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탁주와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 분석

        구옥경(Ok Kyung Koo),임은섭(Eun Seob Lim),이애란(Ae-Ran Lee),김태완(Tae Wa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 충청, 강원 등지의 중소기업형 소규모 양조장에서 생산되는 탁주와 약주의 미생물 군집 분포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시료별로 미생물 분포에 따른 품질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백미 또는 소맥분을 주로 사용한 탁주와 달리 약주는 찹쌀과 백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각각 독특한 주질과 미생물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주요 검출 미생물로 진균류는 S. cerevisia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세균의 경우 Firmicutes문에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Leuconostoc, Lactococcus, Weisella 속 등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곡물인 원재료에 의해 Cyanobacteria 문의 Chloroplast 속과 제조 환경에 의한 유입으로 추정되는 Cronobacter 속, Enterobacter 속 또한 검출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미생물의 분포는 제조 지역, 주원료, 그리고 제조 방법에 기인할 것으로 판단되며 명확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 연구 결과 유통과정의 제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양조장별 미생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kju and yakju are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s that are prepared by fermentation of glutinous rice with nuruk, a cereal starter containing various bacteria, fungi, and yeast. In this stud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a total of 12 commercial takju and yakju samples were analyzed; their pH, sweetness, and alcohol content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alcohol, from pH 3.64-4.8, 5.1-24.8°Bx, and 4.6-18.5%, respectively.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with 16S rRNA amplicon sequencing using MiSeq system. At the phylum level, Firmicutes (86.2%)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Proteobacteria (8.08%), Actinobacteria (2.56%), and Cyanobacteria (3.13%). Lactic acid bacteria, including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and Weissella were also frequently detected. Among eukaryotes,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the most dominant in these samples.

      • SCOPUSKCI등재

        숙성 조건에 따른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이수정,류지현,남수진,구옥경,Lee, Soo Jung,Ryu, Ji Hyeon,Nam, Soo Jin,Koo, Ok Kyung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6

        흑생강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생강의 제조공정을 숙성 조건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교하였다. 흑생강의 갈색도와 적색도(a값)는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원료 생강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으로 감소된 경향이었다. 총당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나, 숙성 3단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에서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gingerol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6-shogaol 함량은 17.7-34.1배 증가되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은 각각 숙성 2단계 및 3단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숙성단계별 흑생강의 항산화 활성은 갈색도, 6-shogaol, 총당 및 총 페놀의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2-3단계 숙성이 항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were investigated every four days during the twenty days of aging process and compared with fresh ginger. Browning intensity and redness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fresh ginger; however, lightness and yellow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step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hird step. The content of gingerol decreased with aging whereas 6-shogaol increased from 17.7 to 34.1 times the baselin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step and decreased in the subsequent step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were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and third steps, respectively, and then they gradually de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during the aging proces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rowning intensity, 6-shogaol, total sugar,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erefore, our study suggested that aging during the second and third steps were effective in optimizing antioxidant activity.

      • SCOPUSKCI등재

        E. coli O157:H7에 의한 녹즙 저장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임은섭(Eun Seob Lim),구옥경(Ok Kyung Koo)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건강한 식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는 녹즙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날것으로 섭취하는 과채류의 장출혈성 대장균의 오염으로 인한 집단식중독 사고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E. coli O157:H7이 녹즙에 오염되었을 경우 보관온도, 보관시간별 미생물 커뮤니티의 변화를 정량 분석법과 DGGE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잠재적인 식중독 위험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량 분석 결과 초기부터 총 호기성 세균수가 식품위생법상 기준치(1.0×10? CFU/mL)를 초과한 결과를 보였으며, E. coli O157:H7에 대한 세균수 측정결과를 보면 5℃와 10℃에서 균수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GGE결과를 보면 보관시간이 길고 보관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미생물 분포도를 보였고, 저장시간이 후반으로 갈수록 부패균인 젖산균이 다수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Rahnella aquatilis와 Citrobacter, Pseudomonas 등의 기회감염성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에, 위 녹즙시료는 잠재적인 식중독의 위험성을 보이므로 제품의 생산, 유통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품 구입 후 냉장저장을 하더라도 가능한 한 빠른 섭취가 권장되는 바이다. E. coli O157:H7에 위 제품이 오염되었을 경우 냉장과 실온조건 모두에서 세균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실온에 방치하였을 경우 그 증가폭이 크므로, 이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market for green vegetable juice (GVJ) is growing owing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healthy food; however data on the safety and quality of GVJ are poorly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microbial community in GVJ during storage and its contamination by E. coli O157:H7. The microbial community was analyzed via culturable and non-culturable methods at 5, 10, and 25℃ for different storage times. In the non-culturable metho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was used. The initial bacterial concentration was 2.92×10? CFU/mL, which exceeded the limit prescribed by the Korean Food Hygiene law. The results of the DGG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during storage was diverse and the spoilage lactic acid bacteria were prevalent at a later stage. Other bacteria such as Rahnella, Citrobacter, Pseudomonas, and Cyanobacteria were identified. Thus, the results strongly emphasize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GVJ production safety, especially with respect to temperature control, in order to prevent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such as E. coli O157:H7 and other spoilage bacteria.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오태영 ( Tae Young Oh ),백승엽 ( Seung Youb Baek ),최정희 ( Jeong Hee Choi ),정문철 ( Moon Cheol Jeong ),구옥경 ( Ok Kyung Koo ),김승민 ( Seung Mi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1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Bacillus cereus, and Staphyl℃℃cus aureus. The total viable counts of microgreen (whole leaves) and environment samples from harvesting steps were higher than 6.8 log CFU/g a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coliforms in the samples were 3.2 log CFU/g and 3.5 log CFU/g of microgreen and soil, respectively. In case of microgreen samples collected from pr℃essing steps, the contamination level of TVC and coliforms were higher in raw materials than samples obtained from later stages of pr℃essing, i.e. washing, drain, and final produc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B. cereus in raw materials and environments decreased approximately 1.4 log CFU/g in final products. S. aureus was detected in soil samples but Salmonella spp., Listeria mon℃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pathogenic E. coli was not dete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for microgreen, the genetic similarity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and pr℃essing steps were compared using the repetitive-sequence-based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harvesting environments and microgreen were clustered with a similarity greater than 95%. In case of B. cereus isolates obtained from microgreen and environmental samples at pr℃essing steps showed low genetic similarity.

