial arts under the landscape of this land and dream of revenge for the master. These strange films, made by the free pastiche of time and space, may have been imprinted on our genes as they formed sub-cultures of cultural topography in the 1970s. Let’s imagine a dangerous assumption at this point that the mainstay of Korean film history in the 1970s is not the writers such as Ha Gil-jong, Yoo Hyun-mok, and Kim Ki-young. In another sense, if it is possible to make a radical claim that it is Cine-Eroticism and video films with the “Madame” series at the forefront, rather than the Korean New Wave that saved the film industry just before starvation in the 1980s, the above hypothesis will definitely need to be reconsidered. This perspective reflects an audience-oriented perspective, not a producer-oriented narrative of a film company. The cooperation films, mainly produced in the martial arts genre, were the breath of Korean films that seemed to choke, furthermore, it was hide and seek or and deviation that deflected the fascist net, and a kind of game in which producers and audiences conspired under very limited and poor conditions. The achievements of Korean films today owe a lot to the game, which has been played for a long time at the reopening theater of a shabby and dark back street. Furthermore, positioning the audience as the subject of the game, not as a passive component of this game, will not only be a legitimate restoration of history, but also a reasonable starting point in exploring the future film landscape.

      • KCI등재

        새로운 플랫폼 시대의 한국화산업 진흥 방안 - 내수 진작을 중심으로

        서대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6

        The Korean film, which is based on Kim Doo-san's <The Fight for Justice>, which was unveiled on October 27, 1919, is celebrating its 100th anniversary next year. Despite the poor industrial environment, the film industry, which was bor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As a result, the box office sales are the seventh in the world in terms of size and the fifth in both the number of audiences and productions did. Although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a relatively small domestic market, it has made very dynamic changes and developments. Bu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ilm industry will no longer be developed industrially. At this point, building a healthy cinema ecosystem is a top priority for all policies and systems for promoting the film industry. Currently, most of the risk factors in the film industry are caused by the damage of the cinema ecosystem. The strengthening of cinema literacy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momentum to create a sustainable cinema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profit model can be regarded as a practical way to search for healthy cinema ecosystem. In the 21st century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m will be consumed in the form of OTT or streaming services rather than theaters. Developing a revenue model for a new platform i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trend. In addition, the theater, which is regarded as the old media, should consider the paradigm shift to make it possible to reverse re-mediation. The screening of alternative content, which is claim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new vitality to the theater, and the introduction of cinema cards will open doors to the stagnant film industry.

      • KCI등재

        왕가위 영화의 상호텍스트성과 트랜스내셔널리즘

        서대정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23 디지털영상학술지 Vol.20 No.3

        홍콩은 그 자체로 트래스내셔널리티의 전시장이다. 이를 가장 명징하게 증 명하는 것이 바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과거 할리우드, 발리우드와 더불어 세계 3대 영화 생산지였던 홍콩이 본격적인 아시아 영화의 허브가 된 것은 1958년 쇼브라더스가 싱가포르에서 홍콩으로 이전하면서부터였다. 청수만에 자리 잡았던 스튜디오를 통해 매년 수십 편에서 백여 편에 이르는 작품을 만들었던 거대제작사, 쇼브라더스는 1970년대 들어서 후발 제작사였던 골든 하 베스트의 외주 제작 방식에 고전하다가 ‘TVB’라는 거대 방송국으로 전환되었 다. 쇼브라더스의 빈자리를 채우던 골든 하베스트는 진정한 혼성 장르 영화를 만들면서 홍콩 영화의 새로운 시대를 개창했다. 왕가위는 홍콩 영상 산업계의 지각변동이 한창이던 1980년에 이 업계에 진입했다. 그는 6년 동안 50여 편에 달하는 시나리오를 창작하면서 다양한 장르를 경험했고 이를 통해 영화적 내 공을 키워나갔다. 유년 시절 상하이에서 홍콩으로 이주한 성장 배경은 그의 필모그래피에 오롯이 새겨져 있다. 왕가위는 아시아 최고의 국제도시이자 트 랜스내셔널의 상징과도 같은 이 도시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했고 라틴 아메리 카, 미국, 일본 문화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자연스 럽게 그의 영화적 모태가 되었다. 왕가위의 작품 세계는 얼핏 ‘홍콩 이야기’처 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덧쓰일 대로 쓰인 영화적 양피지(cinematic-palimpsest)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왕가위 영화는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텍스트적으로 전시되는 공간이며 한편으로는 트랜스내셔널리즘의 전시장과 같다. 그가 창 조한 인물들은 현재를 말하는 대신 과거와 미래를 이야기하며 하나같이 공허하다. 그러나 단일한 정체성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왕가위의 영화 세계는 여 전히 관객들에게 소구된다. 이 세상에서 노스텔지어가 사라지지 않는 한, 그리고 ‘횡단하고’, ‘넘어서고’, ‘관통하는’ 삶의 방식이 퍼져나갈수록 왕가위 영화는 지금보다 훨씬 더 보편적인 차원으로 귀의할 것이다.

