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om Apocalypse to Extinction: Korean Science Fiction and Extinction Discourse in the 2020s

        복도훈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 Vol.13 No.2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extinction in Korean science fiction(SF) in the 2020s. In this paper, extinction is situated in two contexts: climate change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First, Anthropocene extinction is the result of the human capacity for detrimental planetary action, including accelerating the extinction of species, including their owns. Second, mechanical evolutionary extinction is the result of less improved forms of humans social evolution into better forms through technology. In the 2020s, extinction emerged as a thematic lexicon to replace the apocalyptic motif in Korean SF. This paper analyzes antihumanism and antinatalism as forms of extinction discourse in two SF works, Second Moon by Choi Yi-soo and Farewell by Kim Young-ha. The antihumanism in Second Moon is a counter-discourse to the human regeneration project carried out by AI. In contrast, the antinatalism of Farewell is a campaign of human extinction carried out by AI. The narratives of both novels reject antihumanism and antinatalism.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tinction discourse in both novels stems from a self-criticism of humans’ planetary capacity to destroy ecosystems. Climate change and AI are the kind of “X-Risks” that could make the extinction of beings(including humankind), possible. In the 2020s, Korean SF has been mutating through various imaginaries and discourses of extinction. Yet because extinction is a universal vocabulary that refers to the common fate and survival of humans and non-humans, it needs to be conceptualized and imagined with careful intention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민 유진오의 글쓰기에 나타난 교양·교육의 의미 -직업의 소명(beruf)과 젊음의 분투(streben)의 교착-

        복도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Yoo Jin-oh is a Korean elite who has been active as a novelist, a constitutional scholar, an educator, and a politician during the period from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ulture(bildung) and education in Yoo Jin-oh's history of life and writing. Hi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beral arts education after Independence. The important thing in Yoo Jin-oh's culture as an idea, education as practice, and discussion of culture was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identity that continuously promotes and assures the free growth of personal and communal life. The passion and practice of culture and education for Yoo Jin-oh was not irrelevant to the desire for modernity in Korea. Consistent in his writing since Independence was an effort to secure the physical foundation and cultural legitimacy of Korean modernity in the exceptional state. However, it had limitations to 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strive(streben) and vocation(beruf), belief ethics and responsibility ethics, facts and norms as ecumenism, as implied in the act shown by Yoo Jin-oh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유진오는 식민지부터 80년대 민주화운동에 이르는 시기 동안 소설가, 헌법학자, 교육자, 정치가 등으로 다양하게 활동한 한국의 엘리트이다. 이 논문은 유진오의 이력 가운데에서 주로 해방 이후 그의 글쓰기에 나타난 교양과 교육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했다. 그의 교양교육론은 해방 이후의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의 형성과 발전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것이었다. 유진오에게 이념으로서의 교양과 실천으로서의 교육 그리고 문화의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적·공동체적 삶의 자유로운 성장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보증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었고, 무질서를 지양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젊음과 교육에 대한 유진오의 비전을 근대적 소명의식으로 읽고자 했다. 그에게 교양과 교육에 대한 열정과 실천은 한국적 근대성의 형성에 대한 열망이었다. 해방 이후 유진오의 글쓰기에서 일관된 것은 전쟁, 혁명, 쿠데타와 같은 비상사태 에서 근대성의 물적 기반과 문화적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일제말기 유진오가 보여준 행적에서 드러났듯이, 분투와 소명,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사실과 규범 사이에 빚어지는 모순을 절충적으로 해소하려는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 KCI등재

        한국 좀비 아포칼립스 서사의 시체정치: 자본, 국가, 인민의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복도훈 문학과영상학회 2022 문학과영상 Vol.23 No.1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capital, state, and people that provide content to the form constituting the Korean zombie apocalypse narrative. By doing so, we looked at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 necropolitics inherent in the Korean zombie narrative. First, through “Happy Apocalypse!”, we analyzed the nowness of the Korean zombie apocalypse genre. Second, through “Pale Horse”, we considered that today’s capital that zombificated people’s lives is a necronomy. Third, through “Kingdom” and “Asinjeon”, we analyzed the feature of a necropolis that necros the people’s bodies based on physical politics. Finally, through the previous works, we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aspects of the necro-people who resist capital-state governance while creating it. This paper attempted to prove that the Korean zombie apocalypse narrative is the dominant species of Korean popular culture that unconsciously represents the collective fear and hope inherent in the collective form of life of Korean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과 디스토피아—‘좀비 국가’ 표상을 중심으로

