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비신화의 상황중심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교감적 메시지로서의 기능

        변숙자(Byeon Sook Ja)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3 No.-

        The Mythology is the Message to establish communication of god and human. especially, The Korean Oral Mythology is noted to nature of a Messages and function in that 'A living message' composed by direct communication to recipient of participants in the performance situation of Mythology. The Communication of Oral Mythology that focused on situational context is satisfied on direct contact of actor and audience. The Communication is conducted that The actor relay the message in Mythology to audience for ritual, The audience are response to a message and directly involved performance of Mythology. Therefor Ritual situation called a 'Goot(굿)' that is a intermediary actor and audience is an important factors in Oral Mythology Communication The Oral Mythology is a sympathetic message with recipient layer as you can see from the <Changsega(창세가)> or <Bepodoeopchim(베포도업침)>ㆍ<Cheonjiwangbonpuri(천지왕본풀이)>, It is function as a message on discover their own identity and confirm in their community by exchanging informations of ritual and public. To this end, The Oral Mythology has material for a popular target and helps to understand of the meaning by repeating a similar verse or process.

      • KCI등재

        일반논문 : <칠성본풀이>에 나타난 칠성신앙의 양상

        변숙자 ( Sook Ja Bye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칠성본풀이>는 제주도의 12본풀이 중 하나로 일반신본풀이로는 유일한 사신(蛇神)본풀이이다. <칠성본풀이>의 신격은 사신인데도 ‘칠성신’이라는 명칭을 지니고 있어 북두칠성신과 혼용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 특이하다. 본고는 이러한 신격의 이중적 명칭에 주목하여 사신본풀이로서의 <칠성본풀이>에 나타난 칠성신앙적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칠성본풀이>는 출생화소에서 칠성기자형과 사찰기자형으로 구분되는데, 칠성기자형 화소에는 아이를 낳기까지의 과정에서 칠성제와 칠성신의 관계, 칠성신의 행위와 직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서 칠성신앙적 속성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출생 이후의 서사는 오히려 사신(蛇神)이 되기까지의 과정에 집중된 사신신화로 바뀌면서 칠성신앙적 측면은 약화된다. 그러나 <칠성본풀이>의 칠성기자 화소는 제주도의 일반굿인 불도맞이나 칠성제에서 북두칠성신을 기자신격으로 숭배하는 것과 연관되며, 삼신신앙과 교섭하며 전승되는 과정에서 칠성신앙이 삼신신앙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북두칠성의 영기로 태어난 아이가 사신으로 변신하여 칠성신으로 숭배될 수 있는 것은 뱀과 북두칠성의 풍농신적 속성에서 그 친연성을 발견할 수 있다. <칠성본풀이>가 칠성신앙의 영향을 받았으나, 사신 신화적 측면이 강한 이유는 칠성신의 권능보다 사신의 권능이 강한 신앙권에서 형성.발전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칠성본풀이>는 칠성신앙과 삼신신앙, 칠성신앙과 사신신앙 등 신앙의 통합 양상과 전승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신앙사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One of the 12 Bonpuris of Jeju Island, "Chilseong Bonpuri" is the only snake deity Bonpuri as a common Shinbonpuri. The divinity of "Chilseong Bonpuri" has a title of "Chilseong deity" even though it is a snake deity, thus being particular for being used in mixture with Bukduchilseong deity. Focusing on the dual titles of the divinit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Chilseong faith in "Chilseong Bonpuri" as a snake deity Bonpuri. "Chilseong Bonpuri" is divided into the Chilseong Gija type and the Sachal Gija type according to the stories related to birth. The stories of the Chilseong Gija type specifically present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seong ceremony and deity and the acts and functions of Chilseong deity in the process till the birth of a child, demonstrating the attributes of Chilseong faith strongly. The descriptions after the birth, however, weaken in the aspects of Chilseong faith as it is changed to a snake deity myth concentrated on the process of becoming a snake deity. However, the Chilseong Gija stories of "Chilseong Bonpuri" have something to do with worshiping the Bukduchilseong deity as a Gija divinity in Buldomaji, a common gut of Jeju, or Chilseong ceremony, as well as show the process of Chilseong faith being incorporated into Samshin faith as it was passed down while negotiating with the Samshin faith. Born out of the vigor of Bukduchilseong, the baby is transformed into a snake deity and worshiped as the Chilseong deity, which finds its affinity in the attributes of the snake and Bukduchilseong as deities praying for good harvest. "Chilseong Bonpuri" contains strong aspects of a snake deity myth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Chilseong faith, which means that it was created and developed in the religious zone where the power of a snake deity was stronger than that of a Chilseong deity. "Chilseong Bonpuri" holds som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faith in that it shows the patterns of faith integration and the process of faith transmission including the Chilseong faith, Samshin faith, and snake deity faith.

