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ld-Age Care in Sweden

        백주희(Ju-Hee Baek),손주희(Ju-Heui Son),Steven H. Zarit, Gerdt Sundströ,m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2

        급변하는 노인부양 행동과 가치관의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새로운 노인부양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선진국의 노인부양 시스템을 분석하고 한국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선진국들 가운데서도 노인복지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국 노인부양책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웨덴의 공공 노인부양 시스템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의 다양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왔다. 다학제적인 기반아래 이루어지는 부양 계획(Multidisciplinary Care Plan), 소규모의 양로시설 환경, 그리고 자가거주 노인들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은 한국의 노인부양 정책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웨덴의 노인부양 시스템을 받아들이기에 앞서 급변하는 한국 노인들과 그 부양자들의 가치관과 요구를 충분히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이 앞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wedish public old-age care appears to be highly effective in meeting various needs of physically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ople. Approaches such as multidisciplinary Care Plans, the small scale of residential care settings, and prior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at home which promotes independence and autonomy can be adopted for Korean elder care policies. A close watch of what can be learned from weaknesses and strengths of Swedish old-age care can be useful, considering the aging population and ideological or behavioral changes in elderly caregiving in Korea. However, any adoption of foreign lessons must be evaluated in cultural terms: culturally sensitive programs for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family members are required.

      • KCI등재

        한국 중ㆍ노년기 은퇴 경험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백주희(Ju Hee Baek)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와 2007년 직업력조사 응답자들 중 50대까지 월급을 받는 상시 임금근로자로 장기근속의 조건에 부합되는 262명을 추출하여, 중ㆍ노년 실업자의 재취업 전이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활용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분석대상의 재취업 전이율 알아내기 위해 생명표(Life Table)를 산출해낸 결과, 50대까지 월급을 받는 상시 임금근로자로서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들은 50대 실직 후 평균적으로 65세 이전까지 재취업으로의 진입을 거의 대부분 완료하였다. 다음으로 중ㆍ노년 실업자의 재취업으로의 진입에 어떠한 요소가 영향을 주는지 콕스 회귀분석(Cox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퇴직연령, 성별, 그리고 퇴직 전 근무했던 직종이 재취업으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드러났다. 즉, 퇴직연령이 높을수록 재취업 전이율은 낮아졌고, 여성 실업자가 남성 실업자에 비해 재취업 전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퇴직 전 근무했던 직종의 경우 단순노무 종사자로 일하다 실업한 사람들이 다른 직종 경험자에 비해 재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이 가장 빨랐고 재취업 가능성 또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결론에 제시되었다.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ample, this study analyzed transition rates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and factors contributing the transition for middle and old-age people with the experience of regular age workers. First, the life table indicated that most of retirees tended to make a transition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before age 65. Second, Cox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tirement age, gender, and the type of occupation before retir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transition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Specifically, younger retirees were more likely to make the transition into workforce sooner than older retirees. Male retirees were more likely to be hired sooner than female retirees. Finally, retirees who worked as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get jobs sooner than retirees with the other occupational experiences. The implication of results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치매노인의 요양시설 입소에 미치는 영향