        복도훈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3

        이 논문은 전지구적 세계체제의 관점에서 재생산되는 북한에 대한 일련의 디스토피아적인 표상들 그리고 ‘좀비 국가’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전지구적 체제에서 북한은 오늘날 ‘좀비 국가’로 상상된다. 특히 미디어에서 북한 인민은 주권자에게 로봇처럼 절대복종하는 신민이나 기아와 탈출 속에서 ‘호모 사케르’에 가까운 좀비로 비유되고는 한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좀비 국가’ 북한의 이미지가 북한에 대한 실상보다는 북한을 대하는 전지구적 체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려준다는 방법론에 입각해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전제를 통해 북한을 좀비로 비유하는 국내외의 각종 아포칼립스, 디스토피아 소설과 영화, 신문기사 등을 다양하게 검토했다. 그럼으로써 이 논문은 북한을 좀비 국가로 간주하는 시각에 내포된 정치적 상상을 독해하고자 했다. 특히 맥스 브룩스의 포스트 좀비 아포칼립스 소설인 <세계대전 Z>는 전지구적 좀비사태에 대응하는 북한을 모호하게 다룬다. 이 소설에 따르면 북한은 좀비사태에 가장 체계적으로 대응하거나 반대로 전 인민이 땅굴 속에서 좀비로 변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좀비 국가 북한은 전지구적인 세계체제가 정상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라면 어디까지나 예외상태로 남아있어야만 하는 증상적인 국가인 것이다.

      • KCI등재

        정착과 유랑, 1970년대 후반기 한국 피카레스크 교양소설의 두 양상: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1981)과 박태순의 『어제 불던 바람』(1979)을 중심으로