      • KCI등재

        <무녀도>에 나타난 넋건지기굿의 양상과 서사적 의미

        변숙자(Byeon, Sook-Ja)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7 No.-

        In the narrative of <Munyeodo(무녀도)>,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transmission of the story of the speaker I and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Munyeodo(무녀도)’, ‘Neokgeonjigigut(넋건지기굿, a ritual of the sipirit salvation)’, which connects the end of the narrative and the tradition You need to figure out if it’s playing a role. Therefore, In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ritual character and meaning of <Munyeodo>, focusing on the aspects and narrative functions of the ‘Neokgeonjigigut’ in <Munyeodo>. To this end, the new meaning of <Munyeodo> was investigated based on how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Neokgeonjigigut’ appeared in <Munyeodo> and what functions wer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the narrative. This is meaningful in discovering the value of an open narrative that aims for reconciliation rather than conflict and confrontation by discovering the integrated thinking unique to the Korean people in the narrative of <Munyeodo>.

      • KCI등재

        중등 1급 국어과 정교사 자격연수를 통해 본 중등 국어교사 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변숙자 ( Byeon¸ Sook-j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6

        이 논문은 4개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한 2019. 중등 1급 국어과 정교사 자격연수를 대상으로 중등 국어교사의 재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국어교사 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9. 중등1급 국어과 정교사 자격연수를 분석한 결과, 우선, 교육부 고시 표준교육과정에서 전문역량 영역의 수업 역량 편성 비율이 15~20%로 현저히 낮아 교사의 교과 전문성 신장에 한계로 작용함을 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영역별 교과목 편성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본 역량은 교육 정책, 전문 역량은 수업 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기본 역량에서는 교사의 성찰 역량이 과목으로 편성되지 못했고, 전문 역량에서는 교육공동체 참여, 생활지도 영역 관련 교과목이 편성 비율과 달리 매우 적었다. 또한 교과목 편성 시 기본 역량과 전문 역량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문제점도 나타났다. 보다 바람직한 국어교사 재교육을 위해서는 정교사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의 개선, 국어교사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재교육 과정 설계, 국어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필수 재교육 프로그램 개설·운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re-education in 2019 for the Secondary first grade Qualification training in Korean Language Teachers conducted by the four education offices. Based on this, a desirable direction for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propo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curriculum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s the ratio of competency to curriculum is too low among the areas of expertise. Second, the problem i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basic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is ambiguous when organizing subjects. Based on these problems,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was presen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re-educat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ndard curriculum, form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pen a re-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ir life cycles.