        백주희(Baek, Ju-Hee)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2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배우자와 성인자녀가 접하는 어려움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들은 이들을 한 집단으로 묶어 요양시설로의 입소에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미국 뉴저지(New Jersey)와 오하이오(Ohio)주에 거주하는 치매 노인 부양자 456명을 대상으로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 부양자가 성인자녀 부양자에 비해 치매노인을 더 빨리 요양시설로 보내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치매노인의 연령과 역할 구속감(Role Captivity)은 두 집단 모두에게 유의미한 변수였는데, 치매노인의 연령과 부양자의 역할 구속감(Role Captivity)이 높을수록 요양시설로의 입소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수준과 소득은 성인자녀 부양자에게만 유의미한 변수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시설로의 입소가 지연되었던 반면, 소득이 높을수록 시설로의 입소는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탁노소(Adult Day Care) 이용과 피부양자의 문제행동(Behavioral Problems)은 배우자 부양자에게만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탁노소를 이용할 경우와 피부양자의 문제행동이 증가할수록 요양시설로의 입소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Prior studies about nursing home placement identifie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k of institutionalization by pooling adult child caregivers and spousal caregivers together, regardless of differential challenges for the two types of caregivers. In a sample of 456 caregivers followed for a 2 year period, an event history analysis showed that relationship made difference in time to placement and that differential factors led to institutionalization for spousal caregivers and daughter caregivers. Spousal caregivers are more likely to place dementia patients into nursing homes sooner than adult child caregivers. The age of care recipients and role captivity (refers to being unwilling, involuntary incumbent of a caregiver role) are predictors of placement for both groups of caregivers. Dementia patients who were older had a greater risk of institutionalization. Greater feelings of role captivity also shortened the time to placement. Income and educat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only for caregiving daughters. Daughters who had a high education level are more likely to delay nursing home placement whereas those who had a higher income are more likely to institutionalize their demented parents sooner. Use of day care and behavioral problem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nly for spousal caregivers. Specifically, use of day care and behavioral problems precipitates nursing home plac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helping family members to provid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at home must consider different circumstances faced by caregiving spouses and caregiving daughters.

      • KCI등재

        미국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백주희(Ju-Hee Baek),Steven H. Zarit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본 연구는 미국의 치매노인 부양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치매환자가 배우자인 경우와 부모인 경우를 분리하여 이들 두 집단의 우울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떻게 다른지를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치매에 걸린 남편을 돌보는 아내 부양자가 치매에 걸린 부모를 돌보는 딸 부양자보다 우울증 점수가 더 높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배우자 부양자와 딸 부양자 집단의 우울증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딸 부양자의 경우 역할부담감, 역할구속감, 그리고 문제행동이 그들의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아내 부양자의 경우에는 역할부담감, 역할구속감, 문제행동, 그리고 교육수준이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으며, 마지막으로 남편 부양자에게는 오직 역할구속감과 문제행동만이 그들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부양자 집단의 우울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역할구속감과 문제행동이었다. 즉 부양자의 역할구속감이 클수록, 그리고 피부양자인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양자의 우울증 점수는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Adult child caregivers and spousal caregivers might deal with differential challenges. Studies about caregivers' psychological outcomes, however, tend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caregiving and its outcomes by pooling adult child caregivers and spousal caregivers together. By using a U. S. sample of family caregivers who assisted a relative with dementi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of caregivers to care receivers (daughter caregivers or spousal caregivers) made a difference in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 showed that wife caregivers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daughter caregivers. For daughter caregivers, role overload, role captivity, and behavior problem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epression. Besides these variables, the level of educ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wife caregivers. Role captivity and behavior problems significantly impacted on depression for husband caregivers. Thus, role captivity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ommon predictors for all the caregivers.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role captivity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likely to make caregivers more depressed.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백주희(Baek, Ju-Hee)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배우자 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결과 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 88명을 대상으로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스트레스 평가(역할구속감), 복지감(우울, 분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다회귀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은 배우자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즉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배우자 부양자의 역할구속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기간은 배우자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은 치매노인 부양에 수반되는 스트레스원과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우자 부양자를 위한 지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배우자 부양자가 부부관계 속에서 치매노인 부양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marital quality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and marriage duration influenced caregivers' stress appraisals, well-being, and life quality. In a sample of 88 spousal caregiv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marital quality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was a predictor of caregivers' stress appraisals. Spousal caregivers, specifically,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marital quality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we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role captivity. On the other hand, duration of marriage did not effect on caregivers' role captivity. Finally, the level of marital quality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was a moder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tressors and caregiving outcomes(i.e. caregivers' stress appraisals, well-being, and life qu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helping spouses to provid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at home must consider circumstances faced by caregiving spouses such as marital quality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 단주동맹 참여자의 특성