        복도훈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한국문학연구 Vol.0 No.58

        This paper examines two major trends in Korean picaresque novels of the 1970s, focusing on Lee Mun-Yeol 's A Portrait of young days (1981) and Park Tae-Soon' s Yesterday 's Wind (1979). The picaresque novel that emerged in the late 1960s is a genre that emerged in the chaos of the transition of value, which is a mixture of theory and reality, logic and situation, and Korean and foreign characteristics. By the 1970s, however, the picaresque novel required more form and content of the bildungsroman, which is regarded as a symbolic sign associated with youthful contemporary modernity.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the result of the genre mixture, interference, conflict and compromise in the ‘picaresque bildungsroman’ which is between two genres. In the 1970s, Korean picaresque novel appeared in material and hegemonic phases that brought on focus thema such as third world development dictatorship, agricultural phenomenon and urbanization, and formation of popular (youth) culture. This paper distinguishes two aspects of youth, with mobility and interiority in a novel under the conditions of underdeveloped modernity as a plot types. The first is a plot focused on ‘classification’ aiming at the maturity and stabilization of youth, and Lee Mun-Yeol's A Portrait of Young Days corresponds to this. The second is a plot of ‘transformation’ that emphasizes the uncertainty and instability of youth, and this corresponds to Park Tae-Soon's Yesterday's Wind. Superficially, both novels reproduce the wandering of the youth in the form of picaresque, in an era which reality was constantly changing. The artist novel A Portrait of Young Days emphasizes the closure of youth through the form of recall, and chooses a narrative strategy that stabilizes the story of youthful wandering with a poetic epiphany. On the other hand, Yesterday's Wind is a narrative strategy aimed with an infinitely open ending in the story of the wandering and awakening of a young man and woman who are looking for themselves in the perception of real loss of hometowns in Korea from 1950 forward. These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strategies represent the two opposite types of the 1970s picaresque bildungsroman. However, similar to the 1960s, Korean bildungsroman in the 1970s overwhelmingly employed plots of transformations, which also dominated the plots of later bildungsroman. 이 논문은 1970년대 한국의 피카레스크 교양소설의 주요한 두 흐름을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1981)과 박태순의 『어제 불던 바람』(1979)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1960년대 후반부터 출현한 피카레스크 소설은 이론과 현실, 논리와 상황, 한국적인 것과 외래적인 것이 뒤섞인 가치전환의 혼란기에 출현한 장르이다. 그런데 피카레스크 소설은 1970년대에 이르러서 젊음이 동시대의 모더니티와 연관 맺는 상징적 기호로 취급하는 교양소설의 형식과 내용을 보다 많이 요구하게 된다. 이 논문은 피카레스크와 교양소설, 두 장르 간의 간섭, 충돌, 타협 등 장르적 혼효의 결과를 피카레스크 교양소설로 명명하고자 한다. 1970년대 한국의 피카레스크 교양소설은 제3세계 개발독재, 이농현상과 도시집중화, 대중(청년)문화의 형성 등의 물질적․헤게모니적인 정세적 국면 속에서 출현한다. 이 논문은 저개발 모더니티의 조건 속에서 이동성과 내면성을 두루 갖춘 젊음의 두 양상이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바를 플롯의 유형으로 구분했다. 하나는 젊음의 성숙과 안정화를 지향하는 분류의 플롯으로,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이 이에 해당한다. 다른 하나는 젊음의 미결정성과 불안정성을 강조하는 변형의 플롯으로, 박태순의 『어제 불던 바람』이 이에 해당한다. 두 소설 모두 표면적으로는 끊임없는 변화 속에 놓인 시대현실에 어울리는 젊음의 방황을 피카레스크 형식으로 재현한다. 『젊은날의 초상』은 회상의 형식을 통해 젊음의 치열함만큼이나 유한함을 강조하며, 젊음의 방황의 이야기를 시적인 에피파니로 안정화하는 서사전략을 선택한다. 이에 비해 『어제 불던 바람』은 1950년대부터 지속된 전국토의 고향상실이라는 산문적인 현실인식 속에서 자신을 찾아가는 두 젊은 남녀의 방황과 각성의 이야기가 안정 없는 열린 결말을 지향하는 서사전략을 구사한다. 이러한 플롯의 차이는 1970년대 피카레스크 교양소설의 상반되는 두 유형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렇지만 1970년대 한국 교양소설은 60년대와 비슷하게 변형의 플롯이 압도적이며, 이것은 이후에 전개되는 교양소설의 플롯에서도 우세한 흐름을 이룬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복도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disaster(or apocalypse) narrative in the dominant fact of Korea‘s novels of recent by the signifier called ’the end of the world‘. This paper is about the question that model and narrative structure of apocalypse to occur in particular historical point. The point of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fact which that recently apocalypse imagined ‘the end of the world’ rather than ‘the end of capitalism’. And it is a import ideological-narrative symptom in our times. This paper examine thoroughly these symptoms are condense into the apocalypse through utopia and anxiety, naturalizing of disaster, aesthetic movement from sublime[das erhabene] to monstrousness[das ungeheuere]. However, this paper is not interpreted which that the signifier called ’the end of the world‘ appeared in the recent korea fiction is a sign of incompetence for cannot imagine end of oppressive system as capitalism. Rater, we can be said to that the recent writer in korea have begun raising finally on the ability to imagine the future through the concrete shape for ‘end of world’, despite some limits. 이 글은 최근 한국소설에 우세한 묵시록 서사를 ‘세계의 끝’이라는 기표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이 글은 묵시록의 서사적 구조에 대한 탐색과 묵시록의 모델이 특정한 역사적 시점에 발생하는 것에 대한 물음으로 진행된다. 이 글의 요점은 최근의 묵시록이 ‘자본주의의 끝’을 상상하기보다는 ‘세계의 끝’을 상상하는 하는 편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시대의 중요한 이데올로기적-서사적 증상이다. 이 글은 각각 유토피아와 불안, 재난의 자연화, 숭고에서 기괴로의 미학적 이동을 통해 묵시록에 응축된 이러한 증상을 검토한다. 그러나 이 글은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세계의 끝’이라는 기표를 ‘자본주의 등 억압적 체계의 끝’에 대해 상상하지 못하는 무능력의 신호로 해석하지 않는다. 오히려 ‘세계의 끝’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화를 통해 최근의 한국 작가들은 몇몇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상상하는 능력을 비로소 키우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