      • KCI등재

        초·중등 교과서 소재 건국신화 교육의 현황 -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변숙자 ( Byeon Sook-j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본고는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교과서를 대상으로 건국신화가 학습제재로 수록되는 양상과 학습활동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교육에서 신화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제시하였다. 현재 건국신화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국어나 문학 교과서뿐 아니라 한국의 고대사를 다룬 사회, 역사, 한국사 등의 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국어 교과서에서는 건국신화가 고대 문학의 대표적 양식이자 영웅 서사의 원형이라는 점을, 역사 교과서에서는 고대 국가의 성립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史料)이자 민족 정체성 확립이라는 역할 수행 측면을 주요 학습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역사교육에서는 초·중·고 모두 고대 한국사의 이해를 위해 건국신화의 역사적 의미 파악을 중요하게 다루는 반면, 국어교육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문학 교과서에서 본격적으로 건국신화를 학습제재로 수록하기 시작하므로, 신화의 교육적 의미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은 물론, 신화교육의 시기가 매우 늦다는 문제가 있다. 신화의 학습내용도 고대 문학의 전형 혹은 영웅 서사의 특성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특히 신화의 본질적 특성인 구비성, 신성성, 상징성은 물론, 건국신화의 생성과 전승 방식에서 발생하는 역사적·정치적 담론으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지 못하였다는 문제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that the foundation myths were included as learning materials and the content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under the current Revised Curriculum of 2009, thus critically present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korean myths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foundation myths are introduced in history textbooks including world and Korean history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covering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s well as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While the Korean textbooks highlight that the foundation myths make a representative style of ancient literature and are the archetype of heroic narratives, the history textbooks present them as historical materials to figure out the foundation process of ancient states and major content of learning to study their roles i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History education places importance on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foundation myths to understand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starts to introduce the foundation myths in full scale only in the 11th literature textbooks, thus dealing wi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yths carelessly and beginning myths education at a very late stage. The learning content of myths also has limitations, being confined to the model of ancient lit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heroic narratives. It is especially problematic that it does not focus on the oral, divine, and symbolic nature of myth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 myths as historical and political discourses in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such myths.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을 통한 국어과 온라인 교육의 방향 탐색

        변숙자 ( Byeon¸ Sook-ja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쌍방향 의사소통 단절 및 온라인 교육 시스템 부실, 교사 역량 부족 및 수업 환경 미흡 등을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하였고, 이에 대한 보완점으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환경 구축 및 교사 전문성 강화, 제도적 지원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의 좋은 점으로, 가정 환경에 기반한 편리성과 시간 활용의 자율성을 가장 긍정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어려운 점으로는 실시간 질문 및 의사소통 제한에 따른 학습내용 이해력 부족을 가장 강하게 인식하였다. 온라인 교육의 공통적 문제점은 의사소통의 단절로서, 의사소통 도구 교과인 국어교육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쌍방향 온라인 수업 플랫폼 활용 확대, 온라인 기반 의시소통 교육 방안 재구조화, 온·오프라인 병행 및 융합 교수·학습 모델 개발,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문화교육 강조를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onlin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teacher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s a problem of online education, and as a complementary point, the two-way communication break. The students presented the most positively about the convenience of online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time use based on the home environment, but the difficult point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due to real-time questions and restrictions on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mon problem of online education is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ommunication tool subject, it was foun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epare a plan to activate communi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신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변숙자(Byeon Sook Ja),현승환(Hyeon Seung Hwan)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4 No.-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myth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middle school 2015 revis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myths are being used as summarized activity summaries in reading area. This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a learning activity that does not consider communication-oriented characteristics such as narrative, sacredness, and orality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yth. The myth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literary communication which is an element of learning in the literary area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Literary communication is an aesthetic experience activity that understands human life and world through literature. Myth education is to practice literary communication activities through myth in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must find educational elements that can connect and communicate myths and modern learners and make them into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In this article, I propose a teaching method for literary communication for Jeju Island Shaman mythology 〈Onecheongang-bonpuri(원천강본풀이)〉.

      • KCI등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전통문화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변숙자 ( Byeon Sook-j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4