      • SCOPUSKCI등재

        온라인에서 구매한 밀키트 제품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이승훈(Seung Hun Lee),남수진(Su Jin Nam),김동우(Dong Woo Kim),김기련(Gi Ryeon Kim),박선정(Seon Jeong Park),이은지(Eun Ji Lee),제현지(Hyeon Ji Je),구옥경(Ok Kyung Koo)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 중인 밀푀유나베 5종과 월남쌈 3종의 밀키트의 배송상태와 식재료 122개의 시료 대상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에 대한 정량분석과,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정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배송형태는 하나의 제품을 제외하고 일반택배로 배송 되었고 제품 표면 온도 평균은 14.4oC이었다. 일반세균 정량분석 결과, 밀푀유나베 채소류에서 평균 6.66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27 log CFU/g, 땅콩소스에서 일반세균이 평균 1.81 log CFU/g로 나타났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평균 5.62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82 log CFU/g, 라이스페이퍼에서 평균 2.11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 · 대장균의 정량 분석 결과, 밀푀유나베의 경우 채소류에서 평균 2.94 log CFU/g, 육류에서 1.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3.31 log CFU/g, 육류에서 1.93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밀푀유나베 식재료 중 청경채와 깻잎에서 검출되었으며, 평균 0.86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육류에 비해 채소류의 오염도가 높았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Salmonella spp., E. coli O157:H7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소고기 3개(3.7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시료에서 대장균 최대 허용한계치 값을 초과하였고, L. monocytogenes가 검출된 만큼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섭취 및 조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In this study, the delivery conditions and microbial contamination in Mille-feuille Nabe and fresh spring roll meal kits purchased online were assessed.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n the product arrival was 14.4℃.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Mille-feuille Nabe was 3.27 log CFU/g and 1.27 log CFU/g, respectively, in meat, and 6.66 log CFU/g and 2.94 log CFU/g, respectively, in vegetables.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fresh spring rolls was 3.82 log CFU/g and 1.93 log CFU/g in meat, and 5.62 log CFU/g and 3.31 log CFU/g in vegetables, respectively. Escherichia coli was detected in bok choy and perilla leaves, with an average of 0.86 log CFU/g. Salmonella spp.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however, Listeria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all three beef samples. Therefore, before consuming meal kits, sufficient washing and heating are recommended to prevent occurrences of food poisoning.

      • KCI등재

        가토에서 PARAQUAT 중독시 D-PENICILLAMINE과 CYCLOPHOSPHAMIDE의 치료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정구영,옥경 大韓應急醫學會 1996 대한응급의학회지 Vol.7 No.4

        Paraquat(1.1-dimethyl-4,4-bipyridium dichloride) has toxic effect by turing into a stable free radical in the presence of powerful reducing agents. Among the complications of multiple organ failure, the pulmonary fibrosis is always fatal.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cyclophosphamide suppress the formation of oxygen free radical,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D-peniciallamine inhibits the formation of collagen cross-link by blocking aldehyde groups on synthesized collagen molecules. Therapeutic effect of cyclophosphamide and D-penicillamine was studied on 30 rabbits. Thirty rabbit were allocated into 3 groups, each group consisting of 5 males and 5 females, which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10mg/kg of 20% Gramoxone. The control group(n=10) had no treated, the group Ⅰ(n=10) had treated with cyclophosphomide(5mg/kg/d) and the group Ⅱ (n=10) had treated with D-penicillamine(40mg/kg/d) and dexamethasone(1mg/d) The urines were collected by nelaton catherization 2 hours after injection and the qualitative test was done using sodium dithionite. The 80% in control and group Ⅰ and 70% in control group and 90% in both experimental groups. The mortality rate according to sex was male 4/15(26.7%) and female 1/15(6.7%). On the pathologic finding of lung, there was a no specific difference in control, experimental group Ⅰ and group Ⅱ which were survived at 2 weeks later. But the alveolar rupture and severe emphysematous change were found in 3 died rabbits's lung of control group. Our results show that cyclophosphamide and D-penicillamine have improved the survival rate in the rabbits with paraquat intoxication. But there are no defference of survival rate and pathologic finding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