      • KCI등재

        고무우카 집권 초기의 영화 경향- 폴란드 학파(Polski Szkoła)를 중심으로 -

        서대정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It can be different for everyone to the answer that art has the power, which can change a society. But there is no alternative view in the idea that art could accept social change more sensitive more than any other media. Nowadays cinema, which has developed by popularity, is a synthetic medium that has been taken a blood transfusion from other arts. So, cinema can't help reacting to progress of other arts and has to considerate the taste of the mass of people. Polish cinema also has changed its color according to social and political transition. Nonetheless, there have been some ideas that stipulate Polish cinema. Popularity of literary cinema and a trace of social realism in 20th century. These were the important and distinctive features in Polish cinema. All of features are very useful in stipulation of Polish Cinema. It started with death of Stalin. Film Polski made Polish Cinema insured aesthetic bridgehead. Film production accomplished industrial background through so-called unit. Many people say that another feature in this era was the opening of auteurism. It started in Europe in 1950'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ssibility of film art. Auteurism could turn back it hegemony that scenario writers and art directors had to film directors. Many critics treated Cinema as form of art after the opening of auteurism for the first time. But a little different auteurism was gathering strength in Poland. Polish auteurism did not declared a separation from literary but it was a driving force in Poland for characteristic directors. Consequently, the black series(Czarny Seria), one of the main themes in this era started with the influence of the auteurism. ‘예술이 사회 변화를 추동할 힘을 지녔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각자의 견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그 답에 상관없이 ‘예술이 사회 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오늘날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높은 대중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성장한 영화는 여타 예술 장르에서 대부분의 미적 장치들을 수혈 받은 종합매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영화는 타 예술 장르의 진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으며, 거대자본이 필요한 특수성으로 인해 대중의 인식의 틀과 취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폴란드 영화 역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서 그 색깔이 달라졌으며, 대중의 기호에 편승하여 겉모습을 달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영화를 규정하는 몇 가지 개념은 존재한다. 타 예술에 비해 월등히 발전한 문학의 자양분을 받아들여 각색 영화가 득세한 점, 이데올로기의 20세기를 거치면서 형성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흔적 그리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요구하는 분위기로 인해 파생된 사회고발 다큐멘터리의 전통으로 폴란드 영화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에도 유용한 폴란드 영화에 대한 위와 같은 개념 규정의 시발점은 스탈린이 사망하고 고무우카가 집권한 1956년 이후의 영화 경향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필름 폴스키(Film Polski)의 성립으로 인해, 폴란드 영화계는 미학적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유닛(unit)이라고 통칭되는 영화 프로덕션의 활성화로 인해 산업적 토대를 완성하였다. 이 시기의 또 다른 특징은 작가주의의 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작가주의(auteurism)는 1950년대에 유럽에서 태동한 것으로써, 영화의 예술 가능성을 열어주는 창문 역할을 했으며, 시나리오 작가나 아트 디렉터에게 주어졌던 영화의 헤게모니를 감독에게 되돌려주었다. 작가주의가 태동하면서 비로소 영화는 온전한 예술로서 대접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폴란드에서는 서구의 작가주의와는 별개로 그들만의 작가주의 경향이 대두되었다. 문학과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하고, 펜으로 글을 쓰듯 카메라로 영화를 완성하는 의미의 작가주의는 아니지만, 영화 제작과정 중에 감독 자신의 색깔을 강조하면서, 기존 문학작품을 자기 스타일대로 각색하는 폴란드식 작가주의는 개성 있는 감독과 영화들을 배출한 원동력이 되었다. 아울러 이시기를 논할 때 가장 중요한 테마 중에 하나로 간주되는 블랙시리즈(Czarny Seria)도 다분히 작가주의의 영향 아래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