        홍성진,이상연,백주희,Hong, Sung-Jin,Lee, Sang-Yeon,Paik, Ju-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cohol-related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rends in the participants of Alcoholics Anonymous. We compared the 33 participants of Alcoholics Anonymous maintaining abstinence at least over 6 months with 35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who have never attended Alcoholics Anonymous and 32 normal controls. The personality trend was measured by Ca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demographic data, the participants of Alcoholics Anonymous were mainly 40's, graduated from high school, married, unemployed, middle class in economic state, first or second sons. 2) In alcohol related characteristics, age of first drinking was mainly distributed from 15 to 19 years-old. The most common psycho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 as precipitating factor of alcohol consumption was the problem with primary supper group and the second one was occupational. Most of them drank everyday, and admitted one time. 3) In the first stratum sources traits, the participants of Alcoholics Anonymou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but lower than normal control in C-factor(stableness). They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O-factor(Guilt-proness) and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in Q3-factor(self-control). 4) In the second stratum sources traits, they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in EXT-factor(extroversions), and lower score than hospitalized alcohol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IND-factor(independence).

      •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단기 가족교육 후 대처전략 및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연구

        서승우,이호택,백주희,이상연,Seo, Seung-Woo,Yi, Ho-Taek,Paek, Ju-Hee,Lee, Sang-Y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1 정신신체의학 Vol.9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이 겪는 각종 스트레스(불안, 우울, 거부감, 걱정 등)와 함께 가족의 대처 전략의 정도를 평가하고 단기가족교육 후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해 단기가족교육의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중에서 가족교육을 받은 24 명을 교육군으로 하고 동 질환으로 본과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에서 22명을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군에게는 가족교육 전후에, 대조군에게는 환자 입원 시와 4주 이후에 두 번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걱정설문지, 지식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등이다. 결과 : 1)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 BDI, STAI-S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FCQ의 사회적 관심항목과 지식설문지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FCQ요인에서는 회피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의 전략이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모든 설문지에서 사전평가 점수와 사후평가 점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T의 점수 차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FCQ의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FCQ의 정보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에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교육군에서는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나이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유병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 단기가족교육 후에 가족들의 지식이 증가하고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하였으며 환자에게서 벗어나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교육군에서는 지식의 증가에 따라 불안감이 감소했지만 대조군에서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교육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지식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거부감이 적어질수록 긍정적 의사소통의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했고 대조군에서 거부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 the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changes of knowledge, stress and coping strategy after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thods : The education group consisted of twenty four people who were famil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and attended the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wenty two people with schizophrenic inpatients.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Worry Questionnaire, Knowledge Questionnair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administered to the edu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at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 1) In the education group, scores of worry questionnaire, BDI and STAI-S at the post-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at the pre-test. Social interests score of FCQ and knowledge questionnaire score at the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pre-test. In FCQ factors, social interests associated with avoidance strategy score at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the pre-tes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naires. 2) In the education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calculated differences of worry questionnaire and STAI-S, and between worry questionnaire and STAI-T, where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ositive communication of FCQ and PRS, and between knowledge questionnaire and STAI-S. 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information of FCQ and PRS, and between positive communication of FCQ and PRS. 3) In the education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calculated differences of worry questionnaire and age of patient, where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knowledge questionnaire and duration of illnes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 The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decreasing worry and anxiety about the patients in famil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 In the education group as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increased, anxiety about schizophrenic patient de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control group. As relative's rejection feeling about schizophrenic patient decreased, positive communication strategy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more affected by rejection feeling than the education group.

      • 전기경련요법에 의하여 유발된 심부정맥(PVC) 1례

        김덕호,이호택,백주희,이상연,Kim, Duk-Ho,Lee, Ho-Taek,Paik, Ju-Hee,Lee, Sang-Ye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2

        Electroconvulsive therapy(EC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mania, schizophrenia, or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But, reportedly ECT also can produce various forms of cardiac arrhythmia. We experienced a case of ECT-induced arrhythmia(PVC) accompanied with chest pain in a schizophrenic patient during the course of plain ECT. We conclude that there is a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T and cardiac arrhythmia(PVC). The mechanisms of cardiac arrhythmia(PVC) due to ECT may be explained by the effects of ECT to vagal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s. from this case report, We suggest that careful cardiac monitoring before, during, and after ECT with appropriate anesthetic preparation to a patient may enable to minimize the cardiovascular side effects of ECT in the patients with neuropsychiatric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