        이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국어 교과서에서 전통문화를 학습 제재로 수록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화 향유 역량’과 관련하여 국어 교과서에서 전통문화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고, 전통문화 중 어떠한 내용이 교육 내용으로 선정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총 14종으로 국어 ①~⑥까지 6권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84권에 달한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본문 및 보충·심화 학습 자료로 수록된 전통문화 제재는 총 253편에 달한다. 구체적인 학습활동에 부분적으로 수록된 제재를 합하면 더 많을 것으로 추정 된다. 이 중 본문에 수록된 제재만은 총 154편으로 보충·심화 학습 제재를 제외하자 수록 편수가 현격히 낮아졌다. 전통문화를 본문 학습 제재로 채택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어과 내용 영역별로 전통문화 제재 수록 양상을 살핀 결과 듣기·말하기 영역 40편, 읽기 영역 52편, 쓰기 영역 10편, 문법 영역 28편, 문학 영역 44편이 수록되었다. 듣기·말하기 영역에서는 전통적인 말 문화의 특징을 설명한 글이 가장 많다. 읽기 영역에는 한복·김치·한옥 등의 전통적 의식주 문화, 한지·옹기·풀 문화 등의 기술문화, 민화·해금·하회탈 등 민속 예술에 이르기까지 가장 다양한 제재가 수록되었다. 쓰기 영역에서는 건의문의 형식과 논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상소문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다. 문법 영역에서는 한글의 우수성과 가치를 설명하는 제재가 다수를 차지한다. 문학 영역에서는 구비문학 보다는 기록문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설화보다는 고전소설, 민요보다는 고전시가 작품이 더 많이 수록되었다. 14종 국어 교과서에서 구비문학 작품이 총 6편밖에 수록되지 않아 전통문화 교육에서 구비문학의 중요성이 더욱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문화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될 수 없다. 전통문화가 무엇인지 알아야, 이를 현대 산업문명 안에서 어떻게 접목시키고 개선하고 더욱 훌륭한 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화 향유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국어 교과서에 수록될 전통문화 교육 내용 요소와 선정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e being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as a material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It set out to examine how traditional culture was perceived in Korean textbooks and which content of traditional culture was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apabilities of enjoying culture" sought after i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15. There were total 14 kinds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comprised of six volumes of Korean ①~⑥ each. The total number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mounted to 84. There were total 253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ncluded in them as learning materials for the body or supplementary and advanced purposes. The number was estimated to rise further with the addition of partially included ones to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When the learning materials for supplementary and advanced purposes were excluded,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materials in the body dropped considerably to 154. The low percentage of traditional culture being selected as a learning material for the body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s not big in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being included by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subject and found that there were 40, 52, 10, 28, and 44 in the areas of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respectively. The texts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speech culture accounted for the biggest portion in the area of listening and speaking. The area of reading had the most diverse materials from the traditional food, clothing, and shelter culture including Hanbok, Kimchi, and Hanok through the technical culture including Hanji, Ong-gi, and Pul culture to the folk art including folk paintings, Haegeum, and Hahoi Mask. The area, however, had a limitation of no materials about the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 The area of writing included the most public appeals to explain the forms of a suggestion text and the methods of demonstration. There was a need to actively include writing a field trip report to museums as a unit material in order to organize an experience-based learning activity. The area of grammar was dominated by materials explaining the excellence and value of Hangul. Documentary literature took the center in the area of literature instead of oral literature. There were more classical novels than tales and more classical poems than folk songs in the area. Since there were only six works of oral literature in the 14 kinds of Korean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review more actively the importance of oral literature i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 development of culture cannot be possible with people's ignora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They need to know what traditional culture is in order to incorporate it into the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improve it further, and develop it into much greater culture. It is urgent to establish a set of criteria for the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and selection for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ensure the cultivation of "capabilities of enjoying culture" sought after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 KCI등재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변숙자(Byeon Sook-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행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전 지역의 초⋅중⋅고 교사 579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양상과 전반적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행과 역량 인식은 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영역이 가장 높았다. 반면, 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의 정보판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로는 초>중>고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가장 적합한 과목은 정보 교과로 인식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역할로는 장비⋅시설 대여, 교수⋅학습 자료 개발⋅보급, 역량 강화 연수 등 연구, 연수, 커뮤니티의 중층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 및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제시된 국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함을 시사하는 바, 국어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제고는 물론,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총체적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ly 3,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actice and competency recogni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ethical use of media education area was the highest. It was the lowest in terms of data production using media and information discrimination education area of medi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the order of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 high school’.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information subject. The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in schools was the highest. The role of the school media education center was expected to play a role in research, training, and community as a supporting institution for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e problem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has the most media literacy-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not be activated in the school field.

      • 중등 국어교사의 문학교육 연구자 ‘되기’에 관한 필요성과 방향 탐색

        변숙자 ( Byeon Sook-ja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30 No.0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s literary education researchers. This study raises the issue of the lack of interest in the content aspect of what is being taught in literature education as the aspect of separating literary education from literary life and the methodological aspect are emphasized in the context of the context of the secondary literary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s proposed as a practical methodology for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to become field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rs.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become an analyst who analyzes the sanctions contained in the textbook, puts them into the actual literary education field, and extract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meaning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anctions.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be a critic of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literature les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