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on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부경미,신제구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8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nger-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after a time interval. Also, trait hostility and affectivity at the workplac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in the respons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he leader’s anger-out. 33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to b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ader’s anger-out increases silence behavior when mediated consecutively by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That i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anger rumination and state hostility between the leader’s anger out and organizational members’ silence behavior was verifi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리더의 분노표출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부경미,신제구 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10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leader's anger-out influences subordinates' deviant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the direct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on deviant behavior, but also its indirect effect through anger rumination and whether this indirect effect is moderated (through moderated mediation) by perceived interactional just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Hayes, 2013). A preliminary survey was performed to strengthe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the common method bias was minimized by conducting the survey in two parts with a one-week time interval placed in-between to separate the measurement of the independent and mediating variables and that of the dependent variable. Als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neuroticism, an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 as control variables. The findings confirmed the direct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on deviant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was also verified, where the leader's anger-out strengthened anger rumination to cause an increase in deviant behavior. Furthermore, interactional justice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the leader's anger-out and anger rumination in the form of moderated mediation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hat is, the indirect effect of the leader's anger-out on deviant behavior through anger rumination strengthened when there is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al justice. These findings empirically verify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leader's anger-out influences subordinates' deviant behavior and expands the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분노표출이 조직 구성원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더의 분노표출과 조직 구성원의 일탈행동 간 직접효과와 분노반추(anger rumination)를 경유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간접효과가 상호작용공정성의 인식에 의해조절되는지(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양한 업종의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을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Hayes, 2013)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설문은사전설문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였고, 측정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1차 설문에는 종속변수를 제외하고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설문을 진행하였고, 1주일 시차를 두어 종속변수에 관한 설문을 진행하여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아울러부정정서, 긍정정서, 그리고 개인 성격특성인 신경증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의 분노표출과 조직 구성원 일탈행동 간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리더의 분노표출은 조직 구성원의 분노반추를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일탈행동이 증가되는 것으로나타나 간접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셋째, 리더의 분노표출과 조직 구성원 일탈행동 간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리더의 분노표출이 분노반추를 경유하여 조직 구성원일탈에미치는 간접효과는 상호작용공정성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조건부 간접효과)가 밝혀졌다. 이를 통해, 리더의 분노표출과 조직 구성원의 일탈행동 간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리더의 분노통제는 구성원의 침묵행동을 완화하는가? : 권력거리에 의한 대립효과

        탁제운,부경미,신제구 한국산업교육학회 2020 산업교육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리더의 분노통제(anger-control)가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acquiescent silence behavior)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이러한 관계에서 권력거리(power-distance)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364부)를 분석하였고, 단일 응답원을 대상으로 한 자기보 고식 설문지법에 의해 발생 가능한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문제를 최 소화하고자 사전설문 및 시차를 적용한 본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과 조 건부효과의 심층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 방법과 존슨-네이만 방법 (Johnson-Neyman technique)이 적용된 PROCESS macro(2.16.3)를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리더의 분노통제와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 간 직접효과는 유의하 지 않았다. 둘째, 리더의 분노통제와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 간의 관계가 구성원의 권력거리 인식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대립효과가 확인되었다. 권력거리의 대립효과를 구체적으로 탐색한 결과 권력거리 인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리더의 분노통제가 증 가할수록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은 감소하지만, 권력거리 인식 수준이 높은 경우 에는 리더의 분노통제가 증가할수록 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의 분노통제가 조직구성원의 체념적 침묵행동에 미치는 효과 는 권력거리 인식 수준에 따라 상반되게 나타난다는 것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심화하고 확장하는 의미를 갖는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a leader’s anger-control on the acquiescent silence behavior of subordinat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distance in this relationship. We analyzed 364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a time lag and the pre-questionnaire was tested and reviewed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that could be manifested b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The PROCESS macro (2.16.3) with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Johnson-Nayman Technique were used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and in-depth analysis of condition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leader’s anger-control and the acquiescent silence behavior of subordinates was not confirme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confrontation) of power-dis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control and acquiescent silence behavior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a detailed probing for the confrontation effects of power distance, In the case of low awareness of power distance, the employees’ acquiescent silence behavior decrease as the leader's anger-control increases. On the contrary to this, if the level of awareness of power distance is high, the employees’ acquiescent silence behavior increase as the leader's anger-control increases. This study takes the meaning of furthering the existing study in that it has been deeply established that the effect of a leader's anger-control on the acquiescent silent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contrary to the perceived level of power